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학 도서 상담학 논문 상담학 설교

[심리학적연구] 한국인들의 '물질만능주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들의 '물질만능주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록 2021-12-07 16:30

김형배 |인천참사랑병원 성진규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출처] :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654560 | 하이닥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가장 가치 있는 것은 무엇일까? 각자의 답변을 가지고 있겠지만, 한국인의 경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재화’다. 지난 11월 미국의 여론조사기관 퓨 리서치(Pew Research) 센터가 주요 17개국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것’ 설문 조사에 따르면, 17개국 평균 결과에서 가족(28%)이 1위에 뽑힌 반면 한국인 응답자들만 물질적 행복(mat0erial well-being)을 1순위(19%)로 꼽았다. 또한, 올해 6월 시장조사기업 칸타의 ‘칸타 글로벌 모니터 2020’ 조사 결과에서도 한국인은 돈(53%)을 시간(20%), 열정(19%)과 비교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산이라고 응답했다. 한국인들이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물질에 가치를 더 부여한다는 증거다.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여러 사회적 이슈로 인해 불투명해진 미래 때문에 물질에 더 집착하게끔 만드는 요인이 된 것 같다”라고 밝혔다. 물론 현대 사회가 자본주의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재화’가 주는 안정감의 가치가 올라간 상황이지만, 다른 선진국과 다르게 여전히 물질을 우선시하는 한국인의 인식은 조금 씁쓸하게 느껴진다.


◇ 한국인의 물질만능주의

그 어떤 것보다 물질을 우선시하는 인식은 현대 대한민국 사회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미디어에서는 인생의 성공과 부의 축적 그리고 행복을 동일시하며, 가뜩이나 취업난과 끝없이 올라간 집값으로 인해 허탈함을 느끼고 있는 대한민국 청년들의 '상대적 박탈감'에 불을 지피고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물질만능주의다. 많은 사람들이 재화가 행복을 보장한다고 생각하고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조사 결과는 정반대라는 것이다.


대한민국 사람의 행복지수는 소득 수준과는 별개인 듯하다. 유엔의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한국의 행복지수(삶의 만족도)는 156개국 가운데 54위로, 2012년(41위)과 비교했을 때 크게 낮아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은 1990년과 비교해서 4배가 넘게 늘었지만(1인당 GDP $6,516→$29,743), 행복지수는 꾸준하게 하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행복과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이자 일리노이 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UIUC) 심리학 교수 에드 디너(Ed Diener)는 이미 2011년에 “한국인은 지나치게 물질 중심적이며 사회적 관계의 질이 낮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는 한국의 낮은 행복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라고 설명하며, “한국인의 물질중심주의적 가치관은 세계 최빈국인 짐바브웨보다 심하다”라고 강조했다.


◇ 물질주의와 정신건강

문제는, 이러한 한국인의 물질만능주의적 사고가 한국인의 정신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1992년 발표된 미주리 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 마샤 리친스(Marsha l. richins) 교수의 물질주의를 위한 소비자 가치 지향과 측정(A Consumer Values Orientation for Materialism and Its Measurement) 논문을 살펴보면, 물질주의 가치관에 물든 사람들은 ‘더 비싼 집, 차를 소유한 사람들을 존경한다’, ‘무엇이든 구매하는 행위는 나를 행복하게 만든다’, ‘더 많은 것을 살 수 있다면 나는 행복해질 것이다’ 등의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또한, 심리학자들은 물질주의 가치관이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주목했다. 지금까지 나온 수많은 연구들이 물질주의는 낮은 자존감(Low-self esteem), 높은 우울감(High-depression), 높은 불안감(High-anxiety), 그리고 낮은 긍정(Low-positivity)와 연결된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2014년 미국 심리학회(APA: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가 발표한 팀 카서(Tim kasser) 녹스 대학교(Knox College) 심리학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물질주의는 ‘낮은 수준의 행복(Lower levels of well-being)’, ‘낮은 사회적 관계의 질(Less pro-social interpersonal behavior)’ 그리고 ‘더 나쁜 학업 결과(Worse academic outcomes)’와 관련되어 있다. 카서 교수는 이뿐만 아니라, 물질주의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의 주변 사람들마저 파괴한다”라고 말했다.


◇ 불안감과 물질주의

그렇다면,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어떻게 생기는 것일까? 팀 카서 교수는 “불안감이 물질주의를 부른다”라고 말한다. 사람들이 사회적 거부감, 경제적 두려움 또는 자신의 죽음에 대한 생각 때문에 불안하거나 생존의 위협을 느낄 때 더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왜 현재 대한민국이 점점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물들어가는지 설명이 가능한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으로 인해 사람들은 건강에 대한 불안감이 늘어나고,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그리고 낮아지는 취업률, 줄어드는 혼인율 등의 사회적 문제로 점점 더 물질주의에 취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을 포함한 21개국을 대상으로 칸타가 진행한 ‘코비드19바로미터 9차 조사’에서의 코로나19상황에 대한 우려 수준’ 평가에서 한국인의 부정적 응답률이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아마 한국의 청년 자살률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은 이러한 사회적 현상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하이닥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사 김형배 원장(인천참사랑병원)은 “청년 자살률이 높아지는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안정된 환경에서 정서적 발달을 해야 할 학창 시절에 지적 발달만 강요 당하면서 올바른 정체성 확립이 어려웠을 수 있다. 정서적 발달을 통해 정신적 포용성, 유연함, 사회적 정체성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다면 실업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채 위기를 극복하기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또한 물질주의로 인한 불안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복잡한 상황일수록 마음의 여유가 더 필요하다. 해결하기 쉬운 것부터 순서를 정해 정리해 나가도록 하고, 불안과 우울감은 여가활동이나 가까운 분들과의 대화를 통해 소통하면서 한번 객관적으로 상황을 바라보시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조언했다.


