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관연구] 2003 WTS 성경적 상담학 졸업시험 예상문제

상담학 졸업시험1. 통합주의를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현재 기독교 상담 중에서 심리학이라는 빵에 성경이라는 크림을 약간 발라서 기독교 상담이라는 케익을 내놓은 기독교 상담자들이나 심리학자들은 사람을 영혼을 가진 존재로 보지 않고 동물의 하나로 보는데 이론적으로 통합이 될 수 있겠는가? 어떤 하나의 체계 안에 있는 것을 통합할 수는 없다.

2. CCEF 초기 사역의 목표 4가지가 무엇입니까?
1. 지역교회와 연결되어 지역교회가 할 수 없는 목회 상담 제공
2. 목회자, 선교사, 평신도 사역자 상담 훈련
3. 성경적 상담에 대한 출판 사역
4. 양로원과 장기 입원 환자를 위한 시설 운용

3. 성경적 상담의 일곱 가지 원리를 간단히 설명 하시오.

제1원리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창1:27)
사람은 그 존재와 삶이 하나님께 의존하도록 지으심을 받았다.
상담은 타락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그 전부터 상담은 필요했다.
인간이 상담을 필요로 한 것은 창조 때부터 이상 일만이 대화하는 존재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제2원리 사람은 죄로 인해 타락하였다
하나님의 상담을 따르지 않고 뱀의 상담을 따랐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존재하기를 거부하고 독립된 자아로 존재하려 했다(창3장)

제3원리 사람의 문제는 마음의 문제이다
그러므로 상담이 성경적이 되기 위해서는 사람의 마음 깊은 곳에 뿌리를 내려야 한다(막7장)
마음의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제4원리 상담의 주요 도구는 성경이다(히4:12)
하나님의 말씀 없이는 인간의 심층 깊이 파고 들어갈 수 없다.

제5원리 상담의 모델은 예수님이시다.
예수님은 니고데모와의 대화를 통해 구원을 가르치시고,
요한복음 14장에서 수가성 여인과 상담을 통해 전도하셨다.

제6원리 사람은 이 세상에서 고통 당하는 존재다.
성경적 상담자는 인간 고통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수님은 간음한 여인에 대하여 우선 용서했다.
그러나 다시 그렇게 하지 말라고 말씀하심으로 가르치심과 상담을 마치셨다.

제7원리 진정한 변화는 성령의 역사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성경적 상담자는 기도해야 하고 기도를 통하여 성령의 역사가 일어난다.






4. 두 나무 그림을 그리고 8가지 질문을 해당하는 곳에 적으시오(강의교재/성경적 변화의 역할 10p참조)

1. 히트
당신은 어떤 상황에 있는가? 과거에는 어떠했고 미래에는 어떠할 것이고, 땀나게 만드는 태양, 세상 의 여러 가지 문제, 몸의 문제, 배척받는 것, 경제적인 문제, 결혼 문제등 피상담자를 열받게 하는 상 황을 이야기하고 그 상황을 바꾸어 달라고 상담자에게 요청함 남편의 실직

2. Bad Fruit
당신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과거에는 미래에는..
죄악된 성품을 드러냄, 불평, 분노, 두려움, 싸움, 아픔, 우울증, 무기력, 의욕상실, 체중 감소

3. Bad Root
나를 지배하는 것은 무엇인가? 문제는 우리의 마음에서 나온다. 마음이 잘못되어 있으면 상황에 반 응할 때 잘못된 반응이 나오게 된다. 평안하기를 원함. 존경, 감사 받기를 원함, 성공이나 성취를 위 해 산다. 권력, 지위, 소유, 복수, 인정, 아름다운, 강화를 추구하기 위해서 산다.

4. REAP
결과는 무엇인가? 갈6:7 “심는대로 거둔다”(악순환)

5. Crucified Lord / Sovereign speaker
하나님은 누구신가? 하나님은 어떻게 말씀하시는가?
내가 필요할 때 무엇을 예비하셔서 나를 도우실까?
생명의 성령을 주셔서 변화하게 하셨다. 우리의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하게 하신다.

