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주의] 청소년 상담: 지금 여기에서 발자취를 돌아보며, 나아갈 길을 다시 묻다.



청소년 상담: 지금 여기에서 발자취를 돌아보며, 나아갈 길을 다시 묻다

Youth Counseling: Looking back on the footsteps of the here and now, and asking again about the way forward

김동일 ( Dongil Kim ) , 김은향 ( Eunhyang Kim )
  •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 간행물 : 상담학연구 23권1호
  •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 발행년월 : 2022년 02월
  • 페이지 : 43-52(10pages)
상담학연구
기관 미인증
 보관함 담기  다운로드함 담기  인용하기
 

DOI

 


목차

들어가는 말
‘청소년’ 범주의 개념과 인식 변화
‘청소년 상담’ 개념과 목표의 변화
‘청소년 상담’ 내용과 방법의 변화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보기


초록 보기

본 고는 한국 청소년상담의 발전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이후 미래사회에서 청소년상담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위한 화두를 던지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범주에 대한 이해, ‘청소년 상담’의 개념과 목표, 체제 및 내용 변화를 중심으로 간략히 정리했다. 그 결과, ‘청소년’이라는 범주는 시대적 상황 및 사회적 관점에 따라 변화하고 있으며, 청소년 상담의 개념과 목표도 이와 맞물려 끊임없이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청소년상담 체제를 구축하고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청소년상담 참여자들의 특성과 다루어지는 내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 몇 가지 질문을 도출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앞둔 지금, 의미 있는 고민을 통해 상담학계 구성원들이 시대적 흐름을 읽고 변화에 대응함으로써, 청소년 상담 영역을 더욱 발전시키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development process of youth counseling in Korea and to raise a topic for setting a new direction for youth counseling in the future society. To this end, it has been briefly summarized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category of ‘youth’, the concept and goal of ‘youth counseling’, and changes in the system and cont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tegory of ‘youth’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times and social perspectives. Either the concept and goal of youth counseling have also changed constantly in line with this. Also,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growing youth counseling system, how the contents covered chan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counseling participants were examined, and some questions were derived. In the face of rapid social change after the COVID-19 pandemic, we expect that members of the counseling academia will further develop the youth counseling field by reading the times and responding to changes.

UCI(KEPA)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3-31 (목) 16:53 3년전
수고했습니다~
주소 추천 0
bowjesus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4-13 (수) 16:13 2년전
수정사항

본문이미지에 제목만 넣어서 수정해주세요^^
주소 추천 0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45 통합주의
특수교사가 장애 청소년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3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3 0 1535
통합주의
청소년 상담: 지금 여기에서 발자취를 돌아보며, 나아갈 길을 다시 묻다. 2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9 0 1566
43 통합주의
직장인의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의 관계: 일 자유의지와 소명수행의 매개효과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5 0 1549
42 통합주의
역기능 가정 성인아이에 대한 성경적 상담 : 완벽주의 성향 중심으로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15 0 752
41 통합주의
한국 목회자 자녀 문제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접근 : 칼 융의 분석심리학을 중심으로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07 0 753
40 심리학
밀턴에릭슨의 최면치료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9 0 663
39 심리학
반두라 사회학습 이론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21 0 764
38 심리학
리셋증후군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15 0 773
37 심리학
집단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07 0 829
36 심리학
일반상담과 목회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30 0 653
35 심리학
강박적인 그리스도인 2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4 1 1346
34 심리학
상처주지않고 비판하기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1269
33 심리학
아이는 왜 내 말에 상처 받을까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1283
32 심리학
기독교가족치료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1337
31 심리학
깊은분노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1210
30 심리학
아프면 아프다고 힘들면 힘들다고 외로우면 외롭다고 말하라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693
29 심리학
성경으로만 하는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3 0 662
28 심리학
격려를 통한 영적성장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4 0 672
27 심리학
상담론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564
26 심리학
두려움을 느낄때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629
25 전통주의
성경으로만 하는 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711
24 6심층유형
성경으로 상담하라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31 0 654
23 통합주의
성경적목회상담의 이론과실제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4 0 843
22 전통주의
성경적 상담신학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7 0 679
21 통합주의
성경적상담의 원리와 방법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0 0 753
20 통합주의
성경적상담과 하나님 관점의 이야기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4 0 827
19 통합주의
성경적관점으로 본 상담과사람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0 804
18 통합주의
성인아이치유를 위한 영적치유 12단계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884
17 통합주의
어머니의 첫자녀양육 스트레스에대한 질적 연구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1504
16 통합주의
성경적 변화모델의 발전과 에드워드 웰치의 기여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0 82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