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학 논문 논문 연구실

[심리학적연구]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치료과정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치료과정

 

성폭력 피해자의 치료자는 내담자에게 성폭력 피해에서 회복하는 과정이 단기과정이 아니라 장기과정이라는 것을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특히 성폭력 정도가 심했거나그 동안의 치료나 상담을 전혀 받지 않았었고위에서 언급한 trauma를 겪을 정도의 피해자인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또한 성폭력 치료의 역설적인 면 중의 하나는 치료 과정에서 치료 회복이 이루어지기 전에 악화가 된다는 것이다(Courtois, 1988; Gil, 1988; Jehu, 1988). 그래서 Laura Davis(1988)는 성폭력 피해로부터의 회복과정은 직선적(linear)인 과정이 아니고 용수철과 같은 곡선적(spiral)이라고 표현하였다다시 말하면 조금씩 나아지다가 악화되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정상적인 생활에 도달할 수 있을 만큼의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성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치료 과정이 피해자 및 치료자의 변인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겠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첫째 피해자의 심리 치료에 대한 결심 단계

 

특히 한국 여성들은 성적 피해 사실이 남에게 알려지면 오히려 부정적이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에 치료를 받겠다는 결정을 내리는 것이 쉽지 않다그러나 일단 이에 대해서 결심을 하게 되면 그 자체가 심리 치료의 절반 정도는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주위에 성폭행 당한 여성이 있으면 강요는 하지 않지만 성폭력 피해에 대한 장기적인 심리적 영향을 이야기 해주고 적극 권장해 주어야 한다또한 치료자는 이 분야에 슈퍼비젼을 받고 심리치료 경험을 쌓는 것이 필수적이며피해자와의 치료 관계 형성에 노력해야 한다치료자가 남자이고 피해자가 여성인 경우 남성 치료자한테서 심리 치료를 받는 상황에 대해서도 솔직히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해주고 불편하게 느낀다든지 가해자를 연상시키는 면이 있으면 여성의 치료자로 배려하는 편이 좋다특히 초기에는 여성의 비밀 보장을 강조해 주고이전의 성공적인 치료 경험이나 사례를 그 당사자에 대한 기본적인 비밀을 보장하면서 나누어 갖는 방법도 좋다치료가 잘 진행되면 초기에 피해자는 치료자를 조심스럽게 믿어도 좋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치료자는 피해자가 그 동안 가해자로부터 받아온 피해와 자신이 자기에게 가지고 있는 이중적인 피해 행위에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위기의 단계


성폭행의 상처가 크면 클수록 그 문제에 직면해서 작업을 하려고 할 경우 그 사건에 연상된 각종의 부정적 감정 반응 때문에 피해자가 불안한 감정 반응을 보이기도 하고이러다가 갑자기 미치지나 않을까 하는 두려움을 갖는 경우가 많다이 경우에 치료자는 치료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정상적인 반응이라고 정상화(normalization)를 해 주어야 한다치료자가 이 단계에서 불안해하고 자신없는 태도를 보이면내담자가 상담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고 피해자를 지지해주며필요하면 일주일에도 1회 이상 만나면서 구체적인 지지를 보여 주어야 한다또한 주중에 위기 상황이 있을 경우 전화를 걸어서 위기 상담할 수 있는 체제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셋째 성폭행 경험 장면 기억의 재상 단계


피해자가 치료자의 협조로 둘째 단계를 극복하면조심스럽게 추행 당한 장면을 생생하게 연상하는 단계로 서서히 나아가게 한다이 경우 왜 하필이면 옛날의 묻어둔 상처를 끄집어내느냐 하고 질문을 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성폭행을 포함한 Trauma로 인한 PTSD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보면 상처받은 사건을 인정하게 느끼는 치료자와 치료 분위기 가운데서 그 사건을 재기억하고 그 감정을 느끼며 순환시킬 때 그 PTSD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성폭행 치료에서도 예외는 아니다성폭행 피해에 대한 기억은 여러 형태를 지니는데악몽과거에 대한 갑작스러운 연상(Flashback), 조각난 기억들사고의 왜곡 또는 중성적인 자극에 대한 과잉 반응 등을 들 수 있다이 경우 치료자가 최면술을 쓰거나 약물을 투여하여 옛날의 기억을 되살리는 방법을 쓰기도 하지만한국 내담자들의 특성을 고려한다면오히려 그러한 기억들을 종이에 생각나는 대로 써보게 한다든지 차라리 그림을 그려보도록 하는 방법도 좋을 듯하다이 단계에서 주시할 점은 피해 내담자의 페이스를 따라 가야지 치료자가 너무 성급하게 해서는 안되며 내담자의 학력이나 정서를 고려해서 너무 성급하게 하지 않도록 한다.