6. Good Root
나는 어떻게 하나님께 나아가 도움을 구할까?
가시가 났던 마음이 변화하게 된다. 두려움이 희망이 된다.
우울증에 빠져 있던 사람이 용기를 낸다. 자기 중심적 시기, 시기적 사람이 남과 나누게 된다.

7. Good Fruit
이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해 어떻게 상황에 반응할까? 새로운 생각과 마음은 좋은 열매를 맺 게 한다. 두려운 마음이 희망으로 우울증에 빠진 사람이 욕망적으로, 이기주의자가 다른 사람 중 심으로 사랑으로 변한다.

8. Reap
어려운 상황은 그대로 있지만 좋은 결과를 맺는다.
믿음과 순종 가운데 사는 삶의 결과는 은혜의 순환, 생명의 면류관









5. 마음의 우상에 대하여 상담학적으로 논하시오.

상담과 깊이 관련되는 “마음” 에 대하여 성경은 두 가지를 이야기한다.

1) 마음은 적극적이다.
마음은 우리의 행동을 유발하고, 지시하며, 형성하거나 이끌어 간다. 이를 다른 말로 “사람의 행동은 마음에서 나온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누가복음 6장에서 주님은 인간의 기능에 대해 나무에 비유한다. 나무를 볼 때 우리는 열매를 보는데 이는 외적인 행동이다. 행동을 통해 열매를 안다. 이행동은 과연 어디서부터 왔는가? 나무의 예화에서 뿌리는 인간의 마음이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마음에서 나오는 것이 입에서 나온다고 하셨다. 환경 때문에 행동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행동이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열매를 변화시키려면 뿌리(마음)을 변화시켜야 한다.

2) 무엇이 마음을 지배하는가?
에스겔 14장 3절에서 하나님은 그들의 마음에 우상이 있음을 말한다. 근본의 마음의 문제를 지적하신 것인데 영적 지도자인 이스라엘 장로들은 하나님 대신에 마음에 갖는 어떤 우상이 있었다. 하나님은 인간을 예배자로 창조하셨다. 하나님을 예배하지 않는 자는 바로 우상숭배자 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인간의 마음속의 우상 숭배에 대해 말씀하시고자 한다. 마음을 조정하는 것이 우리의 삶과 행동을 철저하게 통제하고 조정하게 된다. 에스겔 14장은 무엇이 바로 이 사람의 마음을 주관하고 있는가의 문제이다. 누가복음 6장은 변화의 초점은 마음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모든 문제는 마음을 바꿈으로 뿌리가 바뀌고 열매가 바뀌게 된다. 성경적 상담의 목표는 마음을 바꾸는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인간의 문제는 마음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것은 우리의 마음을 새롭게 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가 예수님의 사신이라면 그들의 마음을 바꾸는 일을 하여야 한다.



7. 상담자와 피상담자와 어떠한 관계를 맺어야만 하는가?

1.온유와 친철 :
내담자의 필요, 경험, 온갖 책임감과 압박이 존재하는 상황 그리고 주님과 동행하는 것에 대하여 예민함, 그로인해 나는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에 대한 실제적인 믿음을 가지게 함으로서 즐거운 순종의 열매를 맺도록 그들에게 하나님의 부르심을 제시할 수 있다.

a. 중요성 :내가 내담자들과 상담하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이므로 내가 내담자와 맺는 관계도 은혜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나는 그 관계가 회복의 계획과 함께 온유함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회복의 계획
/
격려(소망)-위로(용서)-촉구(변화)
/ 온유함

b. 자기진단 질문
1)격려
a) 나는 얼마나 소망을 심어주는데 익숙한가?
b) 나는 얼마나 잘 내담자의 속에 있는 절망의 징후를 파악하는가?
c) 나는 내담자의 절망의 근본적인 원인을 밝혀낼 수 잇는가?
d) 나는 절망의 특별한 원이를 언급하는 성경적 자료를 찾아내는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e) 나는 얼마나 효율적으로 하나님, 그의 말씀, 복음의 능력 안에서 소망을 갖게 하는가?

