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학 도서 상담학 논문 상담학 설교

[6심층유형] [논문] 외상적 상실을 경험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외상적 상실을 경험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ourning Process of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who Experienced Traumatic Loss

http://www.riss.kr/link?id=T16736861

  • 8

    상세조회
  • 7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은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참사로 인해 외상적 상실을 경험한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세월호참사 피해자를 심리지원하는 기관에 근무하면서 7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애도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가족들의 애도과정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탐색하고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 목적은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애도과정에서의 변화 및 애도과정의 의미를 규명하여 향후 외상적 상실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애도과정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애도 상담자 및 신앙 공동체가 해야할 역할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세월호 유가족들이 참사직후부터 경험해온 애도 경험의 근본적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서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세월호참사로 자녀를 잃은 유가족 부모 중 참사 전부터 기독교 신앙을 갖고 있던 11명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개별면담은 참사 7주기 이후인 2021년 5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총 177개의 의미단위와 47개의 소주제, 12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들은 애도과정에 영향을 준 요인은 도움요인과 방해요인이라는 2가지 대주제로 나타났고, 애도과정의 변화경험은 8가지 대주제, 애도과정에서 나타나는 애도의 감정과 의미는 2가지 대주제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도과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도움요인으로는 소중한 가족, 세월호를 기억하기, 유가족 활동, 함께해준 사람들, 신앙의 힘, 그냥 살아감이라는 6가지 소주제이고, 부정적 영향을 주는 방해요인으로는 낙인과 직접적인 비난, 이해받지 못함, 신앙공동체에 대한 실망, 몸에 밴 신앙 습관이라는 5가지 소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애도과정에서의 변화 경험은 8가지 대주제로 나타났는데, 애도과정을 겪으며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 및 신앙, 정체성, 그리고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유가족의 애도과정 중 애도의 감정과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주요한 애도감정은 미안함과 슬픔, 그리움, 우울감, 자책감, 절망감으로 나타났고, 매년마다 동일한 감정을 반복하고 있었다. 또한 애도과정에 대한 의미부여는 이전 삶과의 단절, 새로운 삶을 찾아감, 상실에 몰두, 삶과 죽음의 공존이라는 4가지 소주제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 지원 방안 및 애도과정을 지원하는 상담자의 역할과 신앙 공동체의 역할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첫째,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세 가지 방안은 ‘피해자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기,’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전환하기,’ ‘사회적 지지를 지속하기’이다.
둘째, 연구자는 상담자의 역할을 ‘동반자적 전문가로서 함께하기’라고 규정하고, ‘함께함’에 있어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4가지 자세(긍휼, 존중, 인내, 겸손)와 애도과정에서 보이는 유가족의 다양한 반응들을 이해하고 전문적인 도움을제공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과 상담 기술을 동시에 숙지하여야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신앙 공동체의 역할로 고통 받는 자와 함께하시는 하나님의 ‘긍휼’을 회복하고 실천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하고, 더불어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선행연구 결과 세월호참사 직후에는 관련된 논문이 급속히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했을 뿐 아니라 7년이 지난 시점에서 애도과정의 현상을 밝힌 국내논문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세월호참사 7년 이후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연구함으로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재조명하고 향후 변화과정에 대한 지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애도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재난 피해자를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신앙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재난 상황에서 신앙 공동체가 해야 할 역할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그동안의 과정을 성찰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 무엇보다 기존 세월호참사 연구에 드러나지 않았던 유가족들의 인터뷰를 포함함으로서 다양한 상황에 놓여있는 유가족의 애도과정 경험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참사 7년이 지난 시점에서의 유가족의 애도과정이 여전히 살아있는 듯 하면서도 죽은 듯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유가족들의 삶이나 신앙, 가치관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과 같은 변화 과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유가족 부모 외에도 형제자매와 생존자 및 생존자 가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재난이 피해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들을 지속적으로 탐색하여 다양한 사회적 돌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ourning process of bereaved families who experienced traumatic loss due to the Sewol ferry disaster on April 16, 2014.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who were still struggling in the mourning process seven years later while working at an institution that psychologically supports the victim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so I started the study because I thought it was necessary to explore the mourning process and continue to support th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mourning process of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changes in the mourning process, and the meaning of the mourning process to find ways to support the mourning process for people experiencing traumatic loss, and to suggest the role of mourning counselors and faith communit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in order to examine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mourning experience that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of the experienced since the disaster.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ents of bereaved families who had lost their children in the Sewol ferry disaster, who had a Christian faith even before the disaster,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y 2021 to August 2021, after the 7th cycle of the disaster.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177 semantic units, 47 sub-themes, and 12 major themes were derived. The study found tha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mourning process were two major themes: help and obstruction, the experience of change in the mourning process was eight major themes, and the feelings and meanings of mourning during the mourning process were two major them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x sub-theme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ourning process are the precious family, remembering the Sewol ferry, bereaved family activities, people who have been with them, the power of faith, and just living. The five sub-themes that have a negative effect are stigma, direct criticism, incomprehension, disappointment in the community of faith, and habit of faith.
