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적연구]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 (TA심리학에 근거한)

(이자료는 조선일보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성경적 상담의 대화법과 일반 심리학의 대화법이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주기 위한 참고자료입니다 성경적상담과는 다른 것이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


대화의 기술을 익히면, 부부 행복이 보인다!

하 루에 몇 시간씩 통화하고, 서로에게 편지를 써도 차고 넘쳤던 말들이,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삶에 치여 살다 보니 하루에 몇 마디 나누는 일조차 고단해진다. 할 말이 없어진 우리 부부, 무슨 말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고민하는 이들을 위해 부부대화 기술을 제시한다.


심각한 갈등을 겪는 부부들의 대화 특징

1. 문제의 본질을 벗어난 이야기를 한다.
2. 사소한 말 한마디가 싸움으로 확대된다.
3. 상호 불편과 불만을 많이 이야기하고 인신공격적인 말을 자주 한다.
4. ‘항상’,‘절대로’,‘한번도’,‘전혀’  등의 단정적인 말과 비교하는 말을 잘한다.
5.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하지 않고 잘못 해석하거나 방어하는 반응을 보인다.
6. 상대방의 생각을 추측하고 마음을 읽는 경향이 있다.
7. 분노나 적대감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즉각적으로 언어나 행동으로 표현한다.
8. 상대방에 대해 열린 마음이 부족해 자기 생각으로만 대화한다.
9. 보통 싸움형, 비난형 대화가 많고, 관계가 단절된 경우는 침묵형, 차단형 대화가 많다.
10. 부부간의 대화 주제가 극히 한정되어 있고, 배우자보다는 다른 사람과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눈다.


“왜 우리는 매일 싸우기만 할까?”

부부간의 대화 실태  조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남편들은 아내의 이야기를 차분하게 들어주지 못하고, 대화를 지배하고, 상대방의 주제를 바꾸는 경향이 있다. 반면 아내들은 남편에게 많은 이야기를 하고 싶어하고, 남편이 잘 챙겨주기를 원한다. 아내들의 말하기 능력 부족과 남편의 듣기 능력 부족 때문에 부부 대화는 쌍방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이다.

인천에 사는 김명숙(가명·30) 씨 부부는 아이를 낳고는 각방을 쓰기 시작했다. 아이가 밤에도 몇 번씩 깨곤 했고, 남편은 다음날 아침 출근을 위해 숙면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남편이 퇴근을 하면 하루 종일 아이 때문에 지친 그녀는 이내 곯아떨어져 있었고, 남편은 TV를 벗 삼아 하루를 마무리하는 일상이 반복되었다.

둘째 아이가 태어났을 때는 상황이 더 나빠졌다. 두 아이와 하루 종일 씨름하느라 지친 그녀와, 또 직장에서 시달리느라 피곤한 남편은 대화를 시작하면 곧 싸움이 되었고, 그래서 더 이상 서로 대화를 하기 힘들어졌다. 간혹 남편이 잘해보려고 대화를 시작해도 그녀는 뾰족하게 날이 선 대답만을 들려주었다.

이 부부는 5년 전, 열렬히 사랑해서 결혼했고, 주변 사람들에게 잘 어울리는 커플로 부러움을 샀던 이들이다.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또 이러한 상황에서 대화를 하려면 무슨 말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문제 있는 부부의 대화 유형

상대방의 말을 잘 듣지 못하고, 의도를 지레짐작해서 간섭하고 중단시키는 경우 아내_ “오늘 친구를 만나고 왔거든. 친구들은 나 같지 않고 더 예뻐졌더라.”

남편_ “무슨 얘기를 하고 싶어서 그래? 친구들은 돈 많이 벌어다 주는 남편 만나서 호의호식한다는 얘기를 하고 싶은 거로군. 내가 그래서 친구들 만나봐야 좋은 것 없다고 했잖아. 친구들 만나고 와서 좋은 얘기하는 것 한번도 못 봤어.”

아내_“왜 친구 얘기만 하면 발끈해서 말을 막지? 당신 콤플렉스 있는 거 알아?”

남편_ “말 다했어? 잘한다, 집이나 비우고 돌아다니면서. 잘사는 친구들 만나니 내가 벌어오는 돈은 돈 같지도 않아?”

아내_“얘기를 시작한 내가 잘못이지….”


자신의 감정표현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

아내_“당신 요즘 왜 그래? 매일 술 먹고 늦게 와서 자고, 아침도 못 먹고 출근하고. 애들이 아빠 얼굴 잊어버리겠어. 이게 사는 거야?”