2) 위로.
a) 나는 거룩하라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하나님의 용서를 알려주고 모범을 보이는데 얼마나 익숙한가?
b) 나는 하나님이 주신 책임과 그렇지 않은 것을 얼마나 분명하게 구별시켜 제시할 수 있는가?
c) 나는 사람들의 죄나 혹은 그러한 사람들을 대하는데 지쳤기 때문에 그들을 무시하는 경향은 없는가?

3) 촉구
a) 나는 얼마나 내담자의 변화를 위해 실제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는가?
b) 나는 정죄하거나 율법적이지 않으면서 내담자를 얼마나 잘 지도할 수 있는가?
c) 나는 하나님께서 바로 지금 내담자를 “회복”시키기 원하시는 방식을 어느정도 결정할 수 있는가?
d) 나는 내담자의 낙심에 대하여 얼마나 민감한가? 적절하게 대처?
e) 나는 상담 관계가 어느 곳으로도 진전되지 않는 무목적적 온유함으로 이루어지는 때를 얼마나 잘 인 식할 수 있는가? 원래의 상담으로 돌아가는데 얼마나 익숙한가?
f) 나는 온유함을 사람들의 비위를 맞추거나 힘든 문제를 다루기를 회피하는 것과 혼동하는가?
g) 나는 죄악된 분노, 자극적 언어, 위협적 시선 등이 없이 대면할 수 있는가?

2. 민감과 동정심
나 자신에게 은혜가 필요함을 알고 내담자와 자신을 동일시함, 그들의 연약함을 알고 그들이 처한 어려운 상황 속에 들어가서 그들의 고통 속에 그리스도의 긍휼을 베품

a) 중요성 : 내담자는 내가 확신을 가지고 복음을 제시함을 볼 수 있어야 한다. 하나님의 부르심은 내담자의 삶의 상황에 알맞은 적용과 매일 당면하는 갈등에 대한 적절한 관심과 함께 주어졌다.

b) 자가진단질문
1) 나는 내담자의 갈등을 잘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개인적 경험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찾아내는가?
2) 나는 이런 갈등을 기꺼이 내담자와 솔직히 나누려고 하는가?
3) 나누는 것이 적절할 때와 부적절할 때를 얼마나 잘 구별하는가?
4) 나는 언제 동정심이라는 명목으로 죄악된 반응들을 용서해 주거나 재해석하려는 유혹을 받는가?
5) 성경적으로 내담자가 들어야 할 “어려운 말들”을 하면서 동시에 연민을 갖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

3. 화평케함.
c. 중요성 : 상담자로서 당신은 분누하고, 상처입고, 감정적이며, 방어적인 사람들을 다루게 될 것이다. 그들은 종종 자신들에 대한 당신의 반응에 과민할 수 있다. 내담자는 자신의 우상들을 상담실로 끌어들일 것이다. 이 모든 사실은 상담실 안에 커다란 갈등의 잠재 요소가 있음을 의미한다.

b. 자가진단질문
1) 내담자의 공격을 개인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가?
2) 나는 화평을 위하여 진리를 왜곡하거나 아니면 문제에 직면하는 태도 때문에 갈등을 일으키는가?
3) 상담 관계에서 갈등이 생길 때, 나는 어떻게 화평을 구하는가?
4) 나는 내담자 속의 갈등이나 분노를 노출시키는 질문들을 하는데 얼마나 능숙한가?
5) 어는 경우 외부의 중재를 구해아 하는가? 또 어느 경우에 구하지 말아야 하는가?


8. 자료 수집을 위해 질문 할 때 피해야 할 일들이 무엇입니까?

