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학 논문 논문 연구실

[심리학적연구] Z세대 부모를 위한 SNS 심리학



화면 캡처 2021-09-28 212046.jpg

 

이 도서가 속한 분류
신앙도서 > 가정/결혼 > 자녀양육 > 자녀양육 일반
 
도서소개
디지털 기술로 망각이 사라진 세상에서
우리 아이의 마음은 어떻게 성장하는가?


SNS의 발달로 아이들의 어린 시절 사진과 정보들이 끊임없이 기록되고 공유되고 있다. 좋은 추억만이 아니라, 본인은 원하지 않은 ‘흑역사’와 시간이 지나면 잊혀야 할 정보들까지 계속 남아 재생산된다. 이제 정보를 만들고 공유하기는 쉽지만, 정보를 잊고 남에게 잊히는 일은 불가능에 가까워졌다.
아동 심리 전문가들은 아이의 마음이 온전히 성장해 균형잡힌 인격을 갖추려면 원치 않는 기억을 포함한 성장기는 반드시 ‘잊혀야’ 하며, 자기 바람대로 ‘재구성’하는 과정이 필수라고 강조한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은 이것을 철저히 방해하고, 더 나아가 우리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상황으로 몰아가고 있다. 개인 사진첩을 비롯해 정보로 변환될 수 있는 개인적인 관계나 몸짓, 심지어 욕망까지 점점 더 타인의 수중으로 넘어가고 있다.
디지털화라는 시대의 거대한 흐름을 외면하기 힘든 우리 아이들은 이 ‘망각을 방해하는 사회’에서 어떻게 온전하고 균형잡힌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을까?



[출판사 리뷰]

페이스북은 거대한 ‘기억 비즈니스’다

“21세기의 석유는 데이터”라는 말이 있다. 주 수입원이 광고인 페이스북의 시가총액은 약 8천 억 달러, 한화 950조 원에 가깝다. 구글로 더 유명한 지주회사 ‘알파벳’은 더 놀라운 한화 2,500조 원(20년 9월 현재). 이 기업들의 가치는 대부분 고객이 만들어내는 정보를 이용해서 더 많은 새 정보를 생산하는 능력에서 나온다.
우리는 얼마 안 되는 개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가만히 앉아서 ‘공짜 정보’를 얻는다고 생각하지만, 그렇게 넘긴 정보로 저들의 비즈니스는 저렇게 승승장구한다. 모든 트윗이나 페이스북 게시글, 인스타그램 이미지는 일단 게시되고 나면 원래 내용과는 전혀 상관없는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정보를 만들어낸다. 페이스북이 자동으로 사진을 태그할 수 있게 해주고, 옛 친구들을 찾아주며 어딜 가서 무엇을 하는지 자꾸 올리라고 하는 것은 그렇게 해야 사업이 되기 때문이다. 다른 SNS나 정보 공유 플랫폼도 마찬가지다.

SNS 사용 대가로 우리가 지불하고 있는 것들

1990년대 초, 인터넷 등장 초기부터 미디어가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해온 저자는 아이가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부분이 유년기 기억을 잊고 정리해 재구성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바로 이 과정을 방해하면서, 내 정보와 기억에 대한 통제권을 타인이 갖고 흔드는 모양이 되었다. 부모가 공유하고 남기는 사진이나 영상, 검색기록 같은 정보뿐만 아니라, 아이 스스로 하루 수십 건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매 순간 흔적을 남긴다. 이렇게 수많은 디지털 흔적으로 아이의 기억은 차곡차곡 쌓여가면서 “어린 시절이 끝없이 계속되고” 있다.
니체는 망각 능력을 상실한 사람에게는 행복도 희망도 현재도 없다고 단언했다. 망각 능력을 상실한 사람은 “그 무엇도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역사상 최초로 성인의 동의 없이 자유롭게 자기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지만, 우리 아이들은 자신의 유년기 기억을 편집해 결별하고 떠나는 능력을 잃어버린 것이다.