Second, the experience of change in the mourning process appeared in eight major theme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experienced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cognitive, behavioral changes, faith, identity, and life changes through the mourning process.
Third, the feelings and meanings of mourning during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were examined. The main mourning feelings were sorry, sadness, longing, depression, guilty conscience, and despair, and the same feelings were repeated every year.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mourning process was divided into four sub-themes: disconnection from the previous life, finding a new life, immersion in loss, and coexistence of life and dea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paper suggests a plan to support the mourning process for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the role of counselors and the role of the faith community in supporting the mourning process.
First, the three measures to support the mourning process of the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are ‘continuing support for victims,’ ‘changing social awareness of victims,’ and ‘continuing social support.’
Second, the researcher defined the role of the counselor as ‘together as a companion expert’ and suggested four attitudes (compassion, respect, patience, and humility) that the counselor should have in the ‘togetherness’ and emphasized that the counselor should be familiar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counseling skills at the same time to understand the various responses of the bereaved family in the mourning process and provide professional help.
Third, it was argued that the role of a faith community should be a community that recovers and practices God’s ‘compassion’ with those who suffer, and that it should also be a community that practices social responsibility.
As a result of previous studies, not only did related papers rapidly increase and then slowly decrease immediatel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but no domestic papers that revealed the phenomenon of the mourning process at the point of 7 years have been published yet.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nd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by studying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7 year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t re-examined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and suggested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he changing process in the future.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mourning process and suggested ways to support disaster victims.
Third,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faith,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in disaster situations were emphasized, and directions were presented to reflect on the process so far. Fourth, above all,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hat it was possible to objectively examine the experience of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in various situations by including interviews with the bereaved families, which were not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was still alive and dead at the time of 7 years after the disaster, but it was able to confirm positive changes in the lives, beliefs and values of the bereaved families. Therefore,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nge process such as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bereaved fami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explore the effects of disasters on victims through research on siblings, survivors, and survivors' families in addition to bereaved parents, so that various social care can be achie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서 론 01
  •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 B.선행 연구 06
  • C.연구 문제 14
  • D.용어 정의 15
  • Ⅱ.이론적 배경 17
  • A.재난에 대한 이해 17
  • 1.재난의 정의 17
  • 2.재난의 종류 18
  • 3.재난 경험 후 심리적·행동적 반응 19
  • 4.재난 후 시기별 반응 21
  • B.외상에 대한 이해 24
  • 1.외상의 정의 25
  • 2.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이해 29
  • 3.외상 후 성장에 대한 이해 31
  • C.애도에 대한 이해 33
  • 1.상실의 개념 33
  • 2.애도의 개념 35
  • 3.애도의 반응 38
  • 4.복잡성 애도 40
  • 5.애도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델 46
  • 6.성경적 관점에서의 애도 52
  • Ⅲ.연구방법 55
  • A.연구방법 55
  • 1.현상학적 연구방법 56
  • 2.지오르기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59
  • 3.연구 참여자 62
  • 4.자료 수집 및 분석 절차 71
  • 5.연구과정의 평가 및 윤리적 고려 74
  • Ⅳ.연구결과 77
  • A.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한 상황적 구조 기술 86
  • 1.영향 요인 86
  • 2.변화 과정 114
  • 3.애도 감정 및 의미 167
  • B.참여자들의 진술에 대한 일반적 구조 기술 183
  • 1.영향 요인 183
  • 2.변화 과정 185
  • 3.애도 감정 및 의미 191
  • Ⅴ.논의 및 결론 195
  • A.요약 195
  • B.논의 및 제언 200
  • 참고문헌 217
  •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229
  • <부록 2> 면담 질문지 230
  • Abstract 231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435 f통찰해석