 

넷째 성폭행이 사실이었다고 믿는 단계


성폭행 당한 경험이 아주 오래되었거나오랫 동안 억압했던 기억이 조금씩 되살아나면서 의식 수준에 떠올라 올 때도 피해 여성들은 그것을 반신 반의하는 경우가 많다어린 시절 심한 성폭행을 당한 여성들은 해리(dissociation)를 통해서 자신을 지탱해 왔기 때문에 자기가 당하고 있는 가혹한 성폭행이 현실이 아니고 다른 사람의 경험을 구경하는 듯한 느낌을 갖고 있다이제 성피해 여성들은 자기의 기억을 믿고성폭행 당한 것이 사실이며그 폭행을 당한 주체가 자신이라는 것을 받아들이고믿어야 한다피해자가 자신의 성폭행을 해리로 대응하지 말고 적극 수용하는 것이 이 단계에서 중요한 작업이다.

 

다섯째 성폭행 피해 감정을 표현하는 단계


성폭행 피해 당사자들은 오랫동안 피해 당한 사실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감정을 느끼지 않으려 하며 주위 사람들을 신뢰하지 않고 살아왔다(No Talk, No Feeling And Don’t Trust). 그러나 네 번째 단계에서 자신에게 일어난 사건에 대해 여러 가지 기억을 다시 되살려 볼 때그들은 묻어 두었던 분노 감정이 화살처럼 폭발할 수도 있다또한 배신당한 과거 정상적인 발달 단계를 상실 당한 것에 대한 슬픔의 감정이 강렬해 질 수도 있다이 때 치료자는 이러한 쌓인 감정의 분출구를 이단계에서 잘 마련해주어야 한다치료자의 오리엔테이션에 따라 여러 가지 기법이 있겠지만기본적인 원칙은 안정된 분위기에서 파괴적이 아니면서 쌓아둔 감정을 표출하는 방법이다이때 다양한 방법들이 동원되는데편지 쓰기빈 의자 기법분노와 슬픔 그리기피해자를 가장한 고무 풍선이나 모형 피해자를 방망이로 치기 등의 여러 기법이 있다한국적인 문화를 고려해서 다딤이를 방망이로 두드리기 등도 시도해 볼 수 있겠다.

 

여섯째 자기 수치감 해소 및 정확한 귀인 추구 단계


성피해 여성들은 피해 당할 때 느낀 신체 반응 때문에 자신도 그 폭행의 동조자가 되었고몸이 더러워졌다는 데서 오는 수치심과 더러운 여자로서 어떻게 결혼 할 수 있겠는가 하는 두령무 속에서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심리 치료는 피해 당시 어린 아이로서 오는 또는 성인이라도 생명의 위협을 당하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가해자한테서 당했다는 사실을 인정할 때 이루어진다가해자는 성폭행의 책임자이고 그가 전적으로 책임이 있지 자신이 공모자이거나 방조자가 아니라는 것을 인정할 때 치료가 촉진되는 것이다이 단계에서 치료자는 성폭행 당할 시에 신체적심리적으로 어떤 느낌이었는지 자세히 물어주고 신체로는 느끼는데 감정을 무엇이라고 잘 표현하지 못하면 거기에 대해서 정확한 감정적인 용어를 표현하도록 해주어야 한다성폭행에서 느꼈던 수치감이나 죄악감은 전적으로 가해자에 있다고 확신시켜주고 지지해 주어야 한다.

 

일곱째 애도와 슬픔의 단계


성피해자가 그 동안 쌓아온 감정에 접근하여 새롭게 느끼고자기의 감정을 확인하고 표현했다 하더라도왜 하필이면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야만 했는가?(Why me?)"하는 생각과지난 정상적인 어린 시절을 성폭력 때문에 상실당했다는 데서 오는 슬픔과 우울한 마음과 또한 분노의 감정이 교차되면서 찾아오게 된다특히이 단계에서는 피해 여성들의 이러한 마음 상태를 알아주고 지지해주며 또한 표현해주도록 해야 한다이때 내담자가 치료자 앞에서 울 경우 포옹해 주고 울도록 허용적인 분위기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그리고 나서그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여덟째 왜곡된 신념이나 인지의 재구성 단계


이 단계에서는 그 동안 성폭력 피해에서 오는 왜곡된 사고나 생각을 확인하고 그 생각에 도전하고 대안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단계이다피해 여성들은 "학대당했기에 회복할 수 없고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없다", "세상 모두에게 내 성피해 당한 것이 알려져서 창피하다", "모든 남자는 혐오스럽다등의 신념을 가질 수 있다이 단계에서는 그 동안 치료자가 치료 과정을 통해서 피해자 나름대로 가지는 역기능적인 사고들을 열거하면서 소크라테스가 질문하는 식으로 해서 변화시키도록 할 수도 있겠고, Ellis의 합리적-정서적 치료기법(Rational Emotive Therapy)을 사용해서 구체적인 방법으로 심리 교육이 필요하겠다.

