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음악세션] daol, 음악세션 #1 음악세션, '처음 음악을 접했을 때의 느낌을 생각해보기'
I. 적용적해석 '오늘 음악감상을 통해서'
1. 원리: 당신이 알게 된 것(원리)은 무엇입니까? /내가 음악을 안좋아하는구나!
2. 예화: 그것을 잘 보여주는 예를 생각할 수 있으세요? /평소 듣지 않고 옛날에도 연주하는 곡만 들음. 즐겨서 좋아서 찾아보거나 듣거나 하지 않음. 쳐야될 곡이나 과제로써 찾는 것임.
3. 방법: 그것을 삶 속에서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입니까? /클레식 좋아함. 그 외에는 소음이라고 여김. 다닐 때 이어폰도 안 끼고 다님
4. 사례: 그 방법을 실천하는 자신이나 타인의 경험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반복되는 소리에 예민하고 분노 게이지 차오름
+안 좋아하는 음악, 하프를 계속한 이유? /날들보다 잘했음. 그건 확실했음.
+현재, 음악에 대한 생각은? /계속했으면 어땠을까? 6세에서 30세까지 해서 익숙하니까 쉬웠는데... 라고 생각하며 음악을 했다가 지금은 다른 일 하면서 후회한 적 있음.
<소감> /최근에 많이 생각하는 부분이 누가 시켜서 하면 안 된다.
III. 도덕적 해석 '음악 감사을 생각할 때'
1. 감상에서 나타난 ‘선주도’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친한 친구들이 결혼하는데 축주연주 하려고 함.
2. 감상에서 나타난 ‘선동참’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새로운 일을 해야 하니 어렵고
3. 감상에서 나타난 ‘중립’에 해당하는 무엇입니까 /음악과 관련없는 선택
4. 감상에서 나타난 ‘악동참’에 해당하는 무엇입니까 /열심히 연습하지 못함. 의구심...내가 교수될 수 있을까! 오케스트라는 싫고 직업의 폭도 좁았음.
5. 감상에서 나타난 ‘악주도’에 해당하는 무엇입니까 /챌린지가 오면 포기하는 스타일, 이겨낼 생각은 못 하고 바꿔버린다.
IV. 극본적해석 '음악을 들으면서 가졌던 감상을 기,승,전,결로 나누어 볼 때'
1. 발단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음악해서 크리티컬해짐. 들으려고 하기보다 평가, 관찰하다가 이런 생각이 뭔 소용인가 싶어 들으려고 했음. 슬프다 했음. 끝에는 메이저로 기쁘게 끝났음.
+음악, 악기를 시작하게 된 계기? /악기가 이뻐 보여서 ->연주하는 모습 -> 귀에 이쁜 노래가 좋음. 하프소리. /르네상스 시대 음악들, 메이저메이저하고 멜로디가 이쁜 노래 좋아함.
2. 전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부모님이 악기 하나 하면 좋겠다고 해서 하프를 선택함.
3. 절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애증 ->너무 싫은데 어쩔 수 없이 함.
4. 결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지금은 무관심, 찾아 듣지 않고 액션 하지 않음.
V. 분석적해석 "감상의 내용 중에서"
1. 단어: 가장 의미 있게 생각되는 대상이나 사물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음악은 스트레스다.
2. 어구: 그와 연결되는 추가적인 대상이나 사물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평가받고 평가해야 하고 자체를 즐기기보다 판단 받거나 되어야 하는 단두대에 올라가야 한다.
3. 문장: 그것들과 연결되는 환경이나 상황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즐겨줬으면 좋겠는데 코멘트에 익숙해지니까
4. 문단: 모든 것을 포함하는 더 큰 환경이나 상황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혼자만의 걱정. 인정받고 싶음. 인정욕구있다.
VI. 통찰적 해석
1. 본문에서 나타난 ‘신체, 행동’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음악에 집중하지 못함.
2. 본문에서 나타난 ‘감정, 감각’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슬퍼졌음. 옹글옹글 =>의미? ->슬픔, 울꺽해짐.
3. 본문에서 나타난 ‘사건, 경험’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떠오르지 않음.
