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학 논문 논문 연구실

[마음근원연구] Is Your Assurance under Assault? by J. ALASDAIR GROVES



 

 

 

2                                                 JBC36:1(2022):2–6

 

Editorial

 

Is Your Assurance under Assault?

  by J. ALASDAIR GROVES


It has been a rough stretch for churches and leaders in Christian min- istries, hasn’t it? As we pass the two-year mark since the star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everything that has come with it, I am struck by the waves of burnout, depression, conflict, anxiety, and a hundred other struggles this all has set off among us. As a ministry leader I, like you, have felt exhausted from living with endless, urgent uncertainties, the amplification of criticism, and living in transition.

As a counselor, I have had the painful privilege of counseling a num- ber of people in ministry, particularly pastors, these past two years. Every last one of you is tired. Tired in body and soul. Every last one of you needs a regular infusion of refreshing reminders of the gospel, chances to let down your guard and be open with friends, better sleep, reinvigora- tion for your church or organizational mission, and time to play in and enjoy God’s world.

But there is one particular struggle that is especially on my heart in this season. It is a struggle common to all sorts of Christians, but it comes with a particular added difficulty for those in ministry because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speak about with others.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for all of us to understand together that this struggle is real, it is common, and it is a big contributor to the endemic burnout, exhaus- tion, and anxiety I mentioned above.


Alasdair Groves (MDiv) is the executive director of CCEF and serves on the faculty. He coauthored the book Untangling Emotions.


What is the weight on my heart? It is for those of you in ministry who are finding it hard to remain confident that you really are saved by Jesus. You see your sins and failures, and they seem too frequent, too deeply rooted, too impervious to your efforts to change, and it has become difficult to hold on to the hope of the gospel. You battle your doubts, you preach the gospel to yourself, you make some progress in growth and maturity, but then you stumble again and it all feels hope- less. I will come back to the seductive “logic” that undergirds this doubt. For now, I’m simply observing that as the pressure on leaders in churches and ministries has increased, our struggles with our besetting sins have, unsurprisingly, intensified as well. Repeated failures of anger, lust, cow- ardice, alcohol, laziness, lovelessness, and the like have served to fray our confidence that our faith is real. This is a lonely and embarrassing place to wrestle as a pastor, a counselor, an elder, a campus minister, a small group facilitator, or a lay leader. It is frightening to find yourself wonder- ing: “Do I really know this Lord I proclaim and serve?”

As this doubt assails you, know that you are not alone. Many of your brothers and sisters throughout the world—and I have spoken to a num- ber of them in the last few months—are experiencing this same kind of suffering because the devil is prowling after them too (1 Peter 5:8–9). But take heart. It is the God of all grace—not the God of sufficiently righteous ministry workers—who will restore, confirm, strengthen, and establish you in the wake of this suffering (1 Peter 5:10).

And, just to be clear, doubting your salvation is a kind of suffering. A severe one. not just your soul, but your body feels the assault when the hope you live and minister by is called into question. To fear that you have helped others but will ultimately be disqualified yourself hurts, drains, exhausts, and torpedoes your energy and sense of mission.

Most of you in ministry don’t need me to tell you the “answers.” You already know them. You have preached and counseled them. In fact, knowing them yet finding yourself unable to rest in them is part of what is so painful. You know God’s grace is bigger than your sin. You know that God forgives seventy times seven. You know that even the fact that you are fearful or discouraged about the idea of losing your salvation shows how much you value being connected to the Lord. You know our hope lies in his ability to hold on to us, not our ability to hold on to him. And so on. These truths are precious and lifesaving in the face of these doubts.

However, as you also know, believing these things are true, and liv- ing in confident hope that they are true for you, are two different things. It is all too easy for those of you with ministry responsibilities to believe that you are the exception. nor is the logic hard to follow. The argument runs like this: If I, who of all people ought to know better and who will be held to a higher standard, keep sinning in these ways, how can I claim to be truly repentant? Don’t my failures prove that I am not really sorry for my sin? I believe Jesus can save and forgive anything, but are my deeds evidence that I’m deceived and I have not truly turned away from my sin?