1) 상담자 중 종종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며 질문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
내담자가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하면 상담자 자신의 아버지를 생각하며 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2) 상담자는 들을 때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생각한다.
내담자가 아버지나 학교를 이야기 할 때 내담자의 아버지나 학교가 아니라 자신의 아버지나 학교를 생각하며 내담자와 동일한 경험을 했다고 생각하는 수가 만다. 그러므로 전제하지 말고 질문해야 한다. 알아도 확인하기 위해 질문하라. 내담자의 용어가 익숙하다 하지라도 다른 정의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므로 질문하라

※ 참고 - 상담 자료의 이해를 위한 세 가지 단계
1) 정의 : 내담자가 “싸운다”고 말할 때 그것은 조용히 싸우는 것인가? 아니면 치고 받는 정도의 싸움인가? 그것은 내담자 밖에 모르기에 내담자로 하여금 용어를 전제하도록 하라

2) 명확화 : 좀더 쉼게, 확실히 모든 것을 보도록 하는 것이다.
일어난 일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보라는 것이다.

3) 설명 : 내담자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하는지 알기 위해 설명해 보라고 한다.

9. 직면의 4단계를 설명하시오.
내 남자는 사랑의 성경적인 직면을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마음의 본성적 교활함 때문이다. 상담자의 경청 동정함으로는 행복치 않고 진실이 사랑으로 말해져야 한다. 지속적인 변화는 고백과 회개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직면의 네 가지 기능적인 목표는

1) 고려 - 무엇을
내담자가 보지 못하지만 하나님이 그를 통해 어떤 것을 원하시는지 보게하는 것이다. 샤론의 예에서 고아원 출신인 샤론이 사업 성공가인 에드와 결혼한 것은 에스가 자신의 목양을 채워줄 수 있다고 생각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결혼한 것이다. 그런 샤론에게 상담자가 그런 에드가 결론한 이유는 무엇일까하고 물으니까 그녀는 놀라며 깨달았다.

2) 고백
자신의 잘못을 일단 하나님께 고백해야 한다. 그리고 상대방에게 고백해야 한다. 샤론은 ‘내가 너와 결혼한 것을 돈과 지위를 원한 것이기에 잘못한 것이었다“ 라고 고백을 했다.

3) 결단 - 무엇
하나님께 그리고 사람에게 하는 것이다.
하나님 앞에 그리고 사람 앞에 새로운 삶을 살겠다는 단정적 약속이다.

4) 변화 - 어떻게
고백과 결단 등으로 충분치 않고 매일 매일의 삶에 적용되어야 한다. 마음의 변화는 삶의 변화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스도의 제자라는 것은 매일의 삶에서 주님의 모습을 닮아가는 것이다.


10. 결혼의 성경적 범주(떠나라, 연합하라, 하나되라)를 설명하시오.

1) 떠나라: 부모로부터 떠나야 하는 것이다. 부모를 저버리거나 무시하라는 뜻이 아니라 새 가정을 이룩하는데 있어서 부모가 방해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뜻이다.
가. 신체적으로: 새 가정을 세우기 위해 새 집을 갖는 것 혹은 분가하는 것인데 J.Adams 는 ‘지리적으로 부모를 떠나라’고 말했다.
나. 심리적으로: 신체적인 것 보단느 심리적으로 떠남이 중요하다. 집은 멀어도 심리적으 로 떠나지 못하는 수도 있다. 모세 오경 기록 당시 3-4대가 한 텐트에 생활했다.
한 집에 살아도 심리적으로는 꼭 떠나야 한다.

