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학 논문 논문 연구실

[e분석해석] [논문] 교회 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사회성 발달 방안으로서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의 유용성 연구 -카이퍼의 영역주권적 함의의 고찰



교회 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사회성 발달 방안으로서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의 유용성 연구 -카이퍼의 영역주권적 함의의 고찰- =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a Creativity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Self-Esteem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at Church -Subjective Implications of Kuyper’s Sphere Sovereignty-

http://www.riss.kr/link?id=T16659537

  • 21

    상세조회
  • 19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In every way, the world is experiencing a wave of forced chang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ow should the church respond in terms of the Reformism pastoral counseling method among the phenomena of this generation that are hastening the Second Coming of the Lord? This is an era in which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practical pastoral counseling alternative to the execution of the cultural and missionary mandate of the Bible. This is because mental preventive measur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problem of physical illness caused by COVID-19; furthermore, improving the image of the church, which has been damaged, and restoring faith is critical.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verify, and propose a creative art therapy (CAT) program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biblical cultural and missionary mandates. We will als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Abraham Kuyper's idea of Sphere Sovereignty,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church reform and social participation by presenting the Reformed cultural view 100 years ago and awakening the Christian's sense of a cultural mandate. This is because the ecclesial program proposed as a Reformed counseling methodology must be developed and proposed on the basis of Reformed theolog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participation and mission of the church as a healing community through culture and art.
Defining it conceptually, CAT is a fusion art therapy program that was researched and created by giving artistic therapeutic possibilities to creative activities that can be carried out in churches. It not only integrates and converge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artistic media such as art, music, literature, motion, and reading therapies, which are commonly used in art therapy, but also applies balloon art, magic performances, and art media in various way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revention and growth-oriented program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ing art healing with practical DIY art. In other words, the CAT program is designed to provide healing to children with psychological problems, and for children in the normal range, a program to promote growth through prevention and learning with a fusion-art healing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CAT program is designed to improv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with reference to "relationship formation,” “self-acceptance,” “acceptance of others” “competence,” and “feelings of achievement,” the components of the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that ar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changes by interaction with others.
Thirty children (20 females, 10 males) from grades four to six attending a church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30 children from grades four to six (20 females, 10 male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e art therapy program. Through this verification,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experim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Three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First, is the CAT program effective in enhancing self-esteem as a cultural mandate execution?
Second, is the CAT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as a cultural mandate execution?
Third, how is the program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ith whom the CAT program was implemented executed as a cultural mandate?
The method of analysis measure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using Cronbach's α while basic finding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χ2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prior homogeneity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sidering the analytic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first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CAT program, as a means of executing the cultural mandate, was effective in enhancing self-esteem. After controlling for the prior self-esteem score in the covariant analysis, the difference in the post-test self-esteem of the two groups was verified.
Second,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CAT program was effective as a means of improving sociality. Sociality consists of three sub-domai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operation, and sociability), and as these factors are highly correlated, MANCOVA was found to be appropriate.
Thir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implemented the CAT program as a means of executing the cultural mandate.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collected as described above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s the CAT program effective in enhancing self-esteem as cultural mandate execution? Co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whether the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iffered according to receiv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or not. As a result of covariance analysis of the post-test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the prior self-esteem score, it was found that the prior self-esteem sco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t-test self-esteem score (F = 47.737, p < .001), and the post-test self-esteem of the two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 = 80.854, p < .001).
Is the CAT program effective in increasing self-esteem? The analytic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their post-test score on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 < .001).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educ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followed the program, improved post-test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as a result of conducting “self-evaluation by giving points to oneself fo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the post-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distribution of points was “90-100 points” (80.0%), “70-80 points” (16.7%), and “50-60 points” (3.3%). It can be seen that one evaluates oneself more highly after following the CAT program.
Second, is the creative art therapy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total pre-test sociality score was 3.675 points, and the post- test sociality score was 4.314 points; in the control group, the overall pre-test sociality score was 3.873 points and the post-test sociality score was 3.659 points. These are the MANCOVA results, which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ociality composed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operation, and sociability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treat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up's effect on post-test sociality after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pre-test sociality sub-variables, Wilks' lambda (Λ =1.348)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 = 28.307, p < .001), indicat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sociality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the research question “Is the CAT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sking whether this program helped improv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during the survey of the experimental group, 66.7% of the responses “strongly agreed” and 33.3% “agreed.” This demonstrates that the absolute majority of participating children themselves experienced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during the treatment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how i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pplied the CAT program as a means of executing the cultural mandate? When asked about further participation, the highest score was “strongly agree” at 53.3%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followed by “agree” at 43.3% and “neutral” at 3.3%. Thus, 96.6%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were willing to participate agai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about CAT as described above, significant experimental results were found on th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participating childre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support from many children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experiment, pastoral counseling was discussed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CAT program. The first role identified was the role and vocation of the church in the social domain, the second was the role and vocation of the church in the next-generation mission domain, the third was the role and vocation of the church in the Christian education domain, and the fourth was the role of the layperson development domain.
