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학 도서 상담학 논문 상담학 설교

[통합적연구] 격려를 통한 영적 성장



[크게보기]


책소개

『격려를 통한 영적 성장』은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성경적 상담학자 래리 크랩과 댄 알렌더가 ‘성경적 상담’의 기초를 다룬 책이다. 이 책은 서로 격려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이며, 지역 교회에서 어떻게 서로를 격려하며 살 수 있는지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격려란 한 사람의 인생 여정에 합류하여 그가 장애물과 피로에 지칠 때에도 그 길을 계속 가도록 도움으로써 그리스도인으로 좀 더 성장하도록 돕는 일이다. 두 저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더불어 실제 상담 사례들의 통찰을 담은 이 책은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회복시켜 영향력 있는 예배와 섬김의 삶을 살도록 격려하려는 그리스도인 리더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저자

저자 : 래리 크랩
저자 래리 크랩 (Larry Crabb)은 저명한 그리스도인 작가이자 심리학자, 강사, 성경 교사로서 상담과 강연뿐 아니라 영향력 있는 저서들을 통해 수많은 독자들에게 하나님을 증거하고 그분을 발견하는 길을 안내해 왔다. 자신의 개인적 고통의 체험에서 시작된 그의 영적 여정은, 성경적 상담에 천착하면서 그 기초를 다졌고, 이후 교회 공동체를 통한 치유를 거쳐, 성령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응답하는 데까지 몇 번의 변화와 성숙을 맞았다. 그의 저서들은 이 같은 영적 여정의 기록이다. 학부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임상 심리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플로리다 애틀랜틱 대학교 심리상담센터 소장을 역임했고, 오랫동안 전미기독상담인연합에서 영성 지도자로 섬겨 왔으며, New Way Ministries를 설립해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 회복 및 지역 교회의 영적 리더십과 공동체 형성에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대표작 「영적 가면을 벗어라」 외에 「고통 속에서 하나님을 발견하다」(복 있는 사람), 「결혼 건축가」(두란노), 「끊어진 관계 다시 잇기」(요단), 「깨어진 꿈의 축복」(살림), 「래리 크랩의 파파기도」(IVP) 등이 있다

저자 : 댄 알렌더
저자 댄 알렌더(Dan Allender)는 북미 복음주의 기독교 상담학을 대표하는 저자이자 강사이다.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를, 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그레이스 신학교와 콜로라도 기독대학교에서 수년간 기독교 상담학을 가르쳤다. 마스힐 대학원을 설립하여 학장이자 교수로 섬기고 있는 그는, 자기 삶의 고백이 담긴 저서와 강연으로 회복과 사랑과 용서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저서로는 「담대한 사랑」(공저, 이레서원) 외에 「나를 찾아가는 이야기」(IVP), 「약함의 리더십」(복 있는 사람) 등이 있다.

역자 : 김성녀
역자 김성녀는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주리 주립대학교에서 광고 언론학을 공부했다. IVP 편집부에서 다년간 일했으며, 현재 가족과 함께 캐나다 밴쿠버에 살면서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너무 바빠서 기도합니다」「래리 크랩의 파파기도」「나를 찾아가는 이야기」「하나님의 러브레터」(IVP), 「약함의 리더십」(복 있는 사람) 등이 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서문
1장 들어가는 글

1부 격려란 무엇인가
2장 때에 맞는 말에는 위력이 있다
3장 표면적 공동체_ 격려의 장애물
4장 완전한 개방_ 잘못된 해결책
5장 전적인 헌신_ 올바른 해답
6장 격려자의 성품
7장 우리는 언제 자신의 감정을 말해야 하는가

2부 격려의 과정
8장 격려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9장 격려_ 변화를 위한 환경
10장 격려할 기회 만들기
11장 기회를 포착하라
12장 격려의 기술 1
13장 격려의 기술 2
14장 지역 교회_ 회복의 공동체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책 속으로