남편_ “나도 이러고 싶어서 그래? 식구들 벌어먹여야 하니까 사업상 술도 먹고 늦게 오고  하는 거지. 그걸 가지고 바가지 긁으면 어떻게 해? 집에서 잘해줘야 일찍 들어오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아내_“내가 당신에게 못 해준 게 뭐가 있어? 사람이 집에 붙어 있어야 잘해주든, 못해주든 하지. 내가 무슨 말만 하면 내 잘못으로 몰아붙이고 긁는다고 하니 말을 해야 소용이 없지.”

남편_ “그러니까 가만히 있어.”

아내_ “알았어. 내가 말을 거나 봐라.”


상대방의 말을 잘 듣고 잘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

아내_“회사 일이 너무 힘들어. 매일 부장에 치이고. 정말 못살겠어. 그만둘까?”

남편_“요 즘 여자들은 말이야. 너무 쉽게 일하려고 하는지 조금만 힘들어도 엄살을 부려. 우리 회사에서도 주말에 나오라고 하면, 남자들은 다 가만히 있는데 여자들은 투덜대거든. 당신도 자신만 힘들다는 생각 좀 버려. 나도 얼마나 힘든지 알아?”

아내_“말을 하는 내가 미쳤지. 당신이 나를 위로해줄 거라 생각했으니.”


서로의 입장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경우

아내_“어머니는 왜 나만 보면 입을 삐죽하시지? 내가 밤낮으로 밥이다 간식이다 해다 날랐는데, 뭐 때문에 또 그러시는 건지.”

남편_“노인은 아기라고 하잖아. 비위만 맞춰드리면 금세 풀리실 텐데, 그거 하나 못하나?”

아내_“내가 얼마나 힘이 드는 줄 알아? 동네 사람들한테 물어봐. 내가 어머니한테 어떻게 했는지. 당신은 당신 어머니니까 그렇게 말하는 거지. 어머니가 얼마나 기분 맞춰드리기 힘든 사람인 줄 알아?”

남편_“우리 어머니가 어떻다고 그래? 청춘을 우리 네 형제 벌어먹이시느라 제대로 입지도 먹지도 못하셨는데, 이제라도 우리가 잘해드려야지. 그거 하나 못하나? 집에 있으면서.”

아내_ “그럼 어머니랑 둘이 알콩달콩 살면 되겠네.”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


말하기 기술  서로 잘 해보려고 해도 자꾸 어긋나는 대화. 처음 의도는 그렇지 않았는데, 대화를 하다 보면 점점 감정이 상해간다. 가장 중요한 건 상대방에 대한 존중의 마음이며, 같은 내용이라도 어떻게 말해야 상대방이 좋게 받아들일 수 있을지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여기에 말하는 기술이 더해진다면, 완벽한 대화가 성립되는 것이다.

자신이 주인이 되어 말하기

부 부는 서로간의 기대와 요구가 높기 때문에 상대방이 나와 의견이나 가치관이 다를 때는 비난하고 지적하는 말을 하기 쉽다. 부부들은 자신이 한 일이나 행동보다는 상대방의 행동이나 말하는 것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당신은…’이라는 말로 대화를 시작하기 쉽고 상대방이 변화하고 고쳐주었으면 하는 기대로 대화를 이어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당신은 신용이 없어” “당신은 내가 한심하게 보이지?” 등이다. 이런 말하기 방식은 말하는 사람의 명확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하게 만든다. 반대로 ‘나는…’으로 시작되는 말하기는 속마음을 정확하게 말하기 때문에 상대로부터 오해나 역효과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주체가 ‘당신’에서 ‘나’로 바뀐 경우

“당신은 나를 사랑하지 않는 것 같아.”
→“전보다 나에게 말도 잘 안 하고, 늦게 들어오는 일이 잦으니, 나는 당신이 나에 대한 애정이 식었다는 생각이 드네.”

“당신이 언제 시부모에 대해 관심을 가진 적이 있어?”
→“당신이 부모님에게 전화도 잘 안 하고, 내가 시댁에 가자고 하면 정말 싫은 표정을 지으니, 나는 당신이 시부모에게 너무 무성의한 것 같은 기분이 들어.”

“당신이 어떻게 그렇게 말할 수 있어?”
→“그렇게 말하니 당신이 나를 이해해주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어서 너무 서운하다. 당신은 내 사정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잖아.”