Through this study, fo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studie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reformist consideration of art therapy;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vergence art therapy program for all generations; thir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formation and training, and fourth,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at the church application and case studies of the fusion art therapy program continue to be studi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necessary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rst, there is a need for a Reformistic consideration of art therapy.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vergence art therapy program for all gener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ultivation and training of cultural and art professional ministers (culture and art healers). Las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church application and case studies of the fusion art therapy program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모든 면에서 세계는 강제적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 제 4차 산업 등으로 인한 변화가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현상으로 급격히 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주의 재림을 재촉하는 것 같은 이 세대의 현상들 가운데 개혁주의 목회 상담적 방안으로 교회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성경에서 말하는 문화명령의 실행과 선교 명령의 실천목회 상담적 대안이 절실한 시대이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육체적 질병 문제보다 마음 방역이 중요하며, 더 나아가 실추된 교회의 이미지 개선과 믿음 회복이 더욱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성경적 문화명령의 실행 적 관점과 선교 명령의 실천적 대안으로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검증하여 제안하려 한다. 또한 100년 전 개혁주의 문화관을 제시하고, 그리스도인의 문화 사명 의식을 일깨워, 교회개혁과 사회참여에 큰 영향을 준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 사상의 함의를 살펴볼 것이다. 개혁주의 상담학적 방법론으로 제안되는 교회적 프로그램은 개혁주의 신학의 기반 위에서 개발되고, 제안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을 통한 치유공동체로서의 교회의 참여와 사명을 논의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창의력 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의 개념적 정의로는 교회 등에서 실행할 수 있는 창의 활동에 예술 치료적 가능성을 부여하여 연구 창안된 융합예술 치료적 프로그램이다. 예술치료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미술치료, 음악치료, 문학치료, 동작 치료, 독서치료 등의 다양한 예술적 매체의 특성을 통합하고, 융합하여 활용할 뿐 아니라, 풍선아트, 매직 퍼포먼스, 미술 매체를 다양하게 적용, 실용적인 DIY 아트를 융합예술 치유적 관점에서 개발한 예방 및 성장 중심 프로그램이다. 즉 창의력아트 테라피(CAT: Creativity Art Therapy) 프로그램은 융합예술 치유적 방법론을 가지고 심리적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는 치유를, 정상적 범위의 아동에게는 예방과 학습을 통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영역인 ‘관계 형성’, ‘자기수용’, ‘타인 수용’, ‘유능성’ 및 ‘성취감’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아 형성 과정이 달라진다. 이와 같은 이론적 근거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존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경기도에 위치한 교회를 다니는 4학년에서 6학년 아동 중 30명(여 20명, 남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그 외 4학년에서 6학년 아이 중 30명(여 20명, 남 10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검증을 통하여 3가지 연구 질문에 대한 실험과 통계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3가지로, 첫째, 문화명령 수행으로서의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은 자존감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문화명령 수행으로서의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은 사회성을 향상하는 데 효과가 있는가?
셋째, 문화명령 수행으로서의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만족도는 어떠한가?