교회에서 사람들과 함께 저녁 식사를 하거나 소그룹으로 모일 때, 또는 주일 예배가 끝나고 주차장에서 마주칠 때 우리가 하는 말은 대부분 사교 차원에서 그친다. 자신의 말에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아는 사람은 극히 적다. 왜 우리의 말에는 능력이 없을까? 우리가 하는 말이 정말 중요하기는 한 것인가? 일반적으로 우리는 어떤 식으로 언어를 사용하는가?
_ ‘3장 표면적 공동체_ 격려의 장애물’ 중에서(33쪽)

그리스도인은 당연히 나누는 삶을 산다. 우리는 하나님의 거룩한 성품에 함께 참예하고, 내주하시는 한 성령을 모시며, 같은 주를 섬기고 같은 명분을 따르며, 같은 말씀에 순종하고 같은 운명을 고대한다. 우리는 교제를 통해 공동의 신앙 유산을 체험해야 한다. 하지만 나눔이라는 개념을 너무 값싸게 취급했다. 그래서 오늘날 나눔의 의미는 서로에게 그리스도를 드러내기보다는 자신을 내보이기로 전락했다.
_ ‘4장 완전한 개방_ 잘못된 해결책’ 중에서(55쪽)
때로 하나님은 우리를 불편하고 좌절스럽게 하는 사람들을 격려하라고 하신다. 그래서 우리도 때로는 화나고 속상할 것이다. 하나님은 불완전한 우리를 부르사, 문제와 실망으로 가득한 세상과 싸우며 살아가라고 하신다. 긴장과 낙심, 염려와 죄책감, 자신의 부족함이 느껴질 때도 있을 것이다. 상대방 중심의 격려자가 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화산처럼 부글부글 끓는 감정을 안 그런 척하거나 억눌러서는 안된다. 감정 억압이 다른 사람 보기에는 영적으로 성숙해 보일 수도 있지만(그래서 자신과 상대방을 기만할 수도 있지만), 그것이 정말로 온전한 성숙을 촉진하지는 못한다. 억압은 압박감과 기만을 낳는다. 좋지 않은 감정을 부정하는 데 뛰어난 사람은 상대방에게 깊은 격려가 되는 힘 있는 말을 할 수 없다.
_ ‘7장 우리는 언제 자신의 감정을 말해야 하는가’ 중에서(89쪽)

하나님께 순종하기 위해 인간적인 관계를(사람들의 용납, 인정, 사랑 등을) 모두 잃을 수밖에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종하기로 결심할 때, 나를 옭아매는 두려움에서 자유로워진다. 그리고 관계가 깨어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자유로울 때만, 나의 동기도 사랑에 성큼 다가선다. 주일 성경공부 시간에 내가 잘 모르는 사람이 당황할 때, 또는 친한 친구가 문제를 잘못 처리하고 있을 때, 내 말이 사랑에 근거했다면 격려하는 힘을 발휘할 것이다. 이 역설을 주목하라. “상대방을 사랑하려면 그 사람과의 관계가 깨어질 각오를 해야 한다.” 하나님 외의 누군가에게, 또는 무엇에 매달리는 것은 결국 다 우상숭배다. 우상숭배의 뿌리는 잘못된 신에 대한 두려움이다.
_ ‘8장 격려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중에서(107-108쪽)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출판사서평

“소그룹 리더들의 오랜 사랑을 받아 온 ‘성경적 상담’을 위한 필독서!“
내가 하는 말이 그 사람의 삶에 정말 영향을 줄까?
어떻게 하면 한 사람을 격려하고 일으켜 세울 수 있을까?
우리 교회는 사람들을 회복시켜
영향력 있는 섬김의 삶을 살게 할 수 있을까?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성경적 상담학자 래리 크랩과 댄 알렌더가 ‘성경적 상담’의 기초를 다룬 이 책은, 서로 격려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이며, 지역 교회에서 어떻게 서로를 격려하며 살 수 있는지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이들이 말하는 격려란, 한 사람의 인생 여정에 합류하여 그가 장애물과 피로에 지칠 때에도 그 길을 계속 가도록, 그리하여 그리스도인으로 좀 더 성장하도록 돕는 일이다. 우리는 상대방이 그리스도를 더 깊이 경험하고, 그리스도와 그리고 사람들과 더 깊은 관계로 헌신할 수 있도록 서로 격려해야 한다. 두 저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더불어 실제 상담 사례들의 통찰이 빛나는 이 책은,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회복시켜 영향력 있는 예배와 섬김의 삶을 살도록 격려하려는 그리스도인 리더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진정한 격려는 강력한 권고만도, 따스한 용납만도 아니다.
둘 다 격려에 포함은 되겠지만, 격려의 핵심은 아니다. 격려는 격려하는 사람의 동기가 사랑에 근거해야 하고, 상대의 필요를 정확히 분별하는 지혜가 있어야 한다. 실제로 격려는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다. 경고, 꾸짖음, 교정, 가르침, 설명, 공감, 반성 또는 자신을 노출하는 말일 수도 있다. 말하는 동기가 사랑이고 방향이 상대방의 두려움을 향할 때, 비로소 격려의 말이 될 것이다.

