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1개론] 한인신학교 안내

한인신학교 이대로 좋은가?

아무리 생각해도 아찔하기만 하다. 믿는 사람들의 본이 되고 영적인 지도자 역할을 해야 할 목사가 가짜 신학교를 열어 돈 벌기에만 몰두한다면 그 목사는 세상 어느 사기꾼보다 더 악한 사기꾼이다. 그리고 그런 가짜 신학교를 다닌 학생이 졸업하고 목사가 되어 교회에서 목회를 하게 될 때 선량한 교인들에게 미칠 영향을 생각하면 정말 아찔하다.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지만 미주언론들은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지난 24일 경찰과 합동으로 로스앤젤레스 근교 풀러튼에 위치한 캘리포니아 유니온 유니버시티(CUU)를 급습, 이 학교의 소유주인 오모(65)목사를 비자사기 혐의로 체포한 사실을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오목사는 유학생 신분을 유지하려는 한국학생들에게 적지 않은 돈을 받고 I-20 폼을 불법으로 발급했으며 이 학교에 재학 중인 많은 학생들도 체류신분을 위해 등록만 하고 교실에 들어가 수업을 받지 않았다고 한다. 재판의 결과에 따라 흑백이 가려지겠지만 미주 한인교계에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은 슬픈 일이다.
왜 미주한인사회에, 특히 기독교 교계에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왜 한인신학교가 그렇게 많아야 하나? 왜 많은 사람들이 이런 신학교에서 공부하기를 원하는가? 왜 한인신학교에 등록하면 유학생의 신분을 쉽게 유지할 수 있을까? 미국에는 한인운영신학교가 여기저기 많이 산재해 있다. 단독 교회가 또는 몇몇 교회목사들이 함께 열기도 하고 교단이 열기도 한다. 대부분의 이들 신학교는 주 고등교육당국에 등록을 하거나 허가를 받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우리 한인사회, 특히 교계는 이 문제를 폭 넓게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 문제의 발단은 한국 쪽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사회수요에 비해 너무 많은 학생들이 신학을 지망하는 것이다. 그래서 한국에도 교육과학부의 정식인가를 받은 신학교 수도 넘치는데 무허가 신학교들이 부지기수로 여기저기 산재해 있다. 그래서 많은 졸업생들은 사역할 교회를 찾지 못하고 ‘고등실업자’로 머물러있다. 신학교 재학 중 교회 전도사 자리 찾기조차도 쉬운 일이 아니다. 이름 있는 교회에서 부교역자를 뽑을 경우, 경쟁률이 수십 대 일에 이른다. 후보가운데는 미국신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들도 있다. 한국교회들이 담임목사는 물론 부교역자로도 미국신학교 출신을 선호하다보니 너도나도 미국유학행이다. 그런데 정작 미국신학교 협회에서 인증된 미국신학교는 입학부터 까다로울 뿐 아니라 입학 후에도 공부하기란 언어와 실력 때문에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차선책으로 찾은 곳이 한인경영미국신학교이다. 이 신학교들은 학사 석사학위는 물론 박사학위까지 수여한다. 그 학위를 받고 미국에 머물거나 귀국한 졸업생은 미국신학교출신행사를 하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 문제의 발단은 미국에서 한인경영신학교를 설립하기가 쉽다는 것이다. 미국에서의 신학교설립은 주 고등교육당국으로부터 설립허가를 받게 되어있는데 신학교 설립에 관한 한 종교자유의 보장원칙 때문에 ‘특별예외조건’을 부여한다. 다시 말하면 일반대학 설립처럼 까다로운 절차를 밟지 않고 설립 할 수 있다. 이렇게 신학교를 쉽게 설립 할 수 있는 법적인 보장 때문에 개 교회, 목회자의 집단, 특정 교단명의로 한인신학교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교포신문들의 신학생 모집 광고를 보면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다. 그런데 많은 한인신학생들이 주 고등교육당국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신학교들이 모두 동등한 자격을 가추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실을 그렇지 않다. 그 종류를 살펴보자. 첫째, 주 당국의 인허와 협회의 공인이 없이 고등교육당국 등록만으로 설립된 신학교다. 학생들은 정부의 재정보조를 받을 수 없으며 취득한 학점을 공인받을 수 없다. 둘째, 주 당국의 인허는 받았지만 인증협회공인을 받지 못한 신학교다. 정부의 재정원조를 받을 수 있으나 취득한 학점을 공인된 신학교로 편입하지 못한다. 셋째, 주 정부의 인허도 받고 인증협회 공인도 받은 신학교다. 정부이 재정원조도 받고 취득한 학점을 다른 신학교에 편입할 수 있으며 학위를 인증협회가 공인한다.
세 번째 문제는 목회자들의 학위욕망이다. 어느 누가 높은 학위를 원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목회자 사회는 좀 달라져야 되지 않을까? 박사학위가 없으면, 그것도 미국신학교의 학위가 없으면 행세하기 힘들다는 잘못된 의식구조가 목회자 사회에 너무 만연되어 있지 않나?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가짜박사 통계에 의하면 목회자가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무엇을 대변하는가? 한번 생각해볼 일이다.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53 402사례연구법
BEHAVIOR IS BIZARRE Especially Schizophrenia and M…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3 5 2376
52 402사례연구법
COUNSELING THOSE WHO SUFFER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3 3 2757
51 402사례연구법
GUILT Especially the resistant guilt associated wi…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3 6 2202
50 402사례연구법
FEAR, Where is i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3 2 2476
49 402사례연구법
Depression: The Stubborn Darkness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3 2 2202
48 402사례연구법
ANGER 강의교재, 영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3 4 2092
47 402사례연구법
ADDICTIONS 강의교재(영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3 6 2763
46 205상담역사
심리학자에 대한 성경적 비판, 참고문헌발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3 1 2355
45 205상담역사
데이비드 포울리슨 논문 후기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3 7 2170
44 103역동성
how people change 1장 번역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06 6 2101
43 205상담역사
아들러 상담비평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19 5 3603
42 WTS
PC 18K Counseling Individuals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0 2413
41 WTS
PC 17K Counseling Your Church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3 2164
40 WTS
PC 16K Qualities & Procedures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2 3785
39 WTS
PC 15K Problems & Research (by Edward Welch)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3 2048
38 WTS
PC 14K Marriage & Peer Counseling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1 2745
37 WTS
PC 13K Counseling Methods & Family (by Paul Tripp…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3 2459
36 WTS
PC 12K History of Counseling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5 2919
35 WTS
PC 11K Dynamics of Counseling (by Paul Tripp), 강의…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5 3076
34 205상담역사
여러 가지 기독교 상담들, 자료발췌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8 3357
33 101개론
미국 웨스트민스터 상담학 박사과정 커리큘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3 2327
32 402사례연구법
<성경인물에 대한 성경적 상담모델 연구>, 과제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3 2243
31 103역동성
마음의 우상들 그리고 허영심, David Powlison, 초벌번역본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5 3250
30 104방법론
상담방법론 Method, 강의필기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4 1789
29 402사례연구법
"피스메이커" 독서감상문, 과제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8 2265
28 205상담역사
제이 아담스의 상담학과 일반 상담학의 비교 분석, 과제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6 4466
27 402사례연구법
자가상담 과제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2 2116
26 402사례연구법
일상생활의 상담, 강의필기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6 2037
25 111상담훈련법
상담자의 자가진단질문, 보고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9 2575
24 205상담역사
현대 성경적 상담에 있어서의 중요한 문제들, 번역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6 2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