상담학 도서 상담학 논문 상담학 설교

[심리학적연구] 의미치료(logotherapy) - 상담목표 / 상담이론 및 기법



의미치료의 상담목표 

 

  의미치료의 상담목표는 내담자로 하여금 실존적 공허를 통해 갖는 무의미감이나 신경증에서 벗어나 삶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인간이 자유의지를 가진 선택자로 자신의 삶에 건설적인 의미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담이론 및 기법

 

(1) 역설적 의도

 

  역설적 의도는 내담자가 두려워하는 그 일 자체를 하도록 하거나 일어나기를 소망하도록 촉진되는 과정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이 기법의 이해를 위해 공포증이나 강박증을 가진 사람들의 생각을 살펴보면 이들은 두려워하는 사건에 대한 재발을 두려워한다. 그리고 사건에 대한 두려운 기대는 기대불안을 야기하여 지나친 주의(atteantion)나 ‘지나친 의도’의 원인이 되고 이런 것이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가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한다. 결국 내담자 자신의 불안에 잠재적 효과에 대한 걱정이 불안에 대한 불안으로 되어 나타나고, 불안이나 공포의 자기 유지적인 악순환이 되풀이되어 공포를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당신이 엘리베이터 안에 갇혀 공포에 질린 경험을 가졌다고 가정하자. 당신의 엘리베이터 공포증은 다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공포(예기불안)을 갖게 한다. 당신이 엘리베이터를 타려고 할 때마다 예기불안은 지나친 주의나 의도의 원인이 되어 결국 엘리베이터를 타지 못하고 층계를 이용하게 된다.

 

  내담자의 공포에 대한 공포의 가장 일반적인 반응은 공포에 대한 도피로 자신에게 불안을 야기하곤 했던 상황을 피하려고 한다. 의미치료는 이런 공포나 기대불안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으로 공포의 공포는 공포로부터 도피를 유도한다는 것을 가르치며, 이것으로부터 탈피하기위해서는 도피가 아닌 직면하도록 한다.

 

  당신이 중학교 때 발표를 하다 너무 불안해 말을 더듬어 창피를 당했다고 가정하자. 당신이 다시 말을 더듬지 않을까 하는 발표불안(예기불안)은 당신이 발표하는 것을 피하도록 해 왔을 것이다. 이 경우 당신의 실수에 대한 지나친 주의는 당신이 발표를 하지 못하게 해 왔다. 상담자는 당신에게 ‘실수(말더듬)를 하지 말자가 아니라 실수를 해라’라는 것을 요구한다. 이것은 역설적 의도로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불안이 무엇인지 알아야 하는 것을 함축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두려워하는 그 일 자체를 하도록 하거나 일어나기를 소망하도록 격려해 의도의 반대를 생성하게 한다. 내담자의 의도인 정반대인 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에 내담자를 직면하게 해 공포의 악순환에서 이탈하게 하며, 역설적 의도를 통해 내담자가 두려워하는 것은 두려움 그 자체라는 것을 배우게 한다.

 

(2) 탈숙고

 

  이 기법은 ‘지나친 숙고’로 인한 기대불안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랭클이 소개한 이야기를 통해 지나친 주의나 숙고가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네가 있었는데 그의 적이 지네에게 “너의 다리들이 어떤 순서로 움직이는가?”라고 물었다. 지네가 그 질문에 주의를 기울였을 때, 지네는 전혀 움직일 수가 없었다.

 

  내담자가 가진 문제에 지나친 숙고는 자발성과 활동성에 방해가 되며, 탈숙고를 통해 지나친 숙고를 상쇄시킴으로 내담자를 회복시켜 준다.

 

(3) 사고 중단법(반성 제거법)

  신경증이 있는 환자의 예기불안과 모든 신경증 증후는 병적인 과다사고에 의해 강화된다고 본다. 이것은 무엇을 잘해 보려고 결심하면 할수록 그 기능을 발휘하기 힘들다가 결국 실망에 빠진다는 것이다.

  과다사고의 기제를 의미요법에서 치료도구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을 사고 중단법 혹은 반성 제거법이라고 부른다. 사고 중단법을 통해서 자기관찰에 대한 강박적 경향성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사고 중단법을 통해서 자신의 증후를 무시해 버리고 환자로 하여금 긍정적 측면에 대해 각성할 수 있게 한다.