2) 연합하라
가. 헌신 : 배우자에 대해서는 동반자적인 헌신이 있어야 한다. 생각, 목적, 계획이 그들의 동반자적 관점에서 서로 헌신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아담에게 “돕는배 필”를 주리라 하셨을 때 아담이 무슨 일거리가 많아서 도와줄 사람이 필요했던 것이 아니다 동산에 있는 아름다운 식물과 동물이 있었지만 그들이 아담의 친구가 될 수 없었다. 하나님은 여자를 창조하셔서 그의 친구가 되고 그의 고독 문제를 해결하시고 돕는 배필이 되게 하셨던 것이다.
나. 의사소통: 의사소통의 목적은 “하나됨”을 창출하기 위함이다. 엡4:1-3은 의사소통의 원리를 보여준다. 대화는 관계를 형성한다. 대화는 상호작용이다. 건강한 대화가 필요 하다. 모든 의사소통은 방법과 감정이 필요하다. 사랑의 표현이 필요하다. 격려, 희망 을 주는 말이 필요하다.(잠25:11)
의사소통의 원칙을 어기는 방법은 *이중의 속박 *뒷문으로 들어가기 *기습
*과거사를 들먹이기 *과장 *비어 *비겁한 행위 *정신분석 *비난 *화를 냄
3) 하나가 되라
옷감을 짜는 것처럼 서로 엮어져서 하나가 되는 것이다.
가. 동료애
나. 성(sex): 부부가 벌거벗은 것은 그들의 “하나됨”을 묘사해 주는 것이다 부부의 육체관계는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우정”표현이며 관심이다.


11. 결혼 전/결혼 후 상담에 관하여 아는 바를 쓰시오.
결혼전 상담: 결혼을 앞둔 남녀에게(반드시 함께 상담을 받도록 함)
a. 신앙의 문제- 결혼 전 교육 중생의 문제
b. 부모를 떠나 독립하는 인격적인 존재, 두 사람만 살아갈 수 있는가?
c. 건전한 성 지식을 갖고 있는가
d. 생각, 계획을 혼자 마음소기에만 두어 문제가 되지 않고 부부 관계가 Communication이 잘 될 것인가?
e, 다른 배경과 문화 속에서 살아온 사람들이 둘이서 그는 적응할 수 있는가?
적어도 7회상담 점검 및 문제가 있을 경우 치료교육

결론 후 상담: 실제는 결혼 전 상담을 했던 대로 다시 상담
* 자녀의 출산 등으로 인해 부부관계가 약화되지는 않았는가?
* 결혼 후 남편이 변하지는 않았는가?
* 결혼의 성경적 범주(떠남, 연합, 하나됨) 에 문제는 없는가?


13. Biblical Connseling Triangle을 그리시오
(교재 황규명 교수 일상생활상담 116p 참조)

대중상담-교회의 사역을 상담이라는 관점에서 비추어 봄 대중을 상담 대상으로 보고 설교하고 가르치고 예배하고 모범을 보이는 것이다.
자가상담- (시편 1편, 딤전 4:16) 소그룹 성경공부, 큐티, 기도하다가 자기 자신을 비추어 보는 것이다.
요청상담- (말 3:16) 찾아와서 상담 요청, 심방 제자훈련 시간에 나눔을 통해서 상담
비 요청 일대일상담- (레 19:15-18) 본인은 할 생각이 없는데 억지로 상담, 흔히 자녀 붙잡고 상담, 교회 문제있는 성도 찾아가서 상담
비 요청그룹상담-(마18:15-20) 당회가 권면 치리 하는 경우

14. 인간 고통의 문제를 성경적으로 논하시오.
1. 왜 고통에 대해 얘기하는가?
a. 상담은 고통에서 시작된다.
b. 모든 곳에 고통이 있다. 고통이란 것은 사방어디든 있다. 모두가 자기의 눈물연못가 에 앉아있다. 성경은 고통 당한 사람들 이야기로 가득하다.
c. 고통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접근이 불명료하다.
2. 고통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A. 고통은 서로 다른 5가지의 원인에서 온다고 볼 수 있다.
*자기 자신의 죄 때문 예)술,담배-간암
*다른 사람의 죄 때문 예)음주 운전으로 고통사고 피해줌
*인류에게 주어진 전반적인 저주 때문, 아담의 죄로 땅과 인류저주-약육강식, 질병, 태풍, 수해, 지진등
*조용히 찾아오는 사탄때문
*하나님의 허용-욥
B. 고통에는 한가지 이상의 원인이 있다. 성경이 고통의 원인을 알 수 있는 명확한 지 침을 항상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3. 고통의 원인이 무엇이든지 간에 동정을 갖는 것이 원칙이다.
A. 일반적인 성경의 지침들
a. 우는자들로 함께 울라(롬12:15)
b. 고통받는 자들을 위해 기도하라(고후1:9-11)
c. 고통 받는 자들과 함께 하며, 격려하는 말로 그들을 세우라
B. 범죄에 희생되었을 때의 동정
C. 상담자들의 잘못
a. “용서하고 잊어버려라”
b. "다 이해한다“
c. "왜 더 크게 소리지르지 않았는가?“
d. "그 얘기 할 필요없다.“(나는 그런 고통스러운 감정들을 다루고 싶지 않으니까?)