When People Are Big and God Is Small, 초벌 번역본 / Ed Welch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4 4337
434 ccef
The Pastor as Counselor: The Call for Soul Care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11 1 2339
433 ccef
Words: A Hidden Weapon of Domestic Abuse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3 2 2304
432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의 통합 모델에 관한 성경적 상담학적 조명 = Biblical Counseling Illuminat…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8 0 1967
43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으로서 예언사역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Prophecy Ministry as a B…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8 0 1890
430 심리학적연구
실천신학론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8 0 1346
429 통합적연구
가정교회 사역을 통한 평신도 성경적 상담사역의 활성화 방안 연구: 길벗교회를 중심으로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7 0 1908
428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현재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7 0 1823
427 전통적연구
성경적상담을 통한 자아정체성의 회복이 배우자 선택의 기준에 미치는 영향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7 0 1589
426 전통적연구
청소년의 위기에 대한 성경적 상담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6 0 1612
425 통합적연구
개혁주의 성경적 상담의 목회적 적용(정정숙)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5 0 1978
424 통합적연구
범 불안장애 극복을 위한 성경적 상담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5 0 1783
423 통합적연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회복을 위한 12단계 프로그램 개발 효과성 연구: 기독 청소년을 중심으로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1 0 1814
422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을 통한 기독 중년 여성들의 우울증 회복 과정 : 근거이론적 접근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6-01 1 1651
421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설교의 통합방안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1 0 1838
420 통합적연구
청소년 진로결정을 위한 성경적 상담 = Biblical counseling for Adolescent Car…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1 0 1860
419 통합적연구
한국 성경적 상담 운동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과제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1 0 1886
418 통합적연구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에 대한 성경적 상담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0 0 1956
417 심리학적연구
신비주의 경향으로 나타나는 신앙망상에 대한 성경적상담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0 0 1491
416 전통적연구
트라우마 가족 역동에 대한 그리스도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30 0 1610
415 전통적연구
학교폭력에 나타나는 마음의 문제: 성경적 상담의 관점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9 0 1538
414 통합적연구
포스트모던 시대의 치료적 접근을 활용한 성경적 상담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 연구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5 0 1745
413 전통적연구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로 인한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성경적 상담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5 0 1551
412 통합적연구
제자훈련 사역에서 성경적 상담의 활용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4 0 1853
411 통합적연구
권두언 : 성격적 상담운동의 확산을 위하여 1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3906
410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설교 : 성경적 상담과 설교의 통합방안 = Biblical counseling and prea…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4 0 1899
409 통합적연구
중독자가정의 동반의존자에 대한 성경적상담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3 0 3526
408 통합적연구
청년기 자존감 독서치료 : 성경적상담의 관점에서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2 0 1901
407 통합적연구
(인간의 마음의 문제를 풀어주는) 성경적 상담 : 성경적 상담과 변화의 방법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2 0 1917
406 통합적연구
완벽주의와 우울에 관한 성경적 상담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21 0 1816
405 통합적연구
기독교상담과 인지치료: ‘마음’의 성경적 의미 고찰을 통한 성경적 접근 (김준)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9 0 2093
404 통합적연구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9 0 1788
403 통합적연구
기독교학교의 학생들을 위한 성경적상담 : 서울,경기지역 기독교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8 1 1847
402 통합적연구
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치유를 위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8 0 3602
401 전통적연구
아동학대에 나타난 부모의 분노에 대한 성경적상담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7 0 1623
400 전통적연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완벽주의에 대한 고찰과 성경적 상담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7 0 1627
399 전통적연구
사춘기 청소년에 대한 성경적 상담: 조기사춘기의 원인분석을 통하여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7 0 1547
398 통합적연구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6 0 1924
397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과 상담목회의 실천 (정정숙)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6 0 2040
396 통합적연구
ADHD 아동의 정서적 문제에 대한 성경적 상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3 0 2189
395 심리학적연구
클라인정신분석심리상담연구소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1589
394 심리학적연구
착한벗 심리센타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1566
393 심리학적연구
글로리아 가족상담소. 중노년연구소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1576
392 기관연구