  반성제거라고 알려진 치료방법은 자기 관찰로 지나치게 기울어지는 것을 없애는 것으로 환자가 성취해야 할 것은 어느 정도까지 병을 무시할 수도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4) 소크라테스 대화법

 

  사람은 남에게 인정받고 사랑 받으면서 성공하기 위해 가면을 쓰고 있는데 이를 벗겨보면 있는 그대로의 현실자아와 남에게 잘 비쳐지는 사회적 혹은 이상적 자아의 양면을 지니고 한다. 소크라테스 대화법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보호를 위해 쓰고 있는 탈속에 있는 자기 참모습을 발견하게 한다. 즉 상담자는 내담자의 문제를 이해하기보다는 그의 이야기를 자상하게 듣도록 주력한다. 이는 내담자의 문제를 많이 이해하려 할수록 그의 불평거리가 되는 문제 속에 더 말려들기 쉽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 대화법도 의미요법의 다른 기법과 같이 즉흥적이고 직관적인 말솜씨가 필요하다. 소크라테스 대화법에 쓰이는 몇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큰 의미가 있었던 과거의 일 회상 

  ․ 억압된 심리적 외상이 아니라 무의식의 희망과 바람에 초점을 두는 꿈의 해석

  ․ 상담자가 의미 있다고 보는 상상의 의도적 또는 무의도적 도출

  ․ 상담자가 보기에 역할모형이 되는 사람들과 겪은 큰 의미가 담긴 경험의 회상

  ․ 상담자가 감지하게 되는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정상 경험의 회상

  소크라테스 대화법은 무의식의 정신을 파고드는 시도로 꿈, 목표, 경험을 조금씩 떠오르게 하여 이 조각들을 수집해 내담자에 그것을 재연하게 하는 것이다.

 

(5) 태도수정기법

 

  사람은 저마다 문제를 안고 살면서 고통을 겪고 난관을 극복한다. 나에게는 난관이나 다른 사람에겐 아무렇지도 않은 일일수도 있고 또 다른 제삼자는 이것을 도전으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고난 때문이기 보다는 건전치 못한 태도에서 오는 것을 본다.

  이에 대해 페브리는 의미요법에 대한 관심의 초점을 목표, 과업, 선택의 자유와 책임에 두고 있는 것이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은 것이 좋은 지침을 될 수 있다고 한다.

  ․ 여러 가지 대안이 있을 수 있다.

  ․ 행동양식은 바꿀 수 있다.

  ․ 어떤 상황에서도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 삶은 어떤 경우에서도 의미가 있다.

  ․ 모든 상황은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 과오, 실패, 질병, 돌이킬 수 없는 쇠망의 경우에도 기회가 반드시 있다.

 

6. 상담진행과정

 

  의미치료 상담자는 인간적 만남의 관계를 바탕으로 내담자가 실존적 공허 상태를 벗어나 삶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조력한다. 내담자가 삶의 의미를 보고 자신이 보는 기본적 태도를 바꾸게 하는 것이다.

  프랭클은 기본적 욕구를 ‘자기탐구’라기보다 ‘의미탐구’로 보고 사람들이 어떤 의미에 충만하거나 다른 사람과 사랑스런 참만남을 통해 자기의 경계를 초월할 때 가장 인간적인 존재가 된다고 본다.

  프랭클은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원천인 자기초월의 세 가지 방식인 즉 어떤 행동을 함으로써, 어떤 가치를 경험함으로써, 그리고 고통에 의해 의미를 발견하고 탐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삶 속에서 의미를 발견할 수 세 가지 중요한 방식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있다. 첫째로는 사람들이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창조적 가치’이며, 둘째로는 사람들이 삶에서 얻은 것으로 ‘경험적 가치’이며, 세 번째로 사람들이 더 이상 변화시킬 수 없는 운명에 대해 취하는 자세로 ‘태도적 가치’다.

 

(1) 상담자의 자세

 

  프랭클은 오늘날의 심리치료는 인간의 실존적 불충족, 즉 생활목표와 생존목적, 구체적 사명과 개인적 임무에 대한 동경을 문제 삼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실존적 공허가 정신질환의 원인으로 보고 의미치료는 개인의 의미와 사랑과 고난의 의미, 그리고 가치의 가능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존재의 의미에 직면하여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하였다.

  의미치료 상담자는 내담자를 도와 그의 존재의 의미, 목표나 목적을 발견하도록 하는 것이며 그의 삶에서 최상의 가능한 행동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개인이 그의 과제를 달성하는 데 대한 책임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실존적 좌절이나 실존적 공허가 무엇에서 비롯되었는가를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당신이 두 번째의 인생을 사는 것처럼 살아라. 첫 번째의 삶을 좋지 않게 진행해 왔다면 이번에는 어떻게 행동하겠는가?”와 같은 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삶의 유한성과 책임감의 중요성에 대한 실존적 자각을 향상하도록 노력한다.