유년기 기억을 제대로 잊어야 삶은 더 건강해진다

저자는 초창기에 사이버 공간은 이런 망각을 돕는 역할에서 시작했다고 말한다. 온라인에 접속하면 사람들은 자신의 원래 모습을 잊고 자신을 다른 인물로 재창조하고 대안 세계를 탐구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의 거대한 ‘정신적 완충지대’였으며 이곳에서 사람들은 안식을 누렸다.
이제는 기억보다 망각(잊힐 권리)이 더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기억(기록)하기 위해 치러야 하는 대가보다 잊히기(삭제하기) 위해 치르는 대가가 훨씬 더 크다는 데서 이것은 분명하다.
망각은 그 부정적인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심리적으로 분명한 역할이 있다. 기억을 적당히 편집하고 재구성하는 일은 ‘망각’이 담당하는데, 이 과정이 없으면 사람은 성장을 멈춘다. 망각은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탐구하고, 새로운 생각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해 심리적·정신적 성장을 돕는다. 심각한 트라우마까지도 망각을 통해 치유한다.
이 책은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s)으로도 불리며 인생 자체가 디지털인 ‘Z세대’를 키우는 부모가 아이들의 삶 전체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 다시 생각하게 한다. 이제는 우리 아이들에게 ‘망각의 힘’을 선물해보자.
신경 과학자 도나 브리지Donna Bridge와 조엘 보스Joel Voss는 2014년 자기공명 영상장치MRI로 실험 참가자들의 뇌를 관찰한 결과 뇌가 기억을 ‘편집’한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기억은 시간이 흘러도 유지되지만, 적절성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쳐 쓴다는 것이다.
실제로 청소년들의 자아의식은 쉽게 왜곡되거나 과장되는 경향이 있다. 중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이 정확히 어떠한지는 상관없다. 중요한 것은 많은 청소년이 아주 작은 흠결을 찾아낸 후에도 벗어날 수 없는 무능력의 낙인이자 치욕의 근원으로 받아들인다는 사실이다. …
하지만 이것들은 진정한 기억이 아니다. ‘이후 삶’의 경험을 통해 생겨난 온갖 인습과 검열 충동이 더해지면서 유년기 기억이 ‘가공’된 것이다. … 우리의 유년기 중 상당 부분은 망각되거나 적어도 ‘은폐’되며, 따라서 우리 기억은 대개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사건들이 새로운 맥락으로 뒤바뀌고, 한 번도 같은 공간에 있지 않았던 사람들이 한데 소환되는가 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객체가 우리 삶 전체를 대체하기도 한다.
-p.32~34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잊는 것과 잊힌다는 것은 각별한 의미로 다가온다. 어린 시절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면, 성인기까지 간직하고 싶지 않은 모습은 ‘잊고, 잊혀야’ 성장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주장하는 바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바로 이 과정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
니체는 망각 능력을 상실한 사람에게는 행복도 희망도 현재도 없다고 단언했다. 망각 능력을 상실한 사람은 “그 무엇도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니체는 인간 본성의 묘한 모순을 지적한다. “바로 이처럼 망각할 수밖에 없는 이 동물에게 망각은 강인한 건강의 전제 조건이다. 그러나 이 동물은 그 반대 능력인 기억의 도움을 받아 특정한 때에는 망각을 억제할 수 있는 힘을 길렀다.” 니체는 망각이 기억을 위협하는 요인이라고 하기보다, 오히려 기억이 망각이라는 고마운 습관을 위협한다는 정반대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망각은 천박한 사람들이 믿는 것처럼 단순한 타성이 아니라 엄밀한 의미에서 적극적인 억제 능력”이라는 게 니체의 주장이다.
-p.75~76

기술 기업들이 보유한 가장 가치 있는 자산은 정보 저장소다. 19세기의 목재와 철강처럼 정보는 이제 필수 자원이 됐다. 아직 수익 분기점에 도달하지 못한 디지털 플랫폼들이 수백만 달러의 가치로 인정받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인스타그램의 경우 그 가치는 10억 달러에 달했다. 광고가 직접적인 수입원이긴 하지만, 이 기업들의 가치는 보통 정보를 만들어 내고 이를 이용해서 더 많은 정보를 생산하는 능력에 근거한다.
요즘은 활동가들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인스타그램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면 이 플랫폼 기업들은 아주 많은 것을 얻어 낼 수 있다. 모든 트윗이나 페이스북 게시글, 인스타그램 이미지는 일단 게시되고 나면 원래 내용과는 전혀 상관없는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정보를 만들어 낸다. 이것이 바로 통신자본주의의 힘이다. 조디 딘의 표현을 빌리자면 통신자본주의는 “우리의 모든 행동을 빨아들여서”, “우리의 모든 상호작용을 자본을 위한 원자재로 변화시킨다.” 우리는 정보를 ‘탈취’ 당하고 있는 것이다.
-p.166~168