하나님은 고통당하는 자에게 말씀하신다. “너의 고통을 말로 나타내라” 하나님은 책임져야할 자를 드러내신다. 범죄의 대상이 된 것에 대해서는 우리의 책임이 없다. (렘23,겔34) 범죄의 대상이 된 사람의 궁극적인 적은 사탄이다. 하나님은 “나는 자비로우며 사랑이며, 긍휼히 여기는 하나님이다”라고 자신을 드러내신다. 예수님은 우리의 고통보다 더 큰 고통을 겪으셨고 고통당하는 자들에게 찾아오신다. 그리고 나를 믿으라고 말씀하신다.
우리는 고통을 통해 이 세상의 실상을 알게되고 우리에게 영원에 대한 소망을 갖게 해 준다.(히10-12, 롬5:3-4, 고후4:17, 계21:4-5)


15. 분노에 대하여 논하시오.
우리 주변에서 분노로 인하여 삶을 망가뜨린 경우를 많이 본다. 분노는 다시 분노를 일으킨다. 분노에 대한 가장 무서운 현상은 분노로 남을 죽이고 있지만 분노하는 사람은 그 죄를 깨닫지 못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남의 분노는 생각하면서 자신의 분노는 생각하지 못한다. 분노에 대한 첫 번째 과제는 자기 자신을 발견하여야 한다. 그런 후에야 다른 사람에게 성경이 말하는 것을 가르쳐 줄 수 있게 된다. 분노에는 겉으로 보이는 분노도 있고 또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적인 분노가 있다. 간혹 의로운 분노가 있지만 이 정의로운 분노 외에는 죄악스러운 것이다.
아내에게 불손한 자녀들에게 행한 분노 외에는 모두 죄악스러운 것이 있다. 분노 중에 하는 불평은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멸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성령님은 말씀을 통해 우리 자신을 드러내게 하신다.
분노-요약

1)인간은 모두 분노 때문에 갈등한다.
2)분노는 마음을 지배하는 것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분노의 이유를 외부에서 쫓는데 사실은 그 사람의 마음과 연결되어있다. 내가 원하는 것을 갖지 못하게 되면 화가 난다. 그래서 야고보는 분노를 통해 마음을 직접 본다고 했다. 분노는 마음을 드러내 보게 해주는 놀라운 유리창이다.