I feel for you. I feel with you. I have staggered and crawled through this quicksand myself more times than I can count. It blights the soul and erodes joy. The way forward, however, is not a more optimistic review of your shortcomings.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 strength of your assessment of your sin or even the quality of the repentance you’ve shown. Instead, our hope is to repeat the simple cry with which we started our journey into ministry and into the kingdom in the first place: “Lord, have mercy!” This is our hope, that we can come and say:

“Lord, have mercy again. Do not abandon me, or leave me to be choked by the sins that so easily entangle. Take not your Holy Spirit from me…and restore to me the joy of your salvation. Save me from myself. Jesus, please don’t let go of me.”

Every pang of guilt, doubt, or incipient despair is an invitation to come back for simple, real mercy from him.

He gives more grace.

And what of those of you who walk alongside these weary people who work in the pulpit, the counseling room, or at the table in the back corner of the coffee shop? To you I give this encouragement: pray for your friends in ministry. Those in ministry are always bearing more burdens than you realize. Heavier burdens. More costly burdens. Some who seem strong in their faith are fighting to hold on to that faith much harder than it looks like from the outside. Pray they would know, today, with unassailable intensity, the love and utter forgiveness of Jesus. Let neither your concerns with their weaknesses nor your profound respect for their gifts prevent you from praying, with determined perseverance, that each morning would bring them word of the Lord’s unfailing love (Ps 143:8).

And finally, weary servants of the Lord, you who are all too deeply aware of the fickle and repeating nature of your sin, this is my prayer for you: May the God of all grace preserve your life for his name’s sake and in his righteousness bring your soul out of trouble (Ps 143:11). A broken and contrite heart—even a heart that breaks precisely because it is less contrite than it should be—he will not despise!

 

In This Issue

We do not plan our issues thematically, but it is striking to see that there are often discernible themes present. In this issue, there is a theme of context. Each of us lives and ministers within particular contexts that both shape us and our care for others.

Our first article opens a discussion on an important cultural issue. In “Why Cultural Context Matters in Biblical Counseling,” a team of three authors (Alex, Liu, and Emlet) make a biblical case for why tak- ing a person’s cultural heritage, and more specifically their ethnicity, into account in counseling is needed. As biblical counseling grows worldwide, and our communities become more diverse, our counsel must be attuned to a person’s cultural context so we can apply rele- vant gospel care. Recognizing the breadth of this significant subject, the authors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discussion by establishing a biblical framework, describing real-life illustrations, and offering a brief case study.

The next article addresses the relational context of painful relation- ships. In her article, “God’s Purposes for Relational Distance: A Means to a Good End,” Laura Andrews argues that there are times when impos- ing distance in a difficult relationship is a godly choice. She is particu- larly concerned for those people who suffer guilt and intense pressure to immediately fix relationships when there is strife. In response, she lays out how God’s plan of redemption uses periods of relational distance as a means to a good end, and how he helps us work through relational challenges with one another.

 


Our third article recognizes that in our current sociohistorical con- text, many moms struggle with what is commonly referred to as mom guilt. Author and mother Lauren Whitman describes this experience in “Mom Guilt: Escaping Its Strong Hold.” She examines four common roots that give rise to these feelings of failure that invade a mother’s perception of herself. She then shows us how God helps us to dig out these roots so that we can experience greater joy and freedom in our mothering.

Our final offering is a must read for those who know they are prone to blunder during sensitive times in people’s lives. What helps and what harms when someone’s situational context is deep suffering? In “Mis- takes We Make with Grieving People,” Ed Welch urges us to shape our care with compassion and humility. In addition to the familiar do’s and don’ts, he also provides many examples of what winsome care looks like that readers can borrow from.