+어떤 때 슬픔을 느끼는지? /최근에는 없음. 학장시절에 내가 인정욕구가 강했던 사람, 옛날 교수는 스파르타식 혼나고 칭찬에 대해 고팠음. /뚱뚱하니까 주변의 소리 들을 때 속상한 것 같음. 어떤 일이 있어도 살과 연관시킴. 살찐데 돈 준적 있나! 밥 한번 사준 적 있나! 친구들에게 자괴감, 가족은 날 안 좋아해서 저런소리하나! 싶음.
4. 본문에서 나타난 ‘이해, 해석’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뚱뚱한 게 틀린 소리는 아니니까 머리로는 아는데 받아들일 준비 안 됨.
<소감> /약간 울꺽했음.
<음악세션 소감> /내 생각을 나누는 게 어렵다. 감정 나누는 것은 어색하고 어렵기도 하다. /맞는 답이 있다고 생각하고 틀리기 싫기도 하고 감정을 나누며 저 사람이 불편하면 어쩌지! /다 애매하다. 남 의식하면 날씬하지 않을까 싶음.
+감정나누 것이 어려운 이유 /어릴 때부터 못 배운 것 같음. 유학할 때 엄마가 많은 것을 포기하고 나와 함께하심. 참는 게 익숙해짐. /주변 사람들은 것정없이 산다고 생각함. 다른 사람에게 착하고 걱정 없고 밝은 사람, 이래야 될 것 같은 느낌. 그래야 인간관계 유지되고...
+음악세션하면서 마음은? /울꺽했음.
#2 음악세션 https://www.youtube.com/watch?v=osYq60hwKb4&list=OLAK5uy_k1D8GCBuB1zZBhqmTIk_jOzM0I98V05rw -음악: 수전 맥도날드 하프연주자 연주음악 -목표: 내가 찾은 음악이 어떻게 들려지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
I. 적용적해석 "오늘 음악감상을 통해서"
1. 원리: 당신이 알게 된 것(원리)은 무엇입니까? /좋아하는 연주자이다. 역시 잘한다. 부럽다.
2. 예화: 그것을 잘 보여주는 예를 생각할 수 있으세요? /제가 내고 싶은 소리 ->동글동글 소리, 부드러운 소리
3. 방법: 그것을 삶 속에서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입니까? /비슷하게 내기 위해 듣고 따라 해 봤다.
4. 사례: 그 방법을 실천하는 자신이나 타인의 경험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열심히 연습하지 않고 좋겠다라고 생각...전공 할 때 찾아 들음. ->요즘은 소리, 음악 자체가 싫음.
II. 관점적해석 ‘음악의 감상을 생각해 볼 때’ (설정한 음악감상의 기준에 의해서)
1. 자신: 자기 자신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무엇입니까? /슬픈 음악 듣는 것이 싫고 우는 것을 싫어한다. 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것 같다. 나에게 드러내도 불편하다. 공감 못하겠음. =>이유? ->모르겠다.
2. 타인: 타인(특정한 의식대상)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무엇입니까? /친구는 슬플 때 듣고 울면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함. 어떤 음악을 듣든 흥분돼서 잘 써진다고 함. 친구들은 음악에서 힐링 받는 것 같음. 엄마도 명상음악 듣는다. 자기만의 색, 힐링, 재미 찾는 것 같음.
3. 하나님: (감상 속에서 하나님의 모습을 떠올려본다면) 하나님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무엇입니까? /재능... 포기 안 하고 갔어도 나 혼자 잘난 맛에 현실감과 동떨어졌을 것 같음.
4. 사탄: (감상 속에서 사탄의 모습을 떠올려본다면) 사탄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무엇입니까? /방해물... 짜증난다는 감정
*추가질문 +성향 /제 의견 스타일이 없는 것 같고. 취향은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해야지 하고 고른다.
III. 도덕적 해석 => ‘음악의 감상을 생각할 때’ (설정한 음악감상의 기준에 의해서)
1. 감상에서 나타난 ‘선주도’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결혼하려고 살 빼야지! 다이어트 부모님의 강요. 노력하고 싶지 않음. 살빼야 좋은 남자 만나고 결혼은 꼭 목표는 아니지만 충격요법이 없는 것 같음.