 

(2) 의미요법의 과정

 

① 상담관계형성의 단계 -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친밀감이 이뤄져야 하며, 상담자는 내담자에 대해 무조건적 관심과 공감적 이해를 가짐과 동시에 내담자의 문제해결 능력 요인에 대한 사전검사도 있어야 한다.

② 문제의 확인 단계 - 내담자가 무엇 때문에 삶의 의미를 상실하여 고민하고 있는가에 대한 자기실존의 의미를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문제의 핵심으로 접근한다.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내용을 재진술 해주고, 해석해 주며, 명료화시킴으로써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확실히 의식하고, 자신의 감정을 재구성함으로써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다가서는 계기가 되도록 한다.

③ 정보제공의 단계 - 자기실존의 의미나 인생관의 문제에 관련된 갈등이나 회의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면서, 문제해결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단계에서 상담자가 중심이 되어 내담자의 문제에 관련된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제공해 주고, 생의 의미발견이나 가치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조언을 한다. 이 단계는 상담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로 볼 수 있다.

④ 자기결정의 단계 - 이제까지 상담한 모든 정보와 경험을 재조직해서 자기문제에 대한 새로운 의의와 가치를 발견한다. 생의 의미에 대한 문제는 가치의 문제이며, 새로운 인생의 의미가 자기 것이 되기 위해서는 철학적 가치관이 확립되어야 한다.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결정을 할 수 있는 가치관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도록 상담의 방향을 정해가야 한다.

⑤ 문제의 해결 및 구체적 행동 단계 - 자기결정의 단계를 거쳐 확립된 새로운 의미의 삶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현실과의 부조리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이에 대처할 구체적 방안이나 행동계획을 마련하고, 내담자에게 동기와 신념을 갖도록 격려해 주어야 한다.

 

7. 결론

 

  의미치료(Logotherapy)는 철학적이고 영혼적인 성격을 띤 문제를 가진 사람을 돕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런 문제는 인생의 의미인 죽음, 고통, 노동, 사랑의 의미와 같은 것들로 이것은 실존적 좌절감이나 인생의 허무감을 초래한다. 인생의 의미라는 것은 존재의 목표에 대해 묻는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닌 그가 인생과 또는 인생이 그에게 부여하는 환경 내지 일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느냐 하는데서 나타나는 것이다.

  의미치료는 인간에 대한 세 가지 기본적 신념에 근거한다. 첫째, 인간은 모든 조건에서 의미를 가진다. 둘째, 인간은 의미에 도달할 의지를 가진다. 셋째, 인간은 자신의 의미를 찾을 자유를 가진다.

