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관점해석] 나는 환각과 망상이 두렵습니다. 어떻게 위로와 희망을 찾을 수 있습니까? (I’m terrified of my hallucinations and delusions. How can I find comfort and hope?)



 

<구글번역> 

이 질문을 한 사람이 겁에 질린 단어를 사용했는데 적절한 단어입니다. 정신병과 환각과 망상은 우리로 하여금 무엇이 진짜인지 의심하게 만들기 때문에 정말 무섭습니다. 무엇이 진짜이고 누가 진짜인가? 나는 누구를 신뢰합니까? 그래서 그 모든 것이 갑자기 공중에 떠올랐고 확실성은 일종의 창밖으로 사라졌습니다. 그래서 무섭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도울 방법, 위로나 희망을 가져다 줄 방법에 대해 생각할 때 생각하고 싶은 두 가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들은 정의를 행할 수 없을 것이지만, 희망과 위안이 어떤 모습일지 보여주는 샘플입니다.

위로는 하나님이 함께 하신다는 것입니다. 그는 알고있다; 그는 멀리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시편 103편 14절에서 말했듯이 그분은 우리의 체질을 아십니다. 그래서 위로는 이것이다: 하나님은 당신을 아십니다. 무엇이 진짜인지, 누구를 믿어야 하는지 당신이 모르더라도 그는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당신을 봅니다. 그리고 두 번째 조각인 닻입니다. 그래서 나의 위로는 무엇입니까? 그러면 나의 소망은 무엇입니까? 희망은 그가 변하지 않는 것, 당신의 세상이 변하더라도 그는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는 제임스에게서 그것을 봅니다. 우리는 비록 우리가 신실하지 않을지라도 그는 신실하다고 언급된 것을 봅니다. 그리고 시편 121편에서 우리는 하나님이 지키시는 분이라는 것을 다른 형태로 봅니다. 우리가 스스로를 지킬 힘이 없을지라도 그는 우리를 지키시는 파수꾼입니다. 그리고 그것에 연결하여 그는 당신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것입니다. 그래서 두렵고 불확실한 세상을 만들어도 편안함은 그가 당신을보고 당신을 알고 당신의 틀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희망은 그가 닻이고 당신이 자신을 지킬 수 없더라도 그가 당신을 지킨다는 것입니다.

 

토드 스트라이드 학부

주제:

불안 , 정신 장애 , 정신 분열증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5-07 (토) 12:37 2년전
The individual who asked this question uses the word terrified, and it’s an appropriate word. Psychosis and hallucinations and delusions, they really are terrifying because they make us call into question what is real. What is real and who is real? Who do I trust? So all of that, all of a sudden, becomes up in the air, and certainty sort of goes out the window. So it is terrifying. And I think there’s two things that I’d want to think about when we think about how to help, how to bring comfort or hope. These are not going to be able to do it justice, but it’s a sample of what hope and comfort may look like.

Comfort is that God is with you. He knows; he is not far away. And as Psalm 103 says, verse 14, he knows our frame. So the comfort is this: God knows you. Even if you don’t know what is real or who to trust, he knows. And he sees you. And then the second piece, the anchor. So what is my comfort? And then what is my hope? The hope is that he does not change, that even though your world is changing, he does not change. We see that in James. We see it also referenced, that even if we are unfaithful, he is faithful. And then in Psalm 121, we see it in a different form that God is the keeper. He is the keeper who keeps us, even if we’re powerless to keep ourselves. And connected to that, he will not let your foot slip. So even though this is terrifying and it creates an uncertain world, the comfort is that he sees you and he knows you and he knows your frame. And the hope is that he is the anchor and he keeps you, even if you can’t keep yourself.

Todd Stryd
Faculty
Topics:
ANXIETY, PSYCHIATRIC DISORDERS, SCHIZOPHRENIA
주소 추천 0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QR CODE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688 f통찰해석
작은 결정도 중요합니다: 일상 생활을 위한 분별력 (Small Decisions Matter: Discern…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6 1 1007
687 심리학
작은 결정도 중요합니다: 일상 생활을 위한 분별력 (Small Decisions Matter: Discern…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6 1 1347
686 통합주의
가출청소년아웃리치에 적용한 성경적상담 3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8 0 1574
685 5관계유형
농촌교회 노인대상 성경적 상담 적용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iblic… 1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3 0 962
684 f통찰해석
기독교 미혼 여성들의 자아존중감 연구-부모의 양육 태도를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1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7 0 969
683 통합주의
성경적상담을 통한 자아정체성의 회복이 배우자 선택의 기준에 미치는 영향 2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30 0 1779
682 통합주의
기독교 목회자들의 연령세대에 따른 상담유형 연구 :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상담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 1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1 0 1444
681 5관계유형
성경적 관점에서 바라 본 성인초기 불안문제에 대한 연구 1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4 0 983
680 a적용해석
God Does Not Despise the Small Things (하나님은 작은 것을 멸시하지 않으신다)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2 0 1167
679 심리학
God Does Not Despise the Small Things (하나님은 작은 것을 멸시하지 않으신다)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12 0 1416
b관점해석
나는 환각과 망상이 두렵습니다. 어떻게 위로와 희망을 찾을 수 있습니까? (I’m terrified of m…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7 0 1001
677 심리학
나는 환각과 망상이 두렵습니다. 어떻게 위로와 희망을 찾을 수 있습니까? (I’m terrified of m…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7 0 1294
676 b관점해석
자녀가 마음을 아프게 할 때 부모로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What do we do as paren…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7 0 991
675 심리학
자녀가 마음을 아프게 할 때 부모로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What do we do as paren…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7 0 1315
674 b관점해석
How to Care Well for Your New Counselee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5 0 1280
673 심리학
How to Care Well for Your New Counselee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05 0 1460
672 심리학
비폭력 대화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30 0 665
671 혁신주의
미혼모를 위한 성경적 상담 2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3 0 1376
670 통합주의
찰스 거킨의 이야기치료에 근거한 이혼위기 부부상담의 치료적 적용 - 기독교인 이혼위기 부부상담 사례를 중심으…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30 0 1804
669 통합주의
회피성 성격장애 치료를 위한 용기 이해와 기독교 상담에서 용기 구축 방안 1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12 0 1684
668 신학
COVID 19 이후 기독교인의 교회 공동체 상실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4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6 0 1358
667 통합주의
기독교상담을 위한 신경과학의 실천적 함의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6 0 1540
666 혁신주의
기독교상담과 정신의학 : 약물치료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제안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8 0 1335
665 신학
미국 복음주의 내 성경적 상담의 확장과 ‘신칼빈주의’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08 0 1495
664 통합주의
다문화사회에서의 성경적 상담 3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9 0 1448
663 통합주의
특수교사가 장애 청소년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3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3 0 1486
662 전통주의
'일대일제자양육 성경공부'를 통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 두란노편집 교재 사용 5 승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5 1 1249
661 통합주의
성경적 상담에서의 성경활용= The Use of The Bible in the Biblical Counsel… 2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6 0 1576
660 통합주의
수치심 치유를 위한 성경적 상담에 관한 연구 2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7 0 1518
659 통합주의
연구논문: 성경적 상담 관점에서 본 이야기치료 2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3-28 0 1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