그 분석 방법은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로 분석하였고, 기초 통계치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을 살펴보기 위하여 검증, 독립표본 t검정을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방법을 살펴보면, 첫째, 문화명령 수행으로서의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이 자존감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공분산 분석(Ana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공분산 분석 시 사전 자존감 점수를 통제한 후, 두 집단의 사후 자존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둘째, 문화명령 수행으로서의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이 사회성을 향상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변량 공분산 분석(Multivariate Anaysis of Covariance: MANCOVA)을 실시하였다. 사회성은 3개의 하위영역(대인관계, 협동성, 사교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요 인간의 상관이 높으므로 다변량 공분산 분석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
셋째, 문화명령 수행으로서의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2.0 Packag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명령 수행으로서의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은 자존감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존감이 실험 처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 분석을 한 결과, 사전 자존감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사전 자존감 점수는 사후 자존감 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47.737, p<.001), 두 집단의 사후 자존감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80.854, p<.001).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은 자존감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가? 의 질문에 대하여 실험 분석 결과는 실험집단의 자존감 사후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로 보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사후 자존감이 향상되었다는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사후 만족도 설문지 조사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본인에게 점수를 주고 자기평가”를 실시한 결과, ‘90-100점’ 80.0%, ‘70-80점’ 16.7%, ‘50-60점’ 3.3%로 나타났다. 이는 창의력아트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자신에 대한 평가가 스스로 향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문화명령 수행으로서의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은 사회성을 향상하는 데 효과가 있는가? 에 대하여는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 사회성 전체 점수는 3.675점, 사후는 4.314점이었고, 통제집단은 사전 사회성 전체 점수는 3.873점, 사후 점수는 3.659점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협동성, 사교성으로 구성된 사회성이 실험 처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공분산 분석을 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사전 사회성 하위변인의 영향을 통제한 후 사후 사회성에 대한 집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Wilks’ Lambda =1.34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28.307, ), 이는 집단 특성에 따라 사회성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은 사회성을 향상하는 데 효과가 있는가? 에 대한 연구 질문에도 역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집단의 설문조사에서 이 프로그램은 본인의 자존감과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질문한 결과, ‘매우 그렇다’ 66.7%, ‘그렇다’ 33.3%의 응답을 받아 참여 아동의 절대다수가 실험집단 내의 치료프로그램 진행 중에 스스로 사회성의 발전을 경험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셋째, 문화명령 수행으로서의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만족도는 어떠한가?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해 조사는, 프로그램 재참여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매우 그렇다’ 53.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그렇다’ 43.3%, ‘보통이다’ 3.3% 순으로 나타나 96.6%가 재참여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창의력아트 테라피를 통한 3가지 연구 질문에 대한 분석 결과는 참여 아동들의 자존감과 사회성 향상에 유의미한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만족도의 면에서도 다수 아동의 지지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연구실험 결과를 토대로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 개발로 인한 목회 상담적 논의를 하였다. 첫째는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영역의 교회적 역할과 사명, 둘째는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한 다음세대 선교영역의 교회적 역할과 사명, 셋째는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한 기독교 교육영역의 교회적 역할과 사명, 넷째는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한 평신도 개발영역의 교회적 역할과 사명이 그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의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해 첫째, 예술치료에 대한 개혁주의적 고찰 필요성이 있고, 둘째, 전 세대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셋째, 문화예술 전문사역자(문화예술치유사) 양성 및 훈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넷째,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교회적용 및 사례연구가 계속 연구되길 제언하는 데 그 의미를 두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ⅶ
  • Ⅰ. 서론 1
  • 1. 문제 제기와 연구 배경 1
  • 2. 연구의 중요성 5
  • 3. 선행 연구 11
  • 4. 연구 질문 20
  • 5. 연구 방법 및 절차 20
  • 6. 연구 제한 범위 21
  • 7. 용어 정의 21
  • Ⅱ. 이론적 배경 26
  • 1. 문화명령 26
  • 1) 문화의 개념 27
  • 2) 문화명령의 개념 28
  • 3) 문화명령과 문화선교 29
  • 4) 문화명령과 교회역할 34
  • 2. 문화명령 실행과 아브라함 카이퍼 영역주권 사상 38
  • 1) 아브라함 카이퍼 사상의 배경 39
  • 2)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 사상 이해 41
  • 3) 영역주권 사상에서의 교회의 역할론 47
  • 3. 아동의 자존감 61
  • 1) 일반적 자존감 이해 61
  • 2) 기독교적 자존감 이해 73
  • 4. 아동의 사회성 87
  • 1) 사회성의 개념 88
  • 2) 사회성 발달과 자존감의 관계 99
  • 5. 예술치료 100
  • 1) 예술치료의 이해 100
  • 2) 예술치료의 방법과 변화 105
  • 3) 예술치료의 종류 107
  • 6.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 115
  • 1) 창의력아트 테라피의 개념 115
  • 2) 창의력아트 테라피의 치유적 매체 120
  • 3)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 개발 절차 133
  • 4) 프로그램의 구성 134
  • 5) 프로그램의 내용 137
  • Ⅲ. 연구 설계 151
  • 1. 연구 대상 및 연구 설계 151
  • 2. 연구 도구 151
  • 3. 자료수집 절차 153
  • 4. 자료 분석 방법 153
  • Ⅳ. 연구 분석 및 결과 155
  • 1. 참여자들의 특성 155
  • 1) 개인 및 가정환경 특성 155
  • 2) 사전 동질성 157
  • 2.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이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160
  • 3.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이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161
  • 4.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의 만족도 165
  • Ⅴ. 논의 167
  • 1.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167
  • 1) 창의력아트 테라피와 아동의 자존감 향상과의 함의에 대한 논의 167
