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학 도서 상담학 논문 상담학 설교

[심리학적연구] 실존주의 상담이론



 

실존주의 상담

 

existential counseling , 實存主義相談 ]

요약 인간에 대한 실존주의 철학의 기본 가정을 현상학적 방법과 결합시켜 내담자에게 자신의 내면세계를 있는 그대로 자각하고 이해하도록 하며, 지금-여기의 자기 자신을 신뢰하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는 상담접근법
분야 실존주의 상담

현상학적 방법이란 주관적 관찰자의 입장에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접근으로 인간에 대해 관념적으로 정확한 자료를 얻기보다는 실존적으로 진실한 것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실존주의 상담이론은 다른 이론들과는 달리 특정한 한두 사람의 창시자가 만들어 낸 단일 체계의 이론이 아니라 신학과 철학, 정신의학, 심리학, 교육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 발달한 이론들의 묶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상담이론이라기보다는 상담의 철학이자 인간을 보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실존주의 상담이론은 정신분석과 행동주의 상담이론의 분석적이고 조작적인 관점과는 달리 내담자의 내면적 세계를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인본주의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

실존주의 상담의 출발은 초기 이성론과 경험론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던 실존주의 철학이다. 따라서 실존주의 상담은 잘 알려진 실존주의 철학자인 키르케고르(Kierkegaard), 니체(Nietzsche), 하이데거(Heidegger), 사르트르(Sartre), 부버(Buber) 등이 보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고 있다.

실존을 통한 인간의 불안과 무의미성에 초점을 둔 키르케고르는 실존주의(existentialism)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인물로서, 실존에 던져진 인간은 의미를 창조할 자유를 가지고 있으며 개인적 실재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의미와 목적이 부재하거나 삶의 질서가 없는 것을 허무주의(nihilism 혹은 nothingness)로 일컬은 니체는 허무주의에 빠지면 인간은 불안, 분노, 정신적 공포를 갖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선악의 보편적 근원을 나타내는 외부의 도덕성을 거부하고, 도덕적 삶의 책임은 개인과 선택의 자유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키르케고르와 니체의 영향을 받은 하이데거는 세계 안에서 세계의 일부도 아니요 개인의 일부도 아닌 부정할 수 없는 실재로서 세계 안에 존재하는 인간을 현존재(Dasein)라고 하였다. 그는 현존재는 세계 안에서 다른 많은 개인과 관계를 맺는 가운데 본래적인 존재양식을 상실하고 평균화되며, 책임을 지지 않는 몰개성적인 인간으로 전락하고, 불안에서 헤어날 수 없다고 보았다. 이러한 불안으로부터 벗어나려면 본래적인 자기를 근원적으로 이해하고 본래적인 자기로서 존재할 것을 결단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였다. 또한 인간의 충족감은 세계로부터 생기는 것이 아니라 순간(지금-여기)의 경험을 통해서 생긴다고 하였다.

칸트(Kant), 헤겔(Hegel),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은 사르트르는 모든 행위, 사건, 사고 및 결정은 이전의 발생결과에 따른다는 결정론(determinism)의 견해를 부정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인간을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과거가 아닌 순간(지금-여기)에 기초하여 선택을 하고, 고정적이지 않고 어딘가로 생성되어 가는 진전되는 존재(on a journey of becoming)로 보았다. 부버는 '너' 없는 '나'는 존재할 수 없으며 각 개인은 다른 사람과의 경험이나 대면을 통해서 변화된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인간의 삶에서 긴급함을 야기하는 죽음이 인간으로 하여금 현재에 충실하도록 이끌며, 이는 다른 사람들과의 경험에 충실해지도록 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인간의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초점을 두며, 인간은 죽을 수밖에 없는 운명의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고 이러한 종국적 죽음의 그림자에서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실재에 대한 지각을 재구성하고 과거나 미래가 아닌 현재의 경험에 충실해야 한다는 실존주의 철학자들의 견해는 실존주의 상담이론의 견고한 기초가 되었다. 상담 및 심리치료에 이러한 실존주의 철학을 적용하여 실존주의 상담을 주창한 인물로는 빈스방거(L. Binswanger), 보스(M. Boss), 프랭클(V. Frankl), 메이(R. May), 얄롬(I. Yalom) 등이 있다.