고등학교 졸업앨범이나 개인 사진첩, 신발 상자에 가득 담아 둔 기념물들과 달리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누적되는 정보는 타인의 수집품이기도 하다. 과거 흔적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링크되면서 우리는 이제 그것을 완전히 통제할 수 없게 됐다. 이는 어린 시절 형성된 사회 관계망이 성년기 삶 내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한때는 적절히 감내할 수 있는 정보만 간직하기 위해 유년기 기억을 편집하거나 ‘덮어 쓰는’ 일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과거와의 관계를 우리 손으로 통제할 수 없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개인 사진첩을 비롯해 정보로 변환될 수 있는 개인적인 관계나 몸짓, 심지어 욕망까지 점점 더 타인의 수중으로 넘어가고 있다.
-p.37~38

잊는 것과 잊히는 것은 다른 문제지만 서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잊는 것은 보통 신경학적 과정 또는 심리적 과정으로 간주된다. 뇌는 (더 이상 의미가 없는 정보 등) 일부 정보를 막아서 우리가 보다 최신 정보에 집중할 수 있게 해 준다.
하지만 잊히는 것은 전혀 다른 이야기다. 잊히는 것은 전적으로 타인에게 달려 있다. 때로는 타인이 나를 잊지 못해 나의 잊는 능력이 방해를 받는 경우도 있다. 거리에서 우연히 마주친 옛 친구가 (기억할 필요가 없거나 부정적인 점 때문에) 잊고 지내던 사람이나 함께 했던 일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우리의 망각은 중단된다. 즉, 내가 잊지 않고 타인에게 잊히는 것보다 타인에게 잊히지 않고 내가 잊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 이처럼 잊고 잊히는 것은 궁극적으로 사회적 행위이며, 이것이 바로 소셜 미디어가 미래에 대단한 위협이 되는 이유이다.
민간 기업이 우리의 사회적 관계에 돈을 투자하면서 우리는 더 이상 서로를 잊는 것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게 됐다. 페이스북 같은 플랫폼이 우리가 잊지 않고 타인에게도(심지어는 지난 수십 년간 말 한 마디 나누지 않은 사람들에게까지) 잊히지 않게 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라.
-p.169~170
추천사
서문

1장. SNS 시대, 아이들에게 열린 새로운 세상
2장. 망각에는 치유하는 힘이 있다
3장. 멀티 스크린 시대, 기억은 어떻게 재구성되는가
4장. 끝까지 따라붙는 꼬리표
5장. 디지털 시대, 사라질 권리를 찾아서

결론. 망각, 자유 그리고 정보


감사의 글
국내 최초로 ‘잊힐 권리’(디지털 흔적 삭제) 사업화로 주목을 받았던 <산타크루즈 컴퍼니>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의 일이다. 인터넷에 올라온 유년 시절의 게시물 때문에 힘들다며 나를 찾아오는 어린 학생이 뜻밖에 많았다. 그들은 부모, 조부모 혹은 지인이 무분별하게 올린 유년 시절 사진 때문에 “부끄럽고 짜증 난다”, “나에게도 사생활이 있는 거 아니냐”며 해당 게시물을 대신 삭제해 줄 수 있느냐고 호소했다.
자녀들은 부모가 동의나 허락 없이 SNS에 올린 자신의 어린 시절 사진으로 이처럼 심리적인 고통에 시달린다. 하지만 당시는 2000년대 초반이라 나조차도 문제의 심각성을 크게 깨닫지 못했다. 그래서 부모님이나 게시물을 올린 분에게 삭제를 요청해 보라고 타일러 보내기도 했다. 그러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이 문제가 머지않은 미래, 전 세계에서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알았다.
저자는 우리 아이들이 긍정적으로, 또 행복하게 살아가려면 망각(잊힘)이 필수 조건이라고 말한다. 니체도 망각이 없는 사람에게는 행복도, 희망도 없다고 했다. 저자의 말마따나 인터넷상의 망각이라는 개념은 앞으로도 우리 아이들이 험한 인생을 살아가는 데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줄 것이다.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상에서 자녀의 개인 정보권에 대한 깊은 이해를 키워준다는 면에서 인터넷과 함께 태어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키우는 부모를 위한 필독서로 추천한다.
-김호진, 국내 1호 디지털장의사, 산타크루즈컴퍼니 대표