*분노에 대한 대리
1.분노한 사람은 사랑함으로 돕는다.
잠15:1에 ‘유순한 대답은 분노를 쉬게 한다.“고 말했다.
2.분노한 사람을 이해하고 이야기할 때 들어준다.
분노하는 사람의 말을 듣고 이해하면서 하나님의 말씀을 소개하는 것이다. 마음의 문을 밝혀서 분노가 보지 못하는 상황을 보게 해 주어야 한다.
성경은 분노하는 사람의 마음의 깊은 곳을 드러내게 하시고 치료하시는 것이다. 상담자는 분노 당할 대상자가 하나님의 자녀임과 내가 그를 사랑해야 한다는 것을 간과해 서는 안 된다. 분노의 핵심은 영적인 헌신에 대한 갈등이다.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378 통합적연구
기독교 상담모델로서 성경적 코칭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1246
377 통합적연구
성경적 관점에서 본 결혼/부부 상담의 용서문제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8 0 1156
376 심리학적연구
실천신학개론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6 0 810
375 통합적연구
청년기 부정적 자아개념과 인간관계 부적응에 대한 성경적 상담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5 0 974
374 통합적연구
목회상담을 통한 청소년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사례를 중심으로-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1180
373 통합적연구
노화 불안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1169
372 통합적연구
목회자 사모의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상담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1 1 2300
371 전통적연구
성령 상담 : 성경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2 0 1337
370 통합적연구
MBTI 성향차이에서 발생한 갈등을 치료하기 위한 성경적 상담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1 0 1262
369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과 인지치료: ‘마음’의 성경적 의미 고찰을 통한 성경적 접근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20 0 1212
368 통합적연구
기독교 상담과 인간성장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9 0 1109
367 기관연구
예상아카데미, 상담심리학 신입생 모집 (Online, Zoom) 한성렬 교수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6 0 1028
366 전통적연구
가정폭력으로 인한 낮은 자존감의 성경적 상담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5 0 912
365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운동의 역사에 관한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조명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1241
364 심리학적연구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777
363 전통적연구
심리적 치료의 허구성과 성경적 상담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1 846
362 통합적연구
은퇴 노인의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상담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1176
361 통합적연구
사이버폭력 경험자들의 불안심리를 중심으로 한 단일사례연구(정혜연, 김준)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4 0 1087
360 통합적연구
가정폭력피해여성(딸)의 애착문제에 대한 성경적 상담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3 0 1111
359 f통찰해석
When People Are Big and God Is Small, 초벌 번역본 / Ed Welch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4 3158
358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의 통합 모델에 관한 성경적 상담학적 조명 = Biblical Counseling Illuminat…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8 0 1119
357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으로서 예언사역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Prophecy Ministry as a B…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8 0 1130
356 심리학적연구
실천신학론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8 0 732
355 통합적연구
가정교회 사역을 통한 평신도 성경적 상담사역의 활성화 방안 연구: 길벗교회를 중심으로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7 0 1084
354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현재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7 0 1100
353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을 통한 자아정체성의 회복이 배우자 선택의 기준에 미치는 영향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7 0 918
352 전통적연구
청소년의 위기에 대한 성경적 상담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6 0 846
351 통합적연구
개혁주의 성경적 상담의 목회적 적용(정정숙)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5 0 1119
350 통합적연구
범 불안장애 극복을 위한 성경적 상담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5 0 1110
349 통합적연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회복을 위한 12단계 프로그램 개발 효과성 연구: 기독 청소년을 중심으로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1 0 1081
348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을 통한 기독 중년 여성들의 우울증 회복 과정 : 근거이론적 접근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1 1 923
347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설교의 통합방안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1 0 1124
346 통합적연구
청소년 진로결정을 위한 성경적 상담 = Biblical counseling for Adolescent Car…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1 0 1109
345 통합적연구
한국 성경적 상담 운동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과제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1 0 1061
344 통합적연구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에 대한 성경적 상담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0 0 1181
343 심리학적연구
신비주의 경향으로 나타나는 신앙망상에 대한 성경적상담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0 0 874
342 전통적연구
트라우마 가족 역동에 대한 그리스도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0 0 793
341 전통적연구
학교폭력에 나타나는 마음의 문제: 성경적 상담의 관점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9 0 763
340 통합적연구
포스트모던 시대의 치료적 접근을 활용한 성경적 상담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 연구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5 0 1054
339 전통적연구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로 인한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성경적 상담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5 0 799
338 통합적연구
제자훈련 사역에서 성경적 상담의 활용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4 0 1157
337 통합적연구
권두언 : 성격적 상담운동의 확산을 위하여 1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2657