 






The Journal of Biblical Counseling

(ISSN: 1063-2166) is published by:


Christian Counseling & Educational Foundation 1803 East Willow Grove Avenue

Glenside, PA 19038 www.ccef.org


Copyright © 2022 CCEF All rights reserved.


For permission to copy or distribute JBC articles, please go to: ccef.org/copyright-permissions.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4-30 (토) 01:40 3년전
귀하의 Assurance는 폭행을 당하고 있습니까?
J. ALASDAIR 그로브스

그것은 교회와 기독교 사역의 지도자들에게 힘든 일이었습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COVID-19 대유행이 시작된 지 2년이 지났고 그에 따른 모든 것이 도래하면서 나는 소진, 우울증, 갈등, 불안 및 이 모든 것이 촉발한 다른 백 가지 투쟁의 파도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우리 가운데. 목회자로서 저는 여러분과 마찬가지로 끝없는 시급한 불확실성과 비판의 증폭, 과도기의 삶에 지쳐 있었습니다.

카운슬러로서 저는 지난 2년 동안 많은 목회자들, 특히 목회자들에게 카운셀링을 하는 고통스러운 특권을 누렸습니다. 마지막 한 분 한 분 모두 지쳤습니다. 몸과 마음이 피곤합니다. 마지막 한 사람 한 사람은 복음을 새롭게 생각나게 하는 정기적인 주입, 경계심을 풀고 친구들과 마음을 열 수 있는 기회, 더 나은 수면, 교회 또는 조직적 사명을 위한 소생, 하나님의 세계에서 놀고 즐길 시간이 필요합니다. .

그러나 이번 시즌에 특히 내 마음에 한 가지 특별한 투쟁이 있습니다. 그것은 모든 종류의 그리스도인들에게 공통적인 투쟁이지만,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이 극히 어렵기 때문에 사역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특히 더 큰 어려움이 따릅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투쟁은 현실이고 흔한 일이며 위에서 언급한 풍토병 소진, 피로, 불안의 큰 원인이라는 것을 우리 모두가 함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lasdair Groves(MDiv)는 CCEF의 전무이사이며 교수진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Untangling 감정이라는 책을 공동 저술했습니다.

내 마음의 무게는 무엇입니까? 그것은 당신이 정말로 예수님에 의해 구원받았다는 확신을 유지하기 어려운 사역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 자신의 죄와 실패를 보면 너무 자주, 너무 깊이 뿌리박고, 변화하려는 노력에 너무 둔감해져서 복음의 소망을 붙잡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의심과 싸우고, 자신에게 복음을 전하고, 성장과 성숙에서 어느 정도 진전을 보였지만, 다시 걸려 넘어지고 모든 것이 절망적으로 느껴집니다. 나는 이 의심을 뒷받침하는 매혹적인 "논리"로 돌아올 것입니다. 현재로서는 교회와 사역의 지도자들에 대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를 괴롭히는 죄와의 투쟁도 당연히 강화되는 것을 관찰하고 있습니다. 분노, 정욕, 비겁함, 술, 게으름, 사랑 없음 등의 반복적인 실패는 우리의 믿음이 진짜라는 확신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곳은 목사, 카운슬러, 장로, 캠퍼스 목사, 소그룹 진행자, 평신도 지도자로 씨름하기에는 외롭고 창피한 곳입니다. “내가 선포하고 섬기는 이 주님을 내가 진정으로 알고 있습니까?”