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김형배 원장 (인천참사랑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출처] :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654560 | 하이닥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2-08 (수) 00:47 3년전
불안감이 물질주의를 부르는데 그럼 그 불안감은 어디서 오는 것이며 그것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단지 '마음의 여유를 가져야 함과 이를 위해서 우선순위를 정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주소 추천 0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54 혁신적연구
Is Your Assurance under Assault? by J. ALASDAIR GROVES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27 0 2958
53 ccef
Words: A Hidden Weapon of Domestic Abuse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3 1 1779
52 통합적연구
찰스 거킨의 이야기치료에 근거한 이혼위기 부부상담의 치료적 적용 - 기독교인 이혼위기 부부상담 사례를 중심으…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30 0 3480
51 신학적연구
COVID 19 이후 기독교인의 교회 공동체 상실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4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6 0 2653
50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을 위한 신경과학의 실천적 함의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6 0 3278
49 혁신적연구
기독교상담과 정신의학 : 약물치료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제안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8 0 2472
48 신학적연구
미국 복음주의 내 성경적 상담의 확장과 ‘신칼빈주의’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8 0 2668
47 통합적연구
Exploration of a Biblical Counseling Program for Depression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3 0 4203
46 혁신적연구
존 칼빈의 인간이해와 성경적 상담의 독자성 : 인본주의 상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18 0 1260
45 ccef
New Podcast Episode Season 2 (2022.3.1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15 0 872
44 ccef
Ministry, Personal Limits, and Saying “No”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3 0 1811
43 ccef
How Do I Deal With Seasonal Depression?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09 0 1735
42 심리학적연구
물질주의가 여성의 섭식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14 0 1412
심리학적연구
한국인들의 '물질만능주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08 1 2597
40 심리학적연구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불안이 만들어내는 착각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30 1 2525
39 심리학적연구
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릴까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4 1 2613
38 심리학적연구
당근과 채찍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2653
37 심리학적연구
스위치_손쉽게 극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행동설계의 힘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586
36 심리학적연구
EQ 감성지능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2878
35 심리학적연구
심리학과 목회상담(Handbuch psychologie und seelsorge)_Michael Dieter…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588
34 심리학적연구
행복의 기원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2468
33 심리학적연구
마음 읽기_황상민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1 2260
32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위기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299
31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매거진 (통권 21-5호, 이요나)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2467
30 통합적연구
아빠의 응원가 - 최고의 아빠가 되는 방법 : 탁월한 안내자로서의 새로운 아빠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7 0 1811
29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1806
28 전통적연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경적 상담 원리(전형준)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3592
27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 운동과 한국 교회 : 상담 / 김규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1 1873
26 전통적연구
성령 상담 : 성경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1970
25 통합적연구
사이버폭력 경험자들의 불안심리를 중심으로 한 단일사례연구(정혜연, 김준)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1736
24 ccef
Words: A Hidden Weapon of Domestic Abuse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3 2 1866
23 통합적연구
개혁주의 성경적 상담의 목회적 적용(정정숙)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5 0 1723
22 전통적연구
트라우마 가족 역동에 대한 그리스도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0 0 1378
21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과 인지치료: ‘마음’의 성경적 의미 고찰을 통한 성경적 접근 (김준)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9 0 1893
20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상담목회의 실천 (정정숙)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6 0 1847
19 기관연구
심리상담센터 에이레네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4 0 1655
18 기관연구
브니엘 심리상담센터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1853
17 ccef
God Wants You to Call Him “My Father”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30 1 1671
16 기관연구
워싱턴 크리스천 상담교육원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5 0 1486
15 심리학적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_상담전문과정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0 1411
14 기관연구
심리상담센터 엠브레스마인드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3 1 1364
13 기관연구
한국기독교심리상담학회(kccan)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5 0 1561
12 심리학적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생활 문화원_심리상담부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30 0 1412
11 기관연구
청년상담센터 위드WITH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7 0 1648
10 심리학적연구
한국심리학회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4 0 1403
9 기관연구
오륜상담센터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6 0 1449
8 심리학적연구
GBC미주복음방송_신앙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8 0 1426
7 심리학적연구
국제심리상담학회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8 0 1436
6 심리학적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KCPA)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1 0 1477
5 기관연구
성경적상담학회(BCS)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4 0 1504
4 기관연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KECS)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4 0 2198
3 기관연구
남서울교회 상담실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0 0 3496
2 기관연구
한국성경적상담학회(Korean association of Biblical Counseling)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0 0 3264
1 심리학적연구
한국상담학회(KCA)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09 0 306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