실존주의 상담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세계를 있는 그대로 자각하고 이해하도록 하며, 지금-여기의 자기 자신을 신뢰하도록 하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무엇보다도 실존주의 상담의 목표는 내담자가 자각을 통하여 자신의 문제를 직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자기 존재의 본질에 대하여 각성하고 현재 자기가 경험하고 있는 불안과 갈등 및 장애의 원인이 자기상실 내지는 논리의 불합리성에 있다는 것을 각성토록 하여 내담자가 비록 제한된 세계 내에서의 존재일 망정 이 세상에 던져진 삶을 수동적으로 살아갈 것이 아니라 자기 나름대로의 주관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삶의 방향을 선택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무엇보다도 내담자와 상담자의 관계를 매우 중시한다. 상담자와 내담자가 '참만남'을 경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참만남이란 새로운 세계가 열리고 새로운 사고방식을 경험하여 세계관과 성격에 현격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내적 경험이다. 참만남은 무지나 착각으로부터 갑작스럽게 해방되는 경험이며, 정신적 시야를 넓혀 삶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메이는 상담과정을 친밀한 관계의 수립, 고백, 해석, 내담자의 인격 변형의 4단계로, 프랭클은 증상의 확인, 의미의 자각, 태도의 수정, 증상의 통제, 삶의 의미발견의 5단계로 제시하였다.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경우에 따라 자유연상법, 질문법, 해석 등 정신분석의 몇 가지 원리와 기법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실존에 접근해 가기도 하지만, 정신분석에서와는 달리 과거의 원인과 경험을 찾아 치료하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지금-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과 현상학적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여 내담자의 문제사례를 실존개념으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실존주의 상담에서는 인간중심상담의 원리를 많이 적용하기도 한다. 즉, 내담자의 주관적 세계를 중시하고,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상담자의 자세를 견지한다. 존중과 공감을 바탕으로 한 수용적 분위기에서 내담자의 솔직한 감정을 이끌어 내는 것도 그와 유사하다. 또 형태주의 상담과 의사교류분석의 방법도 활용되고 지식적인 방법, 직면(confrontation)이나 역설적 의도(paradoxical intention), 탈숙고(de-reflection)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실존주의 상담 [existential counseling, 實存主義相談]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635 심리학적연구
마음처방전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2893
634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2508
633 심리학적연구
너무 신경썼더니 지친다 1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7 1 2390
632 심리학적연구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1551
631 심리학적연구
이젠 내 힘으로 공부할 수 있어요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2641
630 심리학적연구
부부문제로 꼼짝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1600
629 심리학적연구
당근과 채찍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2962
628 심리학적연구
상처주지않고 비판하기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2510
627 심리학적연구
z세대 부모를 위한 SNS심리학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2847
626 심리학적연구
이단에 빠진사람들의 정서와 심리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2378
625 심리학적연구
젊은 ADHD의 슬픔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2 1 2458
624 심리학적연구
하버드 회복탄력성 수업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2884
623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참으려고만 할까? 1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2438
622 심리학적연구
아이는 왜 내 말에 상처 받을까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571
621 심리학적연구
그럴수도 있지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706
620 심리학적연구
엄마표 마음처방전 (0세부터 12세까지 우리 아이 심리학)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2411
619 심리학적연구
스위치_손쉽게 극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행동설계의 힘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896
618 심리학적연구
설득의 심리학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0 1551
617 심리학적연구
청소년을 위한 진로상담 이론과 실제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3053
616 심리학적연구
사이코패스는 일상의 그늘에 숨어지낸다.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8 1 2548
615 심리학적연구
아들러 심리학 입문(오늘을 살아가는 무기, 용기의 심리학) 1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7 1 2598
614 심리학적연구
신이 된 심리학 2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2985
613 심리학적연구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2711
612 심리학적연구
기독교가족치료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796
611 심리학적연구
정신과 의사에게 배우는 자존감 대화법 3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529
610 심리학적연구
우울증, 슬픔과 함께 온 하나님의 선물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625
609 심리학적연구
EQ 감성지능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3188
608 심리학적연구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2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1 2563
607 심리학적연구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2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2589
606 심리학적연구
가르치고싶은 엄마 놀고 싶은 아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30 1 2365
605 심리학적연구
회복력 수업 1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9 1 2597
604 심리학적연구
가짜감정 2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2914
603 심리학적연구
내가 예민한게 아니라 네가 너무한 거야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2600
602 심리학적연구
핵심감정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3 1 2885
601 심리학적연구
심리학과 목회상담(Handbuch psychologie und seelsorge)_Michael Dieter…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3032
600 심리학적연구
깊은분노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452
599 심리학적연구
새터민 아동을 위한 교육멘토링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1 2477
598 심리학적연구
남자아이 심리백과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430
597 심리학적연구
레즈비언 혁명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2587
596 심리학적연구
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 2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2313
595 심리학적연구
스키너의 심리상자 문열기 1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2483
594 심리학적연구