336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설교 : 성경적 상담과 설교의 통합방안 = Biblical counseling and prea…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4 0 1176
335 통합적연구
중독자가정의 동반의존자에 대한 성경적상담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3 0 2091
334 통합적연구
청년기 자존감 독서치료 : 성경적상담의 관점에서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2 0 1176
333 통합적연구
(인간의 마음의 문제를 풀어주는) 성경적 상담 : 성경적 상담과 변화의 방법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2 0 1111
332 통합적연구
완벽주의와 우울에 관한 성경적 상담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1 0 1118
331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과 인지치료: ‘마음’의 성경적 의미 고찰을 통한 성경적 접근 (김준)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9 0 1316
330 통합적연구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9 0 1122
329 통합적연구
기독교학교의 학생들을 위한 성경적상담 : 서울,경기지역 기독교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8 1 1178
328 통합적연구
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치유를 위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8 0 1986
327 전통적연구
아동학대에 나타난 부모의 분노에 대한 성경적상담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7 0 874
326 전통적연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완벽주의에 대한 고찰과 성경적 상담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7 0 894
325 전통적연구
사춘기 청소년에 대한 성경적 상담: 조기사춘기의 원인분석을 통하여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7 0 859
324 통합적연구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6 0 1161
323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상담목회의 실천 (정정숙)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6 0 1236
322 통합적연구
ADHD 아동의 정서적 문제에 대한 성경적 상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3 0 1303
321 심리학적연구
클라인정신분석심리상담연구소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959
320 심리학적연구
착한벗 심리센타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900
319 심리학적연구
글로리아 가족상담소. 중노년연구소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883
318 기관연구
청년상담센터 위드 WITH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894
317 기관연구
마인드엔심리상담센터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896
316 기관연구
크리스찬 연애 대책 연구소 1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1669
315 5관계유형
성경적 목회상담의 역사2 (노승수)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5 0 841
314 기관연구
심리상담센터 에이레네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4 0 1091
313 심리학적연구
한국심리상담협회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810
312 심리학적연구
찌질한 임상심리사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965
311 기관연구
대구기독교상담센터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977
310 기관연구
영재오 심리발달 센터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955
309 심리학적연구
aha connects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833
308 기관연구
브니엘 심리상담센터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1178
307 심리학적연구
글로리아 중장년 연구소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883
306 심리학적연구
큰사랑심리상담소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7 0 978
305 기관연구
한국상담선교연구원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7 0 913
304 기관연구
허그맘허그인 상담센터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6 0 803
303 심리학적연구
블레스병원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6 0 940
302 심리학적연구
평신도 이단 대책 협의회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6 0 855
301 기관연구
아가페 심리상담센터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6 0 968
300 기관연구
워싱턴 크리스천 상담교육원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5 0 942
299 기관연구
동산상담소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0 0 950
298 심리학적연구
가톨릭 영성 심리 상담소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1 1137
297 심리학적연구
이상한 육아심리상담소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0 847
296 심리학적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_상담전문과정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0 923
295 기관연구
두리만나심리리상담지원센터 1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0 1882
294 기관연구
블레싱상담센터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0 1107
293 심리학적연구
이룸심리상담연구소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8 0 888
292 a적용해석
상담과 설교의 통합방안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8 0 932
291 심리학적연구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8 0 1013
290 혁신적연구
WTS: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성경적 상담학 박사학위논문 목록 3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8 2680
289 기관연구
심리상담센터 엠브레스마인드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3 1 893
288 심리학적연구
하모니 헬퍼 한국 가족 상담 연구소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2 0 848
287 심리학적연구
맘앤맘소풍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2 0 868
286 기관연구
성경적 카운슬링 스쿨 (권면상담)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2 0 980
285 기관연구
한국기독교이단상담소협회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1 0 978
284 기관연구
한국상담선교연구원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1 0 1017
283 기관연구
대구기독교상담센터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0 0 937
282 기관연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상담소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6 0 1057
281 기관연구
한국기독교심리상담학회(kccan)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5 0 999
280 기관연구
사이버1388 청소년상담센터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4 0 826
279 기관연구
미드미 심리상담센터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4 0 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