이 의심이 당신을 공격할 때 당신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아십시오. 전 세계에 있는 많은 형제 자매들과 나는 지난 몇 달 동안 그들 중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마귀가 그들을 뒤쫓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베드로전서 5:8~9). ). 그러나 마음을 가져라. 모든 은혜의 하나님이시니 충분히 의로우신 사역자들의 하나님이 아니라 이 고난 후에 너희를 회복하시고 굳게 하시고 견고케 하시고 견고케 하실 것이요(벧전 5:10).
그리고 분명히 말해서, 당신의 구원을 의심하는 것은 일종의 고통입니다. 심각한 것입니다. 당신의 영혼뿐 아니라 당신의 몸도 당신이 생활하고 섬기는 희망에 의문을 제기할 때 공격을 느낍니다. 당신이 다른 사람들을 도왔지만 궁극적으로 실격될 것을 두려워하는 것은 당신의 에너지와 사명감을 아프게 하고, 소진시키고, 소진시키고, 어뢰를 피하게 만듭니다.

사역에 종사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내가 "답"을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당신은 이미 그들을 알고 있습니다. 당신은 그들에게 설교하고 조언했습니다. 사실, 그것들을 알면서도 안식할 수 없는 자신을 발견하는 것은 그토록 고통스러운 것의 일부입니다. 당신은 하나님의 은혜가 당신의 죄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압니다. 하나님은 일흔 번씩 일곱 번이라도 용서하신다는 것을 여러분은 알고 있습니다. 구원을 잃는다는 생각에 대해 두려워하거나 낙심한다는 사실조차 주님과 연결되는 것을 얼마나 가치 있게 여기는지를 보여줍니다. 당신은 우리의 희망이 그분을 붙잡는 우리의 능력이 아니라 우리를 붙드는 그분의 능력에 있다는 것을 압니다. 등등. 이러한 진리는 이러한 의심에 직면했을 때 소중하고 생명을 구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분도 알다시피 이러한 사실을 믿는 것과 그것이 여러분에게 사실이라는 확신을 갖고 사는 것은 다른 것입니다. 사역 책임을 맡은 사람들이 당신이 예외라고 믿는 것은 너무나 쉽습니다. 논리도 따르기 어렵습니다. 논증은 이러합니다. 만인 중에 누구를 더 잘 알아야 하고 누가 더 높은 기준에 놓이게 될 내가 이런 식으로 계속 죄를 짓는다면 내가 어떻게 진정으로 회개했다고 주장할 수 있겠습니까? 내 실패가 내 죄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지 않습니까? 예수님은 무엇이든지 구원하시고 용서하실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런데 내 행위가 내가 속고 죄에서 돌이키지 않았다는 증거입니까?

나는 당신을 위해 느낀다. 나는 당신과 함께 느낀다. 나는 셀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이 비틀거리며 이 모래사장을 기어다녔습니다. 그것은 영혼을 병들게 하고 기쁨을 잠식합니다. 그러나 앞으로 나아갈 길은 당신의 결점에 대해 더 낙관적인 검토가 아닙니다. 그것은 당신의 죄에 대한 평가의 강도나 당신이 보여준 회개의 질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그 대신, 우리의 희망은 처음에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라는 단순한 외침으로 사역과 왕국으로의 여정을 시작했을 때 반복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의 희망이며 우리가 와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주님, 다시 자비를 베푸소서. 저를 버리지 마시고 쉽게 얽매이는 죄로 인해 질식하게 놔두지 마십시오. 당신의 성령을 내게서 거두지 마옵시고...주의 구원의 기쁨을 내게 회복시키소서. 나 자신에게서 구해주세요. 예수님, 저를 놓지 말아 주십시오.”

죄책감, 의심, 절망의 모든 고통은 그에게서 단순하고 진정한 자비를 위해 돌아오라는 초대입니다. 그는 더 많은 은혜를 베푸십니다.