 

아홉째 성폭행에 대한 공개 및 가해자 대면 단계


외국에서는 성폭행의 치료 과정의 하나로 자신의 치료 경험을 다른 사람과 나누어 갖기도 하고 자신의 가해자가 주위에 가능한 경우 대면해서 그 동안 받은 상처를 이야기 해 주도록 한다그러나 우리 나라의 문화와 의식 구조를 고려할 때이러한 과정은 실제적으로 어려울 것이라 생각된다이 단계에서 적어도 가해자에게 편지를 쓸 수도 있고편지를 썼다가 과거를 청산하는 의미로 불에 태워버릴 수도 있다집단 상담에 참여하여 자신의 경험을 나누어 갖는 방법도 좋겠다.

 

열번째 자신의 새로운 인생에 대한 결심과 행동 변화 단계


성폭력 피해자는 과거의 왜곡된 자아 개념에 관련된 스트레스와 행동으로부터 벗어나서자기를 존중하고 스스로 결정하는 자율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이 단계는 자신의 개성화와 과거로부터 구분화를 이루어가는 최종적인 치료단계이다(Wooley and Vigilanti, 1984). 이 단계에서의 치료는 성폭행과 현재 역기능적인 행동과의 연관 관계를 이해하고 파괴적인 방어 기제 사용을 중지하며성폭행의 수치심과 죄악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내적심리적 작업을 완성하고인간 관계에서 신뢰하고 애정도 주고 받을 수 있는 균형 있는 인간 관계를 형성해 나가게 된다가족이나 주위에서 어떠한 시선으로 보던지 간에 피해자 자신이 가진 가치관과 태도가 더 중요하고 어떻게 하면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주이나 사회의 지나친 동정이나 도는 부정적인 시각에 대응하는가를 배워서 생활화하여야 한다.