격려자는 사람들의 내면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잘 이해해야 한다.
또한 상대방을 소중히 여기는 순전한 관심이 드러나도록 말해야 한다. 모든 문제에는 해결책이 있으며, 영원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인생은 살 만한 가치가 있다는 소망을 심어 주는 것, 그것이 바로 격려의 영향력이다. 그 소망이 사람들을 움직여 피곤과 유혹에도 불구하고 더 큰 사랑과 더 많은 선행에 힘쓰도록 하고, 거룩한 삶을 살며 견디게 해준다. 격려는 완전히 습득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다. 격려는 사람에 대한 민감함이며 하나님에 대한 확신이다. 꾸준히 가꾸고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

격려할 기회는 일부러 만들기보다 적당히 포착할 때 효과가 가장 크다.
격려란 풍부한 감정 속에서 많은 대화를 주고받는 극적인 것으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물론 그런 경우도 가끔 있을 것이고, 또 그것은 의미 있는 순간이기도 하다. 하지만 대체로 격려는 겉보기에 아주 평범한 일상적인 대화 중에 일어난다. 다른 사람이 들으면 전혀 아무것도 아닌 몇 마디 말이 오간다. 하지만 그 속에서 무언가가 일어난다. 한 사람이 격려를 받는 것이다. 격려의 위력은 말 자체에 있지 않고 말 뒤에 숨은 동기에 있다. ...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635 심리학적연구
마음처방전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2823
634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2450
633 심리학적연구
너무 신경썼더니 지친다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7 1 2336
632 심리학적연구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1525
631 심리학적연구
이젠 내 힘으로 공부할 수 있어요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2560
630 심리학적연구
부부문제로 꼼짝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1568
629 심리학적연구
당근과 채찍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2818
628 심리학적연구
상처주지않고 비판하기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2450
627 심리학적연구
z세대 부모를 위한 SNS심리학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2773
626 심리학적연구
이단에 빠진사람들의 정서와 심리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2300
625 심리학적연구
젊은 ADHD의 슬픔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2 1 2401
624 심리학적연구
하버드 회복탄력성 수업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2817
623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참으려고만 할까?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2384
622 심리학적연구
아이는 왜 내 말에 상처 받을까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503
621 심리학적연구
그럴수도 있지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634
620 심리학적연구
엄마표 마음처방전 (0세부터 12세까지 우리 아이 심리학)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2352
619 심리학적연구
스위치_손쉽게 극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행동설계의 힘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760
618 심리학적연구
설득의 심리학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0 1523
617 심리학적연구
청소년을 위한 진로상담 이론과 실제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2970
616 심리학적연구
사이코패스는 일상의 그늘에 숨어지낸다.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8 1 2491
615 심리학적연구
아들러 심리학 입문(오늘을 살아가는 무기, 용기의 심리학)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7 1 2528
614 심리학적연구
신이 된 심리학 2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2912
613 심리학적연구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2645
612 심리학적연구
기독교가족치료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696
611 심리학적연구
정신과 의사에게 배우는 자존감 대화법 3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463
610 심리학적연구
우울증, 슬픔과 함께 온 하나님의 선물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526
609 심리학적연구
EQ 감성지능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3055
608 심리학적연구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2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1 2443
607 심리학적연구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2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2526
606 심리학적연구
가르치고싶은 엄마 놀고 싶은 아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30 1 2314
605 심리학적연구
회복력 수업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9 1 2513
604 심리학적연구
가짜감정 2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2835
603 심리학적연구
내가 예민한게 아니라 네가 너무한 거야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2530
602 심리학적연구
핵심감정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3 1 2806
601 심리학적연구
심리학과 목회상담(Handbuch psychologie und seelsorge)_Michael Dieter…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884
600 심리학적연구
깊은분노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391
599 심리학적연구
새터민 아동을 위한 교육멘토링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1 2429
598 심리학적연구
남자아이 심리백과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370
597 심리학적연구
레즈비언 혁명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2531
596 심리학적연구
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 2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2236
595 심리학적연구
스키너의 심리상자 문열기 1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2410
594 심리학적연구
당신이 옳다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2298
593 심리학적연구
감정코칭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2591
592 심리학적연구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4 1 2957
591 심리학적연구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2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2 1 2464
590 심리학적연구
행복의 기원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2683
589 심리학적연구
아프면 아프다고 힘들면 힘들다고 외로우면 외롭다고 말하라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345