2. 감상에서 나타난 ‘선동참’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그만 먹는 것, 운동
3. 감상에서 나타난 ‘중립’에 해당하는 무엇입니까 /최선을 다한 적이 없다. 내가 하고 싶은 게 없어서 부모님의 사회적 위치를 생각하게 됨. ->잘 모르겠는데 카페하고 싶었음. 근데 이것도 진짜하고 싶은 것인지 모르겠음. 꿈이 있는 사람은 아닌 것 같음. ->내가 원하는 대로 해 본 적이 없었음. 어른 들 말이 옳고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했을 때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는 확신 없음. 내 안에서 나는 최선을 다했음.
4. 감상에서 나타난 ‘악동참’에 해당하는 무엇입니까 /노력 부족인 것 같다. 딴 것을 찾아보자 하고 내가 포기했음. 열심히 살지 못했음. 자기 일, 맡은 것.
5. 감상에서 나타난 ‘악주도’에 해당하는 무엇입니까 /게으름. 귀찮음. 성격
IV. 극본적해석 "음악을 들으면서 가졌던 감상을 기,승,전,결로 나누어 볼 때"
1. 발단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잘한다.
2. 전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와~나도 계속 했을텐데...
3. 절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부러움
4. 결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그만 두 길 잘했다. 음악 안 한 것. 음악 하는 시선이 좋지 않고 공부로 바꾼 것은 잘한 것임.
VI. 통찰적 해석
1. 본문에서 나타난 ‘신체, 행동’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음악 소리 듣고 동글동글하다는 것을 나도 내고 싶다.
2. 본문에서 나타난 ‘감정, 감각’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감미롭다. ->편안함.
3. 본문에서 나타난 ‘사건, 경험’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그런 음악을 들을 때 안 거슬린다. 때리는 소리는 짜증난다.
4. 본문에서 나타난 ‘이해, 해석’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저런 소리여야지 +좋아하는 음악 색깔? ->밝고 멜로디가 있어야 함. 마이너는 안 좋아함. 옛날부터 메이저는 마음에 들고 연습도 더 잘했음.
<소감> /의지가 없는 사람이구나! =>의미는? ->문제를 기피 한다. 헤쳐 나가지 않는다. /좋은 환경에 태어나서 다행이구나! 경쟁이 심한 사회인데 훌륭한 부모덕에 치열하게 안 살아도 되는구나!
=>의지가 없는 게 아님. 지배하려고 하지 않고 능력을 나타내며 활용, 발전시킬 수 있는 고피질적 생각을 가져야 함. 상담을 통해 자신을 제대로 알아갈 수 있고 올바른 기준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임.
#3 음악세션 Maroon 5 - Memories (Official Video) https://youtu.be/SlPhMPnQ58k?si=3ZJIOJlbxA3SYWwD -목표:선택한 팝송 음악을 듣고서 과정자체를 의미있게 생각하려고 할 때 마음이 어떤지를 생각해 보기
I. 극본적해석 "음악을 들으면서 가졌던 감상을 기,승,전,결로 나누어 볼 때" 1. 발단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노래하는 가수의 매니저가 죽었을 때 부른 노래이고 내가 키우던 강아지가 죽어서 잃어버린 비슷한 시기에 이 노래 덕분에 치유 받은 경험이 생각남. 2. 전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감미롭고 따스하게 해줌. 위로해주는 느낌. 3. 절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당시 위로받았던 느낌이 떠오름. 4. 결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하늘 간 아이(강아지)가 생각나서 뭉글해짐. ->미안한 것 많고, 보고 싶다는 마음, 고마움 등 복합적임. II. 