당신이 옳다 1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2350
593 심리학적연구
감정코칭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2676
592 심리학적연구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1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4 1 3022
591 심리학적연구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2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2 1 2537
590 심리학적연구
행복의 기원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2822
589 심리학적연구
아프면 아프다고 힘들면 힘들다고 외로우면 외롭다고 말하라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378
588 심리학적연구
프레임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535
587 심리학적연구
화내는 부모가 아이를 망친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505
586 심리학적연구
우리들의 MBTI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0 1437
585 심리학적연구
오은영의 화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7 0 1238
584 심리학적연구
인간 이해와 상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9 1 2424
583 심리학적연구
영혼을 생기나게하는 영성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5 0 1660
582 심리학적연구
마음 읽기_황상민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1 2587
581 전통적연구
성경으로만 하는상담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3 0 1663
580 심리학적연구
저는 심리학이 처음인데요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326
579 심리학적연구
틱증상, ADHD, 발달장애 가정에서 치료하기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436
578 심리학적연구
매우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책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459
577 심리학적연구
은혜로 사는 부부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1 0 1421
576 심리학적연구
더 해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0 0 1563
575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상담자를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의 과정과 실제 2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2584
574 심리학적연구
사람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2912
573 심리학적연구
불안한 마음 괜찮은걸까?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5 0 1652
572 심리학적연구
크리스천 노인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5 0 1564
571 심리학적연구
격려를 통한 영적성장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4 0 1456
570 심리학적연구
설득의 심리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3 0 1466
569 심리학적연구
미움받을 용기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3 0 1483
568 심리학적연구
하나님 저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0 1270
567 심리학적연구
구조화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누구나 쉽게 집단상담을 할 수 있는 방법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0 1521
566 심리학적연구
관계의 기술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1 0 1478
565 심리학적연구
상담론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188
564 심리학적연구
Z세대 부모를 위한 SNS 심리학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447
563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을 만나 행복해졌다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359
562 심리학적연구
내 안의 어린아이가 울고 있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0 1425
561 심리학적연구
코로나블루 긴급처방전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0 1497
560 심리학적연구
홀로서기 심리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0 1452
559 심리학적연구
예수님 마음담기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0 1365
558 심리학적연구
상담학 개론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4 0 1290
557 심리학적연구
대상관계상담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3 0 1429
556 심리학적연구
두려움을 느낄때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336
555 심리학적연구
엄마와 딸의 심리학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505
554 심리학적연구
왜 얼굴에 혹할까?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286
553 심리학적연구
돈의 심리학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484
552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나를 사랑하지 못하는 걸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3 1 2816
551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자 아버지가 아들, 딸에게 보내는 편지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2 0 1520
550 심리학적연구
마음을 살리는 실천심리상담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1 0 1359
549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설교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0 0 1440
548 심리학적연구
마음코칭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8 0 1477
547 전통적연구
성경으로만 하는 상담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524
546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위기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475
545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상담과 일반상담의 차이점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551
544 심리학적연구
유리멘탈을 위한 심리책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1 2697
543 심리학적연구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5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6 1 2582
542 심리학적연구
목사와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6 0 1369
541 심리학적연구
오은영의 화해 상처받은 내면의 나와 마주하는 용기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5 0 1387
540 심리학적연구
기독교상담학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4 0 1590
539 심리학적연구
두려움을 느낄때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4 0 1325
538 심리학적연구
심리학, 신학, 영성이 하나 된 기독교 상담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2 0 1534
537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신학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31 0 1667
536 6심층유형
성경으로 상담하라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31 0 1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