감각 정보 말하기

자 신이 경험한 구체적인 사실을 말하는 것이다. 자신의 생각과 감정의 구체적인 근거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정확하고 분명한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만일 구체적인 사실을 말하지 않고 자신의 소망이나 감정을 말하게 되면 상대방이 모호하게 받아들이면서 오해가 생기기 쉽다. 다음 괄호 친 부분이 바로 감각 정보 말하기이다. 이 부분을 뺀다고 생각하면, 감각 정보 말하기가 왜 중요한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신문을 보니 오늘 주식 값이 30포인트나 떨어졌네.) 주식 투자하지 말아요.”
“(큰애 성적이 많이 떨어졌어.) 당신 집에서 텔레비전만 보지 말고 큰애 공부에 좀 신경 써.”
“(지난달 혼자 친정 갔었잖아. 엄마가 당신 바쁘냐고 하더라고.) 친정에 전화 좀 해.”
“(당신 요새 눈에 띄게 피곤해 하네.) 담배 좀 끊어.”


생각 표현하기

자 신이 믿고, 해석하고, 기대하는 등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난 그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해” “내가 보기에 가능할 것 같아” “당신이 요즘 바빠서 집안일을 잘 도와주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이것보다 저것이 더 실용적이고 가격도 저렴하다고 생각하는데?” 등의 표현이 있다.


감정 표현하기 

자 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서는 드러내놓고 말하기보다는 돌려 말하는 버릇이 있어서 상대방이 무슨 이야기인지 잘 모르게 할 때가 많다. 그러는 중 오해와 불만이 쌓여 정상적인 대화가 힘들게 된다. 그러므로 자신의 감정을 말할 때는 자신의 감정을 잘 인식해 절제 있고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좋다. 흔히 생각과 느낌이라는 말을 혼동해서 사용하는데, 이를 잘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망 말하기

자 신이 되고 싶고, 하고 싶고, 갖고 싶은 것 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소망을 이야기할 때는 반드시 ‘누구를 위한 소망인지’ 명확하게 해야 오해를 막을 수 있다. 대부분의 부부들은 상대방이 나의 소망을 알아서 해결해주길 바란다. 그러나 이것은 명확하지 않고 짐작해서 행동하는 것이므로 결과도 좋지 않을 수 있다. 그러니 명확하게 자신의 소망을 이야기하는 것이 서로를 위해 좋다.

나를 위한 소망 - 자신
“오늘 하루 종일 이불 빨래를 해서 몸이 피곤하니 쉬고 싶어.”
“내 생일에 프리지어를 선물받았으면 좋겠어.”

다른 사람을 위한 소망 - 배우자
“난 당신이 건강을 위해 운동을 시작했으면 좋겠어.”
“아이들과도 잘 통하는 친구 같은 아빠가 되었으면 좋겠어.”
“조금씩 담배를 줄여서 더 건강해졌으면 좋겠어.”

우리를 위한 소망 - 관계
“우리가 연애시절처럼 서로를 많이 생각했으면 좋겠어.”
“나는 전보다 우리가 자주 대화했으면 좋겠어.”


자신의 행동 말하기

자신의 과거나 현재, 미래 행동에 대해 말함으로써 상대방을 이해시키는 방법이다. 이 중 미래 행동은 소망보다는 결심과 행동의 적극적인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나는 당신에게 잔소리를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중인데.” - 현재 행동
“내가 원래 깜빡깜빡하는 버릇이 있거든.”- 과거·현재 행동
“아침마다 아침을 챙겨주겠어.” - 미래 행동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


들어주기 기술  말하기 기술 이상으로 들어주기는 매우 중요하다. 상대방의 고민이나 생각, 소망, 느낌 등을 들어주고 반응하는 것만 해도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 이상의 도움을 주는 것이다.

주의 기울이기 

충 분히 마음을 열고 상대방의 말을 귀담아듣는 것. 우선 상대방과 눈을 맞추고, 몸도 약간 그쪽으로 향하게 하고,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를 끄고, 휴대폰에 대해서도 관심을 놓는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끝까지 들어주며 그 사람의 입장에서 상황을 이해한다. 중간에 끼어들지 않는 것이 키포인트!


상대방의 경험 인정해주기

간 단하다. 고개를 끄덕거리거나 “그랬구나!” “아, 그래?” “아~하!” “충분히 그럴 수 있지” “당신 마음 이해해” 등으로 맞장구를 쳐주는 것이다. 또한 “당신 정말 화났겠다” “걱정 많이 했겠다” 등 상대방의 감정을 언급해주는 것도 좋다. 그러나 “또 그 소리야?” “그럴 줄 알았어” 등은 좋지 못한 맞장구니 피하도록.