적용적해석 "오늘 음악감상을 통해서" 1. 원리: 당신이 알게 된 것(원리)은 무엇입니까? /오랜만에 키우던 강아지가 생각 남. /잃고 속상한 마음. 그리운 마음. 2. 예화: 그것을 잘 보여주는 예를 생각할 수 있으세요? /일단 감정 무시함. 남은 아이(강아지)를 통해 위로받음. 두 마리 중 한 마리가 죽고 한 마리는 살아있음. 3. 방법: 그것을 삶 속에서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입니까? /내가 건강하게 이겨낸 것은 아닌 것 같음. 시간이 약이다고 생각. 2년 정도 지나니까... 4. 사례: 그 방법을 실천하는 자신이나 타인의 경험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지금은 가족과 얘기함. 못해 준 것 얘기함. 12년 살았는데 후회, 아쉬운 것. 미안한 것. III. 통찰적 해석
1. 감상하며 나타난 ‘신체, 행동’은 무엇입니까? /재미는 잘 나눔. 2. 감상하며 느껴진 ‘감정, 감각’은 무엇입니까? /슬픈 감정은 피함. 감정 드러내는 게 불편 ->이유는 모르겠음. 3. 감상하며 기억한 ‘사건, 경험’은 무엇입니까? /기쁨, 즐거움 표현을 못 하는 것 같음. 표현 못하고 간직함. ->누구에게 말한다고 해결해 줄 수 있는 아니고... /문닫고 들어가 있음. 저 혼자 해결되면 재밌게 썰처럼 얘기함. 긍정적인 것만... 4. 감상하며 알게 된 ‘이해, 해석’은 무엇입니까? /이해, 공감은 해주지만 제가 원한 위로받지 못함. IV. 관점적해석 ‘음악 감상을 생각해 볼 때’ (설정한 음악감상의 기준에 의해서) 1. 자신: 자기 자신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무엇입니까? /제 삶에 대해 후회 안 함. 다른 사람에게는 제가 잘났다고 생각. 나를 만났던 애들이 복 받았다고 생각됨. 나는 판단하는 사람이 아니고, 싸우는 것 싫어하고, 그대로 받아주고, 고쳐주면 좋겠다고 하면서 안 하면 그 사람 성격이지라고 생각함. /나는 1등 신부감이라고 생각. 요리 잘하고, 대학교 대학을 자취 경험, 집안 일 잘하고, 잘 맞춰주고 말도 이쁘게 하고... 2. 타인: 타인(특정한 의식대상)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무엇입니까? /외적인 것, 제가 원하는 남자는 날씬한 여자 원함. 내가 좋다는 사람은 있는데 낮춰서 결혼하고 싶지 않음. /다이어트...남들에게 보여지게 하기 위함...포기하게 됨. /최근 피검사 했는데 도파민이 낮다고 함. 다이어트 시키니까 하니까 그런 것 같음. 3. 하나님: (감상 속에서 하나님의 모습을 떠올려본다면) 하나님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무엇입니까? 4. 사탄: (감상 속에서 사탄의 모습을 떠올려본다면) 사탄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무엇입니까? V. 도덕적 해석 => ‘음악 감상을 생각할 때’ (설정한 음악감상의 기준에 의해서) 1. 감상에서 나타난 ‘선주도’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좋은 생각. 행복했던 추억 2. 감상에서 나타난 ‘선동참’에 해당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강아지와 함께 있어 주는 것에 대해 가족이 함께 스케줄 짠다. 3. 감상에서 나타난 ‘중립’에 해당하는 무엇입니까 /아쉬움. 잘해줬더라면 더 오래 살지 않았을까라고 생각. 4. 감상에서 나타난 ‘악동참’에 해당하는 무엇입니까 /평소에 강아지 혼자 두지 않았음. 그날따라 강아지만 놔두고 2시간 비웠음. 이후 고개 쳐들고 24시간 내 죽음. 자책 5. 감상에서 나타난 ‘악주도’에 해당하는 무엇입니까 /지금은 1분도 강아지 혼자 두지 않음. +추가 /가족 분위기...항상, 많이, 자주 함께함. 모던 패밀리 /가족 화목, 오빠, 저, 엄마, 아빠...서로 의견 존중, 물어보고 결정도 다 의견 모아서 내리고... /제 의견을 말하지 않고 하자는 대로 하는 편... =>이유? ->모르겠음. 의견 내는 게 귀찮음이 큰 것 같음...안 맞을 때는 짜증. *소감
/결과보다 과정 중요시하라고 하는데 머리로는 이해되지만 안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