  • 2) 창의력아트 테라피와 아동의 사회성 증진과의 함의에 대한 논의 169
  • 3)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 내에서 작동하는 융합적 표현예술치료의
  • 다양한 방법론의 그 효과성과 유의미성에 대한 논의 173
  • 4)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의 교회 내 아동에 대한 적용 논의 179
  • 2. 목회 상담학적 논의 181
  • 1)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영역의 교회적 역할과 사명 181
  • 2)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한 다음세대 선교영역의 교회적 역할 과 사명 183
  • 3)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한 기독교 교육영역의 교회적 역할과
  • 사명 184
  • 4)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한 평신도 개발영역의 교회적 역할과
  • 사명 186
  • Ⅵ. 결론 189
  • 1. 연구 요약 189
  • 1)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과 그 고찰
  • 요약 189
  • 2)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 개발 절차와 실험, 그 결과 분석에 대한
  • 요약 198
  • 3)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요약 201
  • 4)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 개발로 인한 목회 상담적 논의 요약 203
  • 2.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206
  • 1) 표현예술치료에 대한 개혁주의적 고찰과 연구의 필요성 206
  • 2) 전 세대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제언 207
  • 3) 문화예술 전문사역자(문화예술치유사) 양성에 대한 연구 207
  • 4)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교회적용 및 사례연구 208
  • 참고문헌 209
  • 부록 226
  • 부록 1. 활동 워크지 226
  • 부록 2. 실험집단 사전 설문지 231
  • 부록 3. 실험집단 사후 추가 설문지 236
  • Abstract 237





상담챠트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335 심리학적연구
마음가다(찾아가는 마음레슨)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9 1 1600
334 기관연구
청년상담센터 위드WITH -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7 0 2048
333 기관연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평생교육원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5 0 1755
332 기관연구
기독교여성상담소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5 0 1558
331 기관연구
치유상담연구원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5 0 1711
330 심리학적연구
오은영 의원 5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8 1 3306
329 심리학적연구
이주은 부부상담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5 0 1984
328 기관연구
한국기독교가족상담협회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4 0 1739
327 기관연구
한양아이소리심리센터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4 0 1648
326 심리학적연구
한국심리학회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4 0 1756
325 ccef
Anxiety Conference Video with Ed Welch #2 (통역: 안태윤)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2 1 2545
324 기관연구
권면적 상담, 제이 아담스, Nouthetic" Counseling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9 0 2222
323 기관연구
성경적상담과 설교의 통합방안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9 0 1759
322 기관연구
KABC 성경적상담사협회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9 0 1930
321 기관연구
로뎀나무심리상담센터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8 0 1838
320 기관연구
갈릴리교회 부설라파심리상담센터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8 0 1635
319 기관연구
오륜상담센터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6 0 1819
318 기관연구
개신대학교대학원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6 0 1682
317 심리학적연구
온라인고민상담소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2 0 1677
316 기관연구
홀트 아동복지회 심리상담센터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1 0 1592
315 기관연구
인터치상담사역부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1 0 2073
314 심리학적연구
GBC미주복음방송_신앙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8 0 1729
313 심리학적연구
국제심리상담학회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8 0 1849
312 심리학적연구
코르넬리스 프롱크 팔복 1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3 0 3932
311 심리학적연구
Jesus christ story 1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3 0 3152
310 기관연구
심리상담센터 쉼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3 0 3018
309 ccef
Anxiety Conference Video with Ed Welch #1 (통역:안태윤) 3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1-24 3 3177
308 심리학적연구
기독교대한감리회 상담실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3 0 2041
307 기관연구
피스메이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2 1 1984
306 심리학적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KYCI)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1 0 1762
305 기관연구
한국카톨릭상담심리학회 6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09 0 3307
304 심리학적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KCPA)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1 0 1796
303 기관연구
WTS Proposal 프로포잘 양식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7 0 1874
302 기관연구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교수진 (2000)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7 0 1885
301 4조직유형
Heart 에 대한 이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7 0 1883
300 4조직유형
Dynamics Outline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7 1 1982
299 5관계유형
성경적 목회상담의 역사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7 1 1934
298 기관연구
WTS D.Min. 논문작성법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7 0 1956
297 기관연구
아가페심리상담센터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6 0 1999
296 기관연구
갈보리채플 이요나 목사의 성경강해 1 정회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5 0 3300
295 기관연구
홀리라이프 송인경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5 0 2009
294 기관연구
온누리교회 상담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4 0 3884
293 기관연구
성경적상담학회(BCS)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4 0 1838
292 기관연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KECS)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4 0 2884
291 기관연구
남서울교회 상담실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0 0 4369
290 기관연구
한국성경적상담학회(Korean association of Biblical Counseling) 3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0 0 4180
289 기관연구
두란노바이블 칼리지 2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0 0 3478
288 심리학적연구
한국상담학회(KCA)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09 0 3820