상담챠트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535 통합적연구
도와주세요 성경119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31 0 2264
534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매거진 5호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게 3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1 0 3040
533 통합적연구
마음을 바꾸면 인생이 달라진다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7 0 4466
532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매거진 NO.6 (통권 21-6호) 다 알고서도 아직도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5 0 1776
531 통합적연구
성경적목회상담의 이론과실제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4 0 2148
530 통합적연구
약물중독과 성경적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4 0 2303
529 전통적연구
희망 찾기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3 0 1796
528 통합적연구
심리치료와 성경적상담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1 0 2427
527 통합적연구
성경을 통한 청소년 상담 - 교회학교 교사 필독서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9 0 2066
526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7 0 1956
525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신학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7 0 1785
524 통합적연구
인터넷 중독과 성경적 상담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4 0 2242
523 통합적연구
영혼치료 상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4 0 1976
522 통합적연구
성경적인 인생관과 치유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3 0 1978
521 통합적연구
성경적 목회상담 이론과 실제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1 1 2020
520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의 원리와 방법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0 0 1882
519 전통적연구
The Biblical Counseling Movement after Adams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0 0 1707
518 통합적연구
성경적 좋은 아빠가 되는 방법 도서 세트(전3권)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0 0 1830
517 통합적연구
성경 이야기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9 0 1988
516 통합적연구
인간 이해와 상담 2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7 0 3576
515 전통적연구
성령상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6 0 1987
514 통합적연구
두려움을 느낄 때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6 0 2148
513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열쇠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5 0 2119
512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의 핵심 개념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3 0 3261
51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하나님 관점의 이야기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4 0 2101
510 전통적연구
심리상담인가 성경적상담인가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0 2592
509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매거진 (통권 21-5호, 이요나)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3225
508 통합적연구
격려를 통한 영적 성장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3 0 2216
507 4조직유형
영혼을 살리는 말, 영혼을 죽이는 말 요약정리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4 4901
506 전통적연구
사이버 세상에서 펼쳐진 성경적 치유상담 엿보기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3 0 1726
505 통합적연구
인간의 마음의 문제를 풀어주는 성경적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2 0 1825
504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2 0 2052
503 기관연구
휴앤 마음디자인 상담센터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0 2 3001
502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하나님의 관점 이야기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9 0 2036
501 전통적연구
영혼치료 상담 - 성경적인 기독교상담 방법론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8 0 1646
500 통합적연구
아빠의 응원가 - 최고의 아빠가 되는 방법 : 탁월한 안내자로서의 새로운 아빠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7 0 2082
499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설교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1 1792
498 통합적연구
'현재를 이기는 능력, 영원'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0 1909
497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 매거진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5 0 2091
496 전통적연구
은혜의 방편을 활용한 기독교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4 0 1608
495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신학 (상담사역의 교리적 기초)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2 1 1568
494 통합적연구
성령상담 성경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0 1940
493 통합적연구
성경적관점으로 본 상담과사람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0 1949
492 통합적연구
성경적 목회상담의 이론과 실제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0 2024
49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하나님의 관점이야기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0 2151
490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1589
489 전통적연구
성경적 학업스트레스 치유를 위한 성경적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1725
488 마음근원연구
성경적 상담학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1968
487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 클리닉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8 0 2193
486 통합적연구
정신의학과 기독교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7 0 2098
485 전통적연구
하나님 저는 문제가 있습니다 1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7 0 1710
484 전통적연구
왜 성경적 상담인가?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6 0 1641
483 마음근원연구
성경적 상담학 인간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5 1 1996
482 통합적연구
노년의 삶과 성경적 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87
481 통합적연구
성인아이치유를 위한 영적치유 12단계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38
480 전통적연구
심리치료와 성경적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08
479 통합적연구
타문화권에서의 성경적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69
478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54
477 통합적연구
약물 중독과 성경적 상담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180
476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하나님관점의 이야기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2 0 2113
475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의 본질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2 0 1855
474 심리학적연구
영혼돌봄의 상담학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1 0 1700
473 전통적연구
상담론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9 0 1690
472 통합적연구
어머니의 첫자녀양육 스트레스에대한 질적 연구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4121
471 통합적연구
Winnicott 이론의 기독교상담적 함의와 제안: 성인상담에서 놀이를 중심으로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2192
470 통합적연구
기독교 청년의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소명 의식에 대한 성경적 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2160
469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치유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5 0 2099
468 통합적연구
한부모가족 자녀의 감정억압에 대한 성경적 상담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5 1 2262
467 전통적연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경적 상담 원리(전형준)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4389
466 심리학적연구
성경적 상담 기법으로서의 독서치료 활용에 관한 연구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1742
465 심리학적연구
동성애에 대한 복음주의 상담적 접근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1531
464 통합적연구
아동학대 가족에 대한 이해와 치유: 가족 Game 속“Life-storytelling”을 활용한 가족치료적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1992
463 전통적연구
교회 내 이혼위기극복을 위한 성경적 상담 연구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3 1 1700
462 전통적연구
기독교학교의 학생들을 위한 성경적상담 : 서울,경기지역 기독교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2 0 1684
461 통합적연구
'일대일제자양육 성경공부'를 통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 두란노편집 교재 사용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1 0 2099
460 통합적연구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성경적 상담 연구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0 2222
459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 운동과 한국 교회 : 상담 / 김규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1 2240
458 통합적연구
종교적 이종혼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0 2180
457 통합적연구
성경적 변화모델의 발전과 에드워드 웰치의 기여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0 2195
456 통합적연구
중년위기 부부의 갈등과 성경적 상담 2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4753
455 통합적연구
포스트모던 시대의 치료적 접근을 활용한 성경적 상담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 연구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2074
454 통합적연구
기독교 상담모델로서 성경적 코칭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2164
453 통합적연구
성경적 관점에서 본 결혼/부부 상담의 용서문제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2119
452 심리학적연구
실천신학개론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6 0 1775
451 통합적연구
청년기 부정적 자아개념과 인간관계 부적응에 대한 성경적 상담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5 0 1905
450 통합적연구
목회상담을 통한 청소년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사례를 중심으로-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2096
449 통합적연구
노화 불안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2014
448 통합적연구
목회자 사모의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상담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1 1 4256
447 전통적연구
성령 상담 : 성경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2293
446 통합적연구
MBTI 성향차이에서 발생한 갈등을 치료하기 위한 성경적 상담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1 0 2232
445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과 인지치료: ‘마음’의 성경적 의미 고찰을 통한 성경적 접근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0 0 2263
444 통합적연구
기독교 상담과 인간성장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9 0 2053
443 기관연구
예상아카데미, 상담심리학 신입생 모집 (Online, Zoom) 한성렬 교수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6 0 2073
442 전통적연구
가정폭력으로 인한 낮은 자존감의 성경적 상담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5 0 1720
44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운동의 역사에 관한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조명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2179
440 심리학적연구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상담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1501
439 전통적연구
심리적 치료의 허구성과 성경적 상담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1 1660
438 통합적연구
은퇴 노인의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2215
437 통합적연구
사이버폭력 경험자들의 불안심리를 중심으로 한 단일사례연구(정혜연, 김준)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2095
436 통합적연구
가정폭력피해여성(딸)의 애착문제에 대한 성경적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3 0 2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