588 심리학적연구
프레임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478
587 심리학적연구
화내는 부모가 아이를 망친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471
586 심리학적연구
우리들의 MBTI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0 1406
585 심리학적연구
오은영의 화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7 0 1204
584 심리학적연구
인간 이해와 상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9 1 2350
583 심리학적연구
영혼을 생기나게하는 영성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5 0 1620
582 심리학적연구
마음 읽기_황상민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1 2449
581 전통적연구
성경으로만 하는상담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3 0 1629
580 심리학적연구
저는 심리학이 처음인데요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275
579 심리학적연구
틱증상, ADHD, 발달장애 가정에서 치료하기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408
578 심리학적연구
매우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책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397
577 심리학적연구
은혜로 사는 부부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1 0 1380
576 심리학적연구
더 해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0 0 1495
575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상담자를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의 과정과 실제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2518
574 심리학적연구
사람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2831
573 심리학적연구
불안한 마음 괜찮은걸까?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5 0 1607
572 심리학적연구
크리스천 노인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5 0 1534
571 심리학적연구
격려를 통한 영적성장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4 0 1427
570 심리학적연구
설득의 심리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3 0 1393
569 심리학적연구
미움받을 용기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3 0 1436
568 심리학적연구
하나님 저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0 1231
567 심리학적연구
구조화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누구나 쉽게 집단상담을 할 수 있는 방법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0 1455
566 심리학적연구
관계의 기술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1 0 1423
565 심리학적연구
상담론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142
564 심리학적연구
Z세대 부모를 위한 SNS 심리학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395
563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을 만나 행복해졌다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312
562 심리학적연구
내 안의 어린아이가 울고 있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0 1372
561 심리학적연구
코로나블루 긴급처방전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0 1456
560 심리학적연구
홀로서기 심리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0 1417
559 심리학적연구
예수님 마음담기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0 1307
558 심리학적연구
상담학 개론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4 0 1237
557 심리학적연구
대상관계상담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3 0 1379
556 심리학적연구
두려움을 느낄때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281
555 심리학적연구
엄마와 딸의 심리학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431
554 심리학적연구
왜 얼굴에 혹할까?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229
553 심리학적연구
돈의 심리학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404
552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나를 사랑하지 못하는 걸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3 1 2726
551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자 아버지가 아들, 딸에게 보내는 편지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2 0 1476
550 심리학적연구
마음을 살리는 실천심리상담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1 0 1302
549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설교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0 0 1388
548 심리학적연구
마음코칭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8 0 1423
547 전통적연구
성경으로만 하는 상담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466
546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위기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399
545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상담과 일반상담의 차이점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488
544 심리학적연구
유리멘탈을 위한 심리책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1 2610
543 심리학적연구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5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6 1 2484
542 심리학적연구
목사와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6 0 1322
541 심리학적연구
오은영의 화해 상처받은 내면의 나와 마주하는 용기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5 0 1345
540 심리학적연구
기독교상담학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4 0 1543
539 심리학적연구
두려움을 느낄때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4 0 1276
538 심리학적연구
심리학, 신학, 영성이 하나 된 기독교 상담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2 0 1491
537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신학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31 0 1613
536 6심층유형
성경으로 상담하라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31 0 1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