정보 요청하기 

상 대방이 이야기를 중단할 때 좀더 듣고 싶은 내용이 있을 경우 사용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말해줄래?” “더 듣고 싶은데 계속해” 등으로 부드럽게 말을 유도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대방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잠시 말을 중단하고 듣는 사람을 살펴본다. 그리고 상대방이 들을 마음이 있다고 생각되면 이야기를 이어나가는 것이다. 상대방의 이야기에 타이밍에 맞는 적적할 반응을 보여 이야기를 유도하도록 한다.


요점 요약하기 

상 대방의 이야기를 내가 이해한 방식으로 요약해 전달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요점을 전달하면 상대방이 자신의 이야기를 얼마나 잘 듣고 있었는지 알게 되기 때문에 더욱 적극적인 대화가 된다. 특히 복잡하고 미묘한 주제일수록 이러한 과정이 꼭 필요하다. 예를 든다면, “그렇다면, 당신 말은 내가 약속을 지키지 않아서 실망되고, 화가 났고, 원하는 것은 내가 앞으로 지킬 수 있는 것만 약속하란 말이지? 내가 이해한 것이 맞나?”라고 하는 것이다.


질문하기 

상 대방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의문이 생기거나 내용을 더 보충하기를 원하거나 이해가 잘 안 될 경우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당신 부장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기운이 없어 보이는데, 혹시 부장과 무슨 문제라도?” “어머니 이야기를 하면 눈이 흐려지는데, 어머니 생각만 하면 가슴이 아픈가 봐” “그럼 이 사태를 어떻게 해결하고 싶어?” 등이다. 질문을 할 때는 ‘예’나 ‘아니요’로 답하는 질문은 피하자. 특히 ‘왜’로 시작하는 질문은 상대방에게 비난하는 의미로 전달되기 쉽기 때문에 잘 돌려서 좋게 이야기하는 것이 좋다.


Do Not!
남편과 관계를 악화시키는 법

* 서로 피하는 화제를 갑자기 꺼낸다.
“당신 월급은 언제쯤 올라?”

* 다른 사람과 비교한다.
“옆집 남자는 승진했다는데.”

* 상대방의 자신 없는 용모를 이야기한다.
“당신 머리 때문에 10년은 늙어 보여.”

* 내가 잘났다고 주장한다.
“우리 집안은 양반인데, 당신 집안은 뭐지?”

* 상대방의 집안 식구들 흉을 본다.
“당신네 식구들은 왜 그 모양이지?”

* 자존심을 건드린다.
“그것도 못하고 쩔쩔매니…. 이리 내.”

* 상대방을 무시한다.
“내 그럴 줄 알았지.”