그리고 강단에서, 상담실에서, 또는 커피숍 뒷편의 탁자에서 일하는 이 지친 사람들과 나란히 걸어가는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나는 당신에게 이 격려를 드립니다. 사역에 있는 당신의 친구들을 위해 기도하십시오. 사역에 있는 사람들은 항상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짐을 지고 있습니다. 더 무거운 짐. 더 많은 비용이 드는 부담. 믿음이 강해 보이는 어떤 사람들은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열심히 그 믿음을 붙잡기 위해 싸우고 있습니다. 그들이 오늘, 공격할 수 없는 강렬함으로 예수님의 사랑과 완전한 용서를 알게 되기를 기도합니다. 그들의 연약함을 염려하거나 그들의 은사에 대한 깊은 존경심 때문에 매일 아침 주님의 변함없는 사랑의 말씀이 그들에게 전해지도록 결연한 인내로 기도하지 못하게 하십시오(시 143:8).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님의 피곤한 종들, 당신의 죄의 변덕스럽고 반복되는 본성을 너무도 깊이 인식하고 있는 당신에게 이것이 내가 당신을 위한 기도입니다. 모든 은혜의 하나님이 그의 이름을 위하여 그리고 그의 의로 당신의 생명을 보존하시기를 빕니다. 네 영혼을 환난에서 건져내라(시 143:11). 상하고 통회하는 마음—정확히 통회해야 하는 것보다 덜 통회하기 때문에 부서지는 마음일지라도—그는 멸시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이 문제에

우리는 우리의 문제를 주제별로 계획하지 않지만 종종 식별 가능한 주제가 있음을 확인하는 것은 놀랍습니다. 이번 호에는 맥락이라는 주제가 있습니다. 우리 각자는 우리와 다른 사람들에 대한 돌봄을 형성하는 특정한 상황에서 살고 사역합니다.

우리의 첫 번째 기사는 중요한 문화적 문제에 대한 토론을 시작합니다. “성경 상담에서 문화적 맥락이 중요한 이유”에서 3명의 저자(Alex, Liu, Emlet)로 구성된 팀은 상담에서 개인의 문화 유산, 더 구체적으로 그들의 민족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에 대한 성경적 사례를 만듭니다. . 성경적 상담이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지역 사회가 더욱 다양해짐에 따라 적절한 복음 돌봄을 적용할 수 있도록 우리의 상담은 개인의 문화적 맥락에 맞춰져야 합니다. 이 중요한 주제의 폭을 인식한 저자들은 성경적 틀을 확립하고 실제 사례를 설명하고 간단한 사례 연구를 제공함으로써 추가 토론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다음 기사는 고통스러운 관계의 관계적 맥락을 다룬다. Laura Andrews는 “관계적 거리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 좋은 목적을 위한 수단”이라는 기사에서 어려운 관계에서 거리를 두는 것이 경건한 선택일 때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녀는 특히 갈등이 있을 때 관계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죄책감과 강한 압력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염려합니다. 그에 대한 응답으로 그녀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관계적 거리를 좋은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우리가 서로 관계적 도전을 통해 일하도록 도우시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우리의 세 번째 기사는 현재의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많은 엄마들이 일반적으로 엄마 죄책감이라고 하는 것과 씨름하고 있음을 인식합니다. 작가이자 어머니인 Lauren Whitman은 "Mom Guilt: Escapeing Its Strong Hold"에서 이 경험을 설명합니다. 그녀는 자신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침범하는 이러한 실패의 감정을 일으키는 네 가지 공통된 뿌리를 조사합니다. 그런 다음 그녀는 우리가 어머니가 되는 과정에서 더 큰 기쁨과 자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우리가 이러한 뿌리를 파헤치도록 도우시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우리의 마지막 제안은 사람들의 삶에서 민감한 시기에 실수하기 쉽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입니다. 누군가의 상황적 맥락이 깊은 고통일 때 무엇이 ​​도움이 되고 무엇이 해가 됩니까? Ed Welch는 “우리가 슬퍼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는 실수”에서 연민과 겸손으로 우리의 보살핌을 형성할 것을 촉구합니다. 친숙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외에도 그는 독자들이 빌릴 수 있는 좋은 보살핌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많은 예를 제공합니다.

