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자료 논문연구 설문조사

[504정신질환상담] 레보세틴정


KMLE 약품/의약품 정보: 레보세틴정

제품명: 레보세틴정

전문/일반: 전문

제조 및 수입원: 세종제약

판매 회사: 세종제약

복지부 분류
: 141 - 항히스타민제

보험코드/구분: A21151681 (급여 240원/1 개) 

영문 성분명: Levocetirizine HCl 5 mg

한글 성분명
: 레보세티리진염산염 5 mg

생산여부
: 생산

미국 FDA 임부안정성: 분류

성상
: 백색 또는 미황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제

제형: 필름코팅정
표시(앞): 마크
표시(뒤): LC
마크(앞): r0082
마크(뒤):
색깔 앞: 하양
색깔 뒤:
분할선 앞:
분할설 뒤:
장축(mm): 8.1
단축(mm): 4.6
두께(mm): 3.3
식별표시 등록일: 2008-06-18

효능/효과:
다음 질환의 증상 완화
1.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 또는 다년성 알레르기성 비염(지속적 알레르기성 비염 포함)
2.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3. 가려움증을 동반한 피부염 및 습진(하이드로코티손 외용제와 병용)

용법/용량:
성인 및 6세 이상의소아: 식사에 상관없이 1회 1정(염산레보세티리진으로써 5mg), 1일 1회 경구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신장애 환자는 신장기능(크레아티닌 청소율(CL(CR)(ml/min))에 따라 용량을 조절한다.
[&D1]

사용상 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성분 및 히드록시진에 대해 과민증이 있는 환자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2) 신부전 환자
3)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수유부
4) 6세 미만의 유아
5) 드물게 일어나는 galactose intolerance, Lapp lactose deficiency, 혹 은          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는 이 약 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신장애환자(높은 혈중 농도가 지속될 수 있다.) 
2) 간장애환자(높은 혈중 농도가 지속될 수 있다.) 
3) 고령자(높은 혈중 농도가 지속될 수 있다.) 

3. 이상반응
1) 정신신경계: 졸음, 때때로 권태감, 두통, 마비감, 드물게 가볍고 일시적인 나른함, 피로, 어지러움, 두중감, 흥분이 나타날 수 있다. 
2) 소화기계: 때때로 구갈, 구순건조감, 구역, 식욕부진, 위부불쾌, 소화불량, 복통, 위통, 복부불쾌감, 드물게 구토, 위장장애, 설사, 구순염, 미각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3) 순환기계: 드물게 빈맥, 부정맥, 혈압상승, 때때로 심계항진이 나타날 수 있다. 
4) 혈액계: 혈관염, 때때로 백혈구감소, 호중구감소, 임파구증가, 호산구증가, 드물게 단핵구증가, 혈소판증가, 혈소판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5) 과민증: 광과민증, 아나필락시스 쇽, 때때로 부종, 드물게 발진, 소양감, 혈관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6) 눈: 드물게 시야흐림, 결막충혈이 나타날 수 있다. 
7) 간: 때때로 AST, ALT, Al-P, 총빌리루빈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8) 신장: 때때로BUN 상승, 당뇨, 요잠혈이 나타날 수 있다. 
9) 기타: 인두염, 기침, 비출혈, 기관지경련, 청력이상, 시각이상, 때때로 흉통, 드물게 월경불순, 이명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1) 과량투여시 졸음이 나타날 수 있다.
2) 과민 반응의 징후가 나타나면, 복용하지 않는다.
3) 상용량을 복용할 경우, 민첩성이나 반응 시간에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았으나, 운전이나 기계조작시에는 상용량을 초과하지 말아야 하며, 약물에 대한 반응을 고려해 투여하여야 한다.

5. 상호작용 
1) 다른 항히스타민제와 마찬가지로 과량의 알코올과 병용투여 하지 않는다.
2) 테오필린(1일 400mg)과의 다용량 시험에서는 세티리진 클리어런스가 경미한 감소를 보였다.

6. 임부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동물 실험결과 기형발생이 보고 된 바 없으나 아직 충분한 연구가 없으므로 임부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2) 모유를 통해 분비되므로 수유 중에는 투여를 금하여야 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6세 미만의 유아에 대한 사용경험이 적어 투여하지 않는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은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일반적으로 신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고령자에는 혈중 농도 과다 상태가 지속될 수 있으므로 저용량으로 신중히 투여를 시작하고 이상이 인정될 경우에는 감량하거나 휴약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9.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이 약은 알레르겐 피내반응을 억제하므로 알레르겐 피내반응검사를 실시하기 3-5일 전에는 이 약을 투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투여시의 증상은 진정이다.
이 약에 대한 특별한 해독제가 없으므로 과량투여 시 대증요법 또는 지지요법을 실시한다. 단기간 과량투여 시 위 세척을 실시한다. 
이 약은 혈액투석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저장방법: 차광기밀용기, 실온(1~30℃)보관

포장단위:

* KMLE 약품/의약품 설명 및 약품 사진은 참고사항으로만 제공할 뿐, 반드시 의사/약사 및 제조 판매사와 최종 확인 바랍니다. KMLE 의학 검색 엔진은 약품/의약품의 내용에 대한 오류 및 약품 사진에 대한 오류에 대해서 어떤한 법률 책임이 없습니다.

* KMLE 약품/의약품 내용 및 약품 사진은 저작권으로 보호된 내용입니다. 무단 복제를 금지합니다.

* 약품 정보 제공
약학정보원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293 203상담전도법
2025-1, 상담전도법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8 0 998
292 202교회사역법
2025-1, 교회사역법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8 0 1028
291 201챠트작성법
2025-1, 챠트상담법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8 0 977
290 204기관운영법
2025-1, 기관운영법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7 0 1012
289 _전문상담연구
2023-2학기 전문상담연구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10 0 1017
288 201챠트작성법
신경전달물질의 원리그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0 0 1252
287 .[공지]
성경적 상담 챠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6 0 1522
286 105가정상담
가정상담 PP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0 1546
285 자료
2024-2학기, 현장강의,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17 0 1549
284 208심층상담
뉴프람정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17 0 2476
283 자료
2024-2학기, 고통상담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06 0 1553
282 자료
2024-2학기 성경적 상담세미나: 프로그램 연구법, 판서자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06 0 1593
281 104방법론
방법론 목차설명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5-27 1 1621
280 103역동성
역동성 목차설명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4-24 0 1572
279 101개론
개론 목차설명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3-21 0 1694
278 102기본원리
원리 목차설명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3-21 0 1675
277 208심층상담
[기초신경과학]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의 개요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08 1 1736
276 208심층상담
뇌의 3층구조(신피질, 구피질, 뇌간)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10 0 2794
275 208심층상담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차이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06 0 1830
274 208심층상담
파마프로시클리딘정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05 0 1850
273 103역동성
역동성 PP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02 0 1753
272 102기본원리
기본원리 PP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02 0 1754
271 101개론
개론 PP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02 1 1836
270 108고통
인간의 기관계 종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1-26 1 1937
269 자료
전체 상담챠트 그룹:A,B,C,D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1-06 0 1858
268 자료
상담챠트: 신피질, 고피질, 구피질의 뇌구조와 마음의 문제 이해 챠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0-22 0 2029
267 자료
2023-2학기, 총신대 상담대학원, 전문상담 진로연구, 판서내용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9-20 0 1960
266 105가정상담
2023-1학기, 총신대 교육대학원, 결혼과 가족상담, 강의판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19 1 1834
265 208심층상담
클로자핀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8-25 1 3608
264 105가정상담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유쾌한 부부 심리학 중에서)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07 4 3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