케이트 아이크혼
케이트는 미디어의 발달이 삶에 끼친 영향에 관해 평생 탐구해왔다. 그에 따르면, 아이가 온전한 인격을 지닌 성인이 되려면 유년기 기억을 잊고 재구성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디지털 기술은 이 과정을 철저히 방해하며 “어린 시절이 끝없이 계속되는” 환경을 만든다. 온갖 기술과 정보로 넘쳐나지만 마음은 철부지 어린아이 그대로인 상태에 머무르는 것이다.
인터넷 태동기인 1990년대 초부터 최근의 SNS 확산에 이르기까지, 인터넷 미디어와 사회문화적 변화 그리고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촘촘하게 추적하여 부모에게 꼭 필요한 조언을 이 책에 담았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파슨스디자인스쿨(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이 속한 뉴스쿨(The New School)에서 문화와 미디어를 가르치는 부교수이며, Adjusted Margin을 비롯한 여러 권의 책을 썼다.





상담챠트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535 통합적연구
도와주세요 성경119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31 0 2263
534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매거진 5호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게 3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1 0 3028
533 통합적연구
마음을 바꾸면 인생이 달라진다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7 0 4449
532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매거진 NO.6 (통권 21-6호) 다 알고서도 아직도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5 0 1775
531 통합적연구
성경적목회상담의 이론과실제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4 0 2146
530 통합적연구
약물중독과 성경적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4 0 2301
529 전통적연구
희망 찾기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3 0 1791
528 통합적연구
심리치료와 성경적상담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1 0 2424
527 통합적연구
성경을 통한 청소년 상담 - 교회학교 교사 필독서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9 0 2064
526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7 0 1954
525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신학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7 0 1784
524 통합적연구
인터넷 중독과 성경적 상담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4 0 2238
523 통합적연구
영혼치료 상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4 0 1974
522 통합적연구
성경적인 인생관과 치유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3 0 1973
521 통합적연구
성경적 목회상담 이론과 실제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1 1 2017
520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의 원리와 방법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0 0 1880
519 전통적연구
The Biblical Counseling Movement after Adams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0 0 1704
518 통합적연구
성경적 좋은 아빠가 되는 방법 도서 세트(전3권)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0 0 1827
517 통합적연구
성경 이야기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9 0 1987
516 통합적연구
인간 이해와 상담 2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7 0 3565
515 전통적연구
성령상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6 0 1985
514 통합적연구
두려움을 느낄 때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6 0 2139
513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열쇠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5 0 2117
512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의 핵심 개념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3 0 3241
51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하나님 관점의 이야기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4 0 2098
510 전통적연구
심리상담인가 성경적상담인가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0 2590
509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매거진 (통권 21-5호, 이요나)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3215
508 통합적연구
격려를 통한 영적 성장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3 0 2209
507 4조직유형
영혼을 살리는 말, 영혼을 죽이는 말 요약정리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4 4893
506 전통적연구
사이버 세상에서 펼쳐진 성경적 치유상담 엿보기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3 0 1721
505 통합적연구
인간의 마음의 문제를 풀어주는 성경적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2 0 1822
504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2 0 2046
503 기관연구
휴앤 마음디자인 상담센터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0 2 2990
502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하나님의 관점 이야기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9 0 2030
501 전통적연구
영혼치료 상담 - 성경적인 기독교상담 방법론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8 0 1641
500 통합적연구
아빠의 응원가 - 최고의 아빠가 되는 방법 : 탁월한 안내자로서의 새로운 아빠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7 0 2077
499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설교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1 1790
498 통합적연구
'현재를 이기는 능력, 영원'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0 1906
497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 매거진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5 0 2084
496 전통적연구
은혜의 방편을 활용한 기독교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4 0 1602
495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신학 (상담사역의 교리적 기초)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2 1 1564
494 통합적연구
성령상담 성경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0 1938
493 통합적연구
성경적관점으로 본 상담과사람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0 1947
492 통합적연구
성경적 목회상담의 이론과 실제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0 2018
49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하나님의 관점이야기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0 2143
490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1587
489 전통적연구
성경적 학업스트레스 치유를 위한 성경적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1721
488 마음근원연구
성경적 상담학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1959