성서 상담 저널

(ISSN: 1063-2166) 발행자:

기독교 상담 및 교육 재단 1803 East Willow Grove Avenue

글렌사이드, PA 19038 www.ccef.org

Copyright © 2022 CCEF 판권 소유.

JBC 기사를 복사하거나 배포할 수 있는 권한을 얻으려면 ccef로 이동하십시오.
주소 추천 0
bowjesus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5-17 (화) 17:05 3년전
@완료
주소 추천 0

상담챠트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535 통합적연구
도와주세요 성경119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31 0 2264
534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매거진 5호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게 3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1 0 3040
533 통합적연구
마음을 바꾸면 인생이 달라진다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7 0 4466
532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매거진 NO.6 (통권 21-6호) 다 알고서도 아직도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5 0 1776
531 통합적연구
성경적목회상담의 이론과실제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4 0 2148
530 통합적연구
약물중독과 성경적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4 0 2303
529 전통적연구
희망 찾기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3 0 1796
528 통합적연구
심리치료와 성경적상담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1 0 2428
527 통합적연구
성경을 통한 청소년 상담 - 교회학교 교사 필독서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9 0 2066
526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7 0 1956
525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신학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7 0 1785
524 통합적연구
인터넷 중독과 성경적 상담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4 0 2242
523 통합적연구
영혼치료 상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4 0 1977
522 통합적연구
성경적인 인생관과 치유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3 0 1978
521 통합적연구
성경적 목회상담 이론과 실제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1 1 2020
520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의 원리와 방법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0 0 1883
519 전통적연구
The Biblical Counseling Movement after Adams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0 0 1707
518 통합적연구
성경적 좋은 아빠가 되는 방법 도서 세트(전3권)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10 0 1830
517 통합적연구
성경 이야기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9 0 1988
516 통합적연구
인간 이해와 상담 2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7 0 3578
515 전통적연구
성령상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6 0 1987
514 통합적연구
두려움을 느낄 때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6 0 2148
513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열쇠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5 0 2119
512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의 핵심 개념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3 0 3261
51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하나님 관점의 이야기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4 0 2101
510 전통적연구
심리상담인가 성경적상담인가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0 2592
509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매거진 (통권 21-5호, 이요나)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3227
508 통합적연구
격려를 통한 영적 성장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3 0 2216
507 4조직유형
영혼을 살리는 말, 영혼을 죽이는 말 요약정리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4 4903
506 전통적연구
사이버 세상에서 펼쳐진 성경적 치유상담 엿보기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3 0 1726
505 통합적연구
인간의 마음의 문제를 풀어주는 성경적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2 0 1825
504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2 0 2052
503 기관연구
휴앤 마음디자인 상담센터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0 2 3001
502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하나님의 관점 이야기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9 0 2036
501 전통적연구
영혼치료 상담 - 성경적인 기독교상담 방법론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8 0 1647
500 통합적연구
아빠의 응원가 - 최고의 아빠가 되는 방법 : 탁월한 안내자로서의 새로운 아빠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7 0 2084
499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설교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1 1792
498 통합적연구
'현재를 이기는 능력, 영원'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0 1910
497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 매거진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5 0 2091
496 전통적연구
은혜의 방편을 활용한 기독교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4 0 1609
495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신학 (상담사역의 교리적 기초)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2 1 1568
494 통합적연구
성령상담 성경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1 0 1940
493 통합적연구
성경적관점으로 본 상담과사람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0 1949
492 통합적연구
성경적 목회상담의 이론과 실제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0 2024
49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하나님의 관점이야기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0 0 2152
490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1590
489 전통적연구
성경적 학업스트레스 치유를 위한 성경적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1726
488 마음근원연구
성경적 상담학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9 0 1971
487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 클리닉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8 0 2194
486 통합적연구
정신의학과 기독교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7 0 2100
485 전통적연구