287 기관연구
횃불트리니티 상담센터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0 0 3860
286 기관연구
성경적상담사협회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13 0 3520
285 기관연구
네이버 검색: 성경적 상담 기독교 상담 상담센터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06 0 2916
284 [공지]
RISS 학술검색: 성경적 상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06 1 1849
283 [공지]
갓피플: 성경적상담 검색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02 0 1921
282 [공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 성경적상담 검색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30 0 1942
281 기관연구
구글 검색: 성경적 상담 기독교 상담 상담센터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24 0 2237
280 기관연구
갓피플: 성경적 상담 검색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17 0 2262
279 전통적연구
WHAT IS PASTORAL CARE WITHIN THE CHRISTIAN WHOLENESS FRAMEWO…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17 0 2414
278 전통적연구
The Dynamic Heart in Daily Life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17 0 2771
277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영문으로 보기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2-31 0 2235
276 4조직유형
영혼을 살리는 말, 영혼을 죽이는 말 요약정리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1 5393
275 ccef
When suicide comes close by Ed Welch 1 바나바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2-08 1 2592
274 통합적연구
한국인의 샤머니즘적 의식구조에 따른 목회상담 연구 1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4 4347
273 ccef
Dr David Powlison 꿈 분석에 대한 성경적 상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19 0 1755
272 ccef
2019-national-conference-schedule-and-speakers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05 1 3413
271 ccef
Trauma: Entering In (Darby Strickland) | Slides | Pre-Confer…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04 2 1489
270 ccef
CCEF Conference Bestseller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19 0 1637
269 ccef
Conference: Anxiety and the God of Peace Birmingham, AL | Oc…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15 0 1622
268 ccef
Good News for Little Heart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0-09 0 1532
267 마음근원연구
성경적 상담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기독교인 어머니의 첫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9-06 0 2541
266 ccef
Counseling Is Theological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2-04 19 3173
265 ccef
CCEF Now 2016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09 15 3289
264 전통적연구
미주 성경적 상담 자기대면 세미나(이요나)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8-29 0 2616
263 전통적연구
성경적 상담 시리즈 (정태홍)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8-29 2 3088
262 통합적연구
성경적상담과 코칭(전형준)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8-29 0 2950
261 ccef
Update from David Powlison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5-17 1 3036
260 ccef
Martha as Heroine - new blog by Ed Welch | The Danger of Bei…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5-24 0 3169
259 ccef
Weakness: The Doorway to True Strength - 2019 Westminster Co…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6-06 1 1765
258 ccef
In Loving Memory of David Powlison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6-10 1 3085
257 ccef
31-Day Counseling Devotionals [Three New Volume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5-16 1 1750
256 마음근원연구
성경적 상담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기독교인 어머니의 첫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4-30 0 2442
255 ccef
Introducing the School of Biblical Counseling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4-08 1 1529
254 ccef
How do you help those whose anxious fears have been realized…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3-29 1 1548
253 ccef
How to think about how you feel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3-20 1 1524
252 ccef
Summer Registration is Open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3-20 1 1428
251 ccef
REAL CHANGE SAMPLE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3-04 1 1465
250 ccef
Fear & Faith Conjoined by Ed Welch, Summer Intensive Save-th…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2-25 1 1413
249 ccef
Learning about Sanctification from Groundhog Day by Mike Eml…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2-18 1 1399
248 ccef
The Steady Stream of Foolish Words Said To Hurting People by…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2-07 1 1609
247 ccef
Brokenness by Julie Lowe, Failure to Thrive Marriages Podca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1-29 1 1570
246 ccef
Cares and Consolations - Blog by Mike Emlet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1-24 0 1460
245 ccef
"Love Your Bibles" by Ed Welch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1-16 0 1460
244 ccef
THE JOURNAL OF BIBLICAL COUNSELING – Vol. 32 · No. 3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17 0 1382
243 ccef
The Lord Will Be Faithful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06 1 1460
242 ccef
Next Steps: Counseling Ministrie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03 1 1383
241 ccef
Biblical Counseling 101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14 0 2922
240 ccef
Pastor: Equip Your People to Counsel Each Other by Ed Welch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15 1 3469
239 ccef
Next Steps: The School of Biblical Counseling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21 1 1507
238 ccef
Fifty Years and Counting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08 1 1474
237 ccef
Why the School of Biblical Counseling?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30 1 1312
236 ccef
Good News for Little Heart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10 1 1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