487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 클리닉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8 0 2188
486 통합적연구
정신의학과 기독교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7 0 2094
485 전통적연구
하나님 저는 문제가 있습니다 1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7 0 1692
484 전통적연구
왜 성경적 상담인가?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6 0 1636
483 마음근원연구
성경적 상담학 인간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5 1 1992
482 통합적연구
노년의 삶과 성경적 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80
481 통합적연구
성인아이치유를 위한 영적치유 12단계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33
480 전통적연구
심리치료와 성경적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1998
479 통합적연구
타문화권에서의 성경적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63
478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48
477 통합적연구
약물 중독과 성경적 상담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172
476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하나님관점의 이야기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2 0 2108
475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의 본질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2 0 1852
474 심리학적연구
영혼돌봄의 상담학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1 0 1693
473 전통적연구
상담론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9 0 1688
472 통합적연구
어머니의 첫자녀양육 스트레스에대한 질적 연구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4109
471 통합적연구
Winnicott 이론의 기독교상담적 함의와 제안: 성인상담에서 놀이를 중심으로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2187
470 통합적연구
기독교 청년의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소명 의식에 대한 성경적 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2154
469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치유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5 0 2092
468 통합적연구
한부모가족 자녀의 감정억압에 대한 성경적 상담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5 1 2251
467 전통적연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경적 상담 원리(전형준)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4377
466 심리학적연구
성경적 상담 기법으로서의 독서치료 활용에 관한 연구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1738
465 심리학적연구
동성애에 대한 복음주의 상담적 접근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1526
464 통합적연구
아동학대 가족에 대한 이해와 치유: 가족 Game 속“Life-storytelling”을 활용한 가족치료적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1987
463 전통적연구
교회 내 이혼위기극복을 위한 성경적 상담 연구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3 1 1695
462 전통적연구
기독교학교의 학생들을 위한 성경적상담 : 서울,경기지역 기독교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2 0 1674
461 통합적연구
'일대일제자양육 성경공부'를 통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 두란노편집 교재 사용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1 0 2093
460 통합적연구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성경적 상담 연구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0 2218
459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 운동과 한국 교회 : 상담 / 김규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1 2237
458 통합적연구
종교적 이종혼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0 2176
457 통합적연구
성경적 변화모델의 발전과 에드워드 웰치의 기여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0 2192
456 통합적연구
중년위기 부부의 갈등과 성경적 상담 2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4723
455 통합적연구
포스트모던 시대의 치료적 접근을 활용한 성경적 상담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 연구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2070
454 통합적연구
기독교 상담모델로서 성경적 코칭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2157
453 통합적연구
성경적 관점에서 본 결혼/부부 상담의 용서문제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2116
452 심리학적연구
실천신학개론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6 0 1770
451 통합적연구
청년기 부정적 자아개념과 인간관계 부적응에 대한 성경적 상담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5 0 1902
450 통합적연구
목회상담을 통한 청소년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사례를 중심으로-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2092
449 통합적연구
노화 불안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2013
448 통합적연구
목회자 사모의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상담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1 1 4249
447 전통적연구
성령 상담 : 성경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2289
446 통합적연구
MBTI 성향차이에서 발생한 갈등을 치료하기 위한 성경적 상담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1 0 2226
445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과 인지치료: ‘마음’의 성경적 의미 고찰을 통한 성경적 접근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0 0 2251
444 통합적연구
기독교 상담과 인간성장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9 0 2049
443 기관연구
예상아카데미, 상담심리학 신입생 모집 (Online, Zoom) 한성렬 교수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6 0 2065
442 전통적연구
가정폭력으로 인한 낮은 자존감의 성경적 상담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5 0 1715
44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운동의 역사에 관한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조명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2171
440 심리학적연구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상담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1497
439 전통적연구
심리적 치료의 허구성과 성경적 상담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1 1651
438 통합적연구
은퇴 노인의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2210
437 통합적연구
사이버폭력 경험자들의 불안심리를 중심으로 한 단일사례연구(정혜연, 김준)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2088
436 통합적연구
가정폭력피해여성(딸)의 애착문제에 대한 성경적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3 0 2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