하나님 저는 문제가 있습니다 1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7 0 1712
484 전통적연구
왜 성경적 상담인가?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6 0 1642
483 마음근원연구
성경적 상담학 인간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5 1 1997
482 통합적연구
노년의 삶과 성경적 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89
481 통합적연구
성인아이치유를 위한 영적치유 12단계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40
480 전통적연구
심리치료와 성경적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12
479 통합적연구
타문화권에서의 성경적 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71
478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056
477 통합적연구
약물 중독과 성경적 상담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3 0 2183
476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하나님관점의 이야기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2 0 2115
475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의 본질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2 0 1857
474 심리학적연구
영혼돌봄의 상담학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1 0 1703
473 전통적연구
상담론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9 0 1692
472 통합적연구
어머니의 첫자녀양육 스트레스에대한 질적 연구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4123
471 통합적연구
Winnicott 이론의 기독교상담적 함의와 제안: 성인상담에서 놀이를 중심으로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2194
470 통합적연구
기독교 청년의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소명 의식에 대한 성경적 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6 0 2162
469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치유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5 0 2101
468 통합적연구
한부모가족 자녀의 감정억압에 대한 성경적 상담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5 1 2264
467 전통적연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경적 상담 원리(전형준)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4392
466 심리학적연구
성경적 상담 기법으로서의 독서치료 활용에 관한 연구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1744
465 심리학적연구
동성애에 대한 복음주의 상담적 접근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1533
464 통합적연구
아동학대 가족에 대한 이해와 치유: 가족 Game 속“Life-storytelling”을 활용한 가족치료적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4 0 1995
463 전통적연구
교회 내 이혼위기극복을 위한 성경적 상담 연구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3 1 1702
462 전통적연구
기독교학교의 학생들을 위한 성경적상담 : 서울,경기지역 기독교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2 0 1686
461 통합적연구
'일대일제자양육 성경공부'를 통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 두란노편집 교재 사용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01 0 2101
460 통합적연구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성경적 상담 연구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0 2224
459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 운동과 한국 교회 : 상담 / 김규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1 2242
458 통합적연구
종교적 이종혼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0 2182
457 통합적연구
성경적 변화모델의 발전과 에드워드 웰치의 기여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9 0 2197
456 통합적연구
중년위기 부부의 갈등과 성경적 상담 2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4761
455 통합적연구
포스트모던 시대의 치료적 접근을 활용한 성경적 상담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 연구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2076
454 통합적연구
기독교 상담모델로서 성경적 코칭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2166
453 통합적연구
성경적 관점에서 본 결혼/부부 상담의 용서문제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2121
452 심리학적연구
실천신학개론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6 0 1777
451 통합적연구
청년기 부정적 자아개념과 인간관계 부적응에 대한 성경적 상담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5 0 1907
450 통합적연구
목회상담을 통한 청소년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사례를 중심으로-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2098
449 통합적연구
노화 불안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2016
448 통합적연구
목회자 사모의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상담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1 1 4258
447 전통적연구
성령 상담 : 성경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2295
446 통합적연구
MBTI 성향차이에서 발생한 갈등을 치료하기 위한 성경적 상담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1 0 2234
445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과 인지치료: ‘마음’의 성경적 의미 고찰을 통한 성경적 접근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0 0 2265
444 통합적연구
기독교 상담과 인간성장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9 0 2055
443 기관연구
예상아카데미, 상담심리학 신입생 모집 (Online, Zoom) 한성렬 교수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6 0 2076
442 전통적연구
가정폭력으로 인한 낮은 자존감의 성경적 상담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5 0 1722
44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운동의 역사에 관한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조명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2182
440 심리학적연구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상담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1503
439 전통적연구
심리적 치료의 허구성과 성경적 상담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1 1662
438 통합적연구
은퇴 노인의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상담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2218
437 통합적연구
사이버폭력 경험자들의 불안심리를 중심으로 한 단일사례연구(정혜연, 김준)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2097
436 통합적연구
가정폭력피해여성(딸)의 애착문제에 대한 성경적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3 0 2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