  자신의 삶은 자신에게 책임이 있으며, 누구도 우리의 삶을 책임지거나 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는 없다. 의미치료는 우리가 인생의 책임자로서 삶의 의미를 추구하며 사는 것을 가르친다.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이나 조건이 자신을 괴롭고 고통스럽게 할 수 있으나 아무리 어려운 역경일지라도 삶에는 의미가 있으며, 우리는 나름대로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의지가 있고, 책임도 역시 자신에게 달려 있는 것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635 심리학적연구
마음처방전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2896
634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2513
633 심리학적연구
너무 신경썼더니 지친다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7 1 2405
632 심리학적연구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1554
631 심리학적연구
이젠 내 힘으로 공부할 수 있어요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2652
630 심리학적연구
부부문제로 꼼짝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1606
629 심리학적연구
당근과 채찍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2973
628 심리학적연구
상처주지않고 비판하기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2516
627 심리학적연구
z세대 부모를 위한 SNS심리학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2853
626 심리학적연구
이단에 빠진사람들의 정서와 심리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2404
625 심리학적연구
젊은 ADHD의 슬픔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2 1 2469
624 심리학적연구
하버드 회복탄력성 수업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2911
623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참으려고만 할까?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2450
622 심리학적연구
아이는 왜 내 말에 상처 받을까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574
621 심리학적연구
그럴수도 있지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725
620 심리학적연구
엄마표 마음처방전 (0세부터 12세까지 우리 아이 심리학)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2422
619 심리학적연구
스위치_손쉽게 극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행동설계의 힘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910
618 심리학적연구
설득의 심리학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0 1551
617 심리학적연구
청소년을 위한 진로상담 이론과 실제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3061
616 심리학적연구
사이코패스는 일상의 그늘에 숨어지낸다.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8 1 2555
615 심리학적연구
아들러 심리학 입문(오늘을 살아가는 무기, 용기의 심리학)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7 1 2610
614 심리학적연구
신이 된 심리학 2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2992
613 심리학적연구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2721
612 심리학적연구
기독교가족치료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815
611 심리학적연구
정신과 의사에게 배우는 자존감 대화법 3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538
610 심리학적연구
우울증, 슬픔과 함께 온 하나님의 선물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640
609 심리학적연구
EQ 감성지능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3198
608 심리학적연구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2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1 2567
607 심리학적연구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2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2596
606 심리학적연구
가르치고싶은 엄마 놀고 싶은 아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30 1 2372
605 심리학적연구
회복력 수업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9 1 2601
604 심리학적연구
가짜감정 2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2919
603 심리학적연구
내가 예민한게 아니라 네가 너무한 거야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2608
602 심리학적연구
핵심감정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3 1 2893
601 심리학적연구
심리학과 목회상담(Handbuch psychologie und seelsorge)_Michael Dieter…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3037
600 심리학적연구
깊은분노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461
599 심리학적연구
새터민 아동을 위한 교육멘토링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1 2489
598 심리학적연구
남자아이 심리백과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435
597 심리학적연구
레즈비언 혁명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2595
596 심리학적연구
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 2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2316
595 심리학적연구
스키너의 심리상자 문열기 1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2487
594 심리학적연구
당신이 옳다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2354
593 심리학적연구
감정코칭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2680
592 심리학적연구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4 1 3037
591 심리학적연구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2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2 1 2539
590 심리학적연구
행복의 기원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2833
589 심리학적연구
아프면 아프다고 힘들면 힘들다고 외로우면 외롭다고 말하라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383
588 심리학적연구
프레임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538
587 심리학적연구
화내는 부모가 아이를 망친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507
586 심리학적연구
우리들의 MBTI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0 1443
585 심리학적연구
오은영의 화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7 0 1461
584 심리학적연구
인간 이해와 상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9 1 2446
583 심리학적연구
영혼을 생기나게하는 영성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5 0 1667
582 심리학적연구
마음 읽기_황상민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1 2605
581 전통적연구
성경으로만 하는상담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3 0 1666
580 심리학적연구
저는 심리학이 처음인데요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328
579 심리학적연구
틱증상, ADHD, 발달장애 가정에서 치료하기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437
578 심리학적연구
매우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책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464
577 심리학적연구
은혜로 사는 부부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1 0 1425
576 심리학적연구
더 해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0 0 1574
575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상담자를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의 과정과 실제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2608
574 심리학적연구
사람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2928
573 심리학적연구
불안한 마음 괜찮은걸까?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5 0 1655
572 심리학적연구
크리스천 노인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5 0 1569
571 심리학적연구
격려를 통한 영적성장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4 0 1460
570 심리학적연구
설득의 심리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3 0 1473
569 심리학적연구
미움받을 용기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3 0 1486
568 심리학적연구
하나님 저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0 1276
567 심리학적연구
구조화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누구나 쉽게 집단상담을 할 수 있는 방법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0 1528
566 심리학적연구
관계의 기술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1 0 1481
565 심리학적연구
상담론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192
564 심리학적연구
Z세대 부모를 위한 SNS 심리학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450
563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을 만나 행복해졌다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364
562 심리학적연구
내 안의 어린아이가 울고 있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0 1426
561 심리학적연구
코로나블루 긴급처방전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0 1500
560 심리학적연구
홀로서기 심리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0 1455
559 심리학적연구
예수님 마음담기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0 1366
558 심리학적연구
상담학 개론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4 0 1291
557 심리학적연구
대상관계상담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3 0 1430
556 심리학적연구
두려움을 느낄때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337
555 심리학적연구
엄마와 딸의 심리학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505
554 심리학적연구
왜 얼굴에 혹할까?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288
553 심리학적연구
돈의 심리학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486
552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나를 사랑하지 못하는 걸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3 1 2827
551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자 아버지가 아들, 딸에게 보내는 편지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2 0 1527
550 심리학적연구
마음을 살리는 실천심리상담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1 0 1367
549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설교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0 0 1440
548 심리학적연구
마음코칭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8 0 1480
547 전통적연구
성경으로만 하는 상담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527
546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위기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484
545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상담과 일반상담의 차이점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554
544 심리학적연구
유리멘탈을 위한 심리책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1 2702
543 심리학적연구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5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6 1 2589
542 심리학적연구
목사와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6 0 1374
541 심리학적연구
오은영의 화해 상처받은 내면의 나와 마주하는 용기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5 0 1391
540 심리학적연구
기독교상담학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4 0 1594
539 심리학적연구
두려움을 느낄때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4 0 1328
538 심리학적연구
심리학, 신학, 영성이 하나 된 기독교 상담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2 0 1538
537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신학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31 0 1671
536 6심층유형
성경으로 상담하라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31 0 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