청년상담센터 위드 WITH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1523
391 기관연구
마인드엔심리상담센터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1534
390 기관연구
크리스찬 연애 대책 연구소 1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1 0 2803
389 5관계유형
성경적 목회상담의 역사2 (노승수)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5 0 1626
388 기관연구
심리상담센터 에이레네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4 0 1822
387 심리학적연구
한국심리상담협회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1459
386 심리학적연구
찌질한 임상심리사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1614
385 기관연구
대구기독교상담센터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1578
384 기관연구
영재오 심리발달 센터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1611
383 심리학적연구
aha connects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1459
382 기관연구
브니엘 심리상담센터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2077
381 심리학적연구
글로리아 중장년 연구소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3 0 1583
380 ccef
God Wants You to Call Him “My Father”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30 1 2302
379 심리학적연구
큰사랑심리상담소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7 0 1605
378 기관연구
한국상담선교연구원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7 0 1589
377 기관연구
허그맘허그인 상담센터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6 0 1340
376 심리학적연구
블레스병원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6 0 1460
375 심리학적연구
평신도 이단 대책 협의회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6 0 1374
374 기관연구
아가페 심리상담센터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6 0 1586
373 기관연구
워싱턴 크리스천 상담교육원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5 0 1712
372 기관연구
동산상담소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20 0 1566
371 심리학적연구
가톨릭 영성 심리 상담소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1 1800
370 심리학적연구
이상한 육아심리상담소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0 1433
369 심리학적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_상담전문과정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0 1572
368 기관연구
두리만나심리리상담지원센터 1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0 2873
367 기관연구
블레싱상담센터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9 0 1730
366 심리학적연구
이룸심리상담연구소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8 0 1468
365 a적용해석
상담과 설교의 통합방안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8 0 1518
364 심리학적연구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8 0 1538
363 혁신적연구
WTS: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성경적 상담학 박사학위논문 목록 3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8 4069
362 기관연구
심리상담센터 엠브레스마인드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3 1 1546
361 심리학적연구
하모니 헬퍼 한국 가족 상담 연구소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2 0 1451
360 심리학적연구
맘앤맘소풍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2 0 1405
359 기관연구
성경적 카운슬링 스쿨 (권면상담)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2 0 1627
358 기관연구
한국기독교이단상담소협회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1 0 1386
357 기관연구
한국상담선교연구원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1 0 1597
356 기관연구
대구기독교상담센터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10 0 1484
355 기관연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상담소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6 0 1705
354 기관연구
한국기독교심리상담학회(kccan)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5 0 1771
353 기관연구
사이버1388 청소년상담센터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4 0 1344
352 기관연구
미드미 심리상담센터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4 0 1460
351 기관연구
마음쉼터상담센터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4 0 1533
350 기관연구
백석상담센터-“삶의 희망을 만들어가는 따뜻한 사람들”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3 1 1573
349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신학 1 맑은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3 0 2824
348 기관연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협회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9 0 3145
347 심리학적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생활 문화원_심리상담부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30 0 1567
346 기관연구
한국심리상담센터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9 0 1606
345 기관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9 0 1717
344 기관연구
한국상담심리치료센터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9 0 1687
343 심리학적연구
정신분석심리상담 조인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9 0 1532
342 기관연구
래은 상담 연구소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8 0 1640
341 기관연구
정태홍 성경적 상담연구소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7 0 1712
340 기관연구
kiss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1 0 2786
339 기관연구
한국상담연구원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2 0 2886
338 심리학적연구
한국심리커어 마음치유연구소 Kat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2 0 1474
337 심리학적연구
위 클래스 kellysowon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1 0 1524
336 기관연구
희망부부 가족상담센터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0 1 1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