Do!
부부간에 자주 하면 좋은 말

사랑해요. 고마워요. 잘했어요. 당신밖에 없어요. 도와드릴게요.
잘될 거예요. 믿음직스러워요.
당신 곁에는 항상 제가 있을 거예요. 어려울 때 말씀하세요. 제가 도울게요.
이해하세요. 그 사람들이 몰라서 그래요. 속상해하지 말아요. 제가 알잖아요.
-유쾌한 부부 심리학 중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78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목회상담을 활용한 교회성장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3 1590
177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질병인가? 죄인가? -성경적 관점에서 본 "중독" (Addiction)에 관한 소고-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3 1699
176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노인의 성(性)과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1892
175 통합적연구
우울증 치료를 위한 목회상담적 접근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1755
174 통합적연구
전인치유를 위한 내적치유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1689
173 통합적연구
특집 : 청소년 상담목회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1560
172 통합적연구
특집「자살」 : 자살의 상담학적 이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1600
171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목회현장에서의 성 문제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1559
170 통합적연구
목회상담과 목회분석에 대한 개혁주의적 조망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1712
169 통합적연구
설교의 상담적 기능과 실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3 1940
168 통합적연구
상담설교의 원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3 1729
167 통합적연구
상담자-피상담자의 정체성이 상담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2 1955
166 통합적연구
상담설교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1631
165 통합적연구
특집 : 어린이 상담목회 -전화상담을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1622
164 통합적연구
특집 : 목사와 상담목회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1594
163 통합적연구
우리 시대의 성경적 상담운동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1527
162 통합적연구
전인치유와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1 1661
161 통합적연구
특집 : 한국교회가정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분석과 접근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2 1768
160 통합적연구
권두언 :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2 1595
159 통합적연구
자기존중감(self-esteem) 이론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3 1720
158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가정해체의 요인으로서의 이혼에 대한 상담학적 접근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2 1815
157 통합적연구
주제강연 : 상담목회를 위한 도전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2 1688
156 통합적연구
가족목회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1 1666
155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상담에서의 성경 사용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0 1725
154 전통적연구
연구논문 : 다문화 가정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1 1332
153 전통적연구
성화와 성령의 열매의 목회상담학적 의미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0 1441
152 통합적연구
상담과정에서의 죄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0 1824
151 통합적연구
목회상담의 협력자로서의 상담역할에 대한 사모의 인식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1 1664
150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청년의 자존감이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염광교회를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0 1815
149 f통찰해석
하나님의 눈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04 3 1772
148 혁신적연구
소원샘북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29 0 1334
147 심리학적연구
NLP란 무엇인가? 2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19 4 3959
146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유튜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2 1 1166
145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인스타그램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2 1 1292
144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트위터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2 0 1154
143 혁신적연구
성경적 상담을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07 11 2233
142 통합적연구
When You Shouldn’t Do What You Want to Do: Young Children’s …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20 5 2979
141 혁신적연구
Speaking Redemptively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5 1943
140 전통적연구
Resolving Conflict Christ’s Way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2 1800
139 혁신적연구
Understanding the Influences on the Human Hear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5 1700
138 혁신적연구
Motives: Why Do I Do the Things I Do?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7 1640
137 혁신적연구
Listening to Prozac . . . and to the Scriptures: A Primer on…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9 2134
136 혁신적연구
Keeping Destiny in View: Helping Counselees View Life from 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12 1781
135 혁신적연구
Idols of the Heart and “Vanity Fair”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7 1767
134 혁신적연구
Getting to the Heart of Conflict: Anger, Part 3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9 1737
133 전통적연구
God’s Glory is the Goal of Biblical Counseling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8 2001
132 혁신적연구
Anger Part 2: Three Lies About Anger and the Transforming…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6 1871
131 혁신적연구
Anger Part 1: Understanding Anger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6 1694
130 혁신적연구
Affirmations & Denials: A Proposed Definition of Biblical Co…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6 1799
129 혁신적연구
Addictions: New Waysof Seeing, New Ways ofWalking Free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2 1642
128 심리학적연구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신경안정제와 정신과 약물의 A-Z -항불안제 및 항우울제를 중심으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12 5942
127 [공지]
구글 학술검색: 성경적 상담 검색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3 11 3254
126 혁신적연구
Addictions: New Waysof Seeing, New Ways of Walking Free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30 9 1641
125 혁신적연구
The Sufficiency of Scripture to Diagnose and Cure Souls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30 4 1733
124 혁신적연구
Understanding the Influences on the Human Heart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30 9 1579
123 통합적연구
특집 : 정정숙 교수의 기독교상담학 이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7 2325
122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청소년의 학업성취도가 열등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담학적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2513
121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과거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1 1888
120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현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7 2006
119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V.Satir의 의사소통 이론과 상담심방 적용 가능성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2160
118 통합적연구
부모교육과 기독교상담 관점에서 본어머니의 양육불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4 1969
117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의 적용-우울증, 그 원인과 교회의 역할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4 2115
116 통합적연구
기독교 심리학과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3 2162
115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 관점에서 본 이야기치료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1999
114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방과 후 학교교육의 성경적 상담 적용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5 1985
113 통합적연구
이혼가족의 성인초기 자녀에 대한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8 2062
112 통합적연구
청년기의 자살생각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접근 -기독대학생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2166
111 통합적연구
특집 : 한국 부모부양의 세대갈등에 따른 성경적 노인이해와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1 2032
110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중년위기 부부의 갈등과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8 2175
109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미래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5 2364
108 통합적연구
인터넷 게임 중독 아동을 돕기 위한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3 2022
107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에 대한 성경적 상담 -청년기 정신 건강을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4 2105
106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의 인간관 -상담이론별 인간의 책임 영역 비교-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2150
105 통합적연구
피학대 아동을 위한 성경적 상담(성경적 레질리언스를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2 2052
104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미혼모를 위한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2 1999
103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을 통한 기독 중년 여성들의 우울증 회복과정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2 2232
102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완벽주의와 우울에 관한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1 1814
101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다문화사회에서의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6 1964
100 통합적연구
특집 :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6 1802
99 통합적연구
노화 불안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0 10 1895
98 [공지]
구글 학술검색: "westminster biblical counseling ccef"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04 9 2230
97 [공지]
국회전자도서관: 성경적 상담 검색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01 9 2737
96 기관연구
논문 프로포잘 작성방법에 관한 조언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7 9 4055
95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구글플러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18 1 1090
94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페이스북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04 1 1109
93 기관연구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SBTS) D.Min 과정안내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3 3774
92 기관연구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SBTS) 성경적 상담학 과정안…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3489
91 심리학적연구
교류분석(박용민) 안내장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2745
90 심리학적연구
찬양사역자 마이클 W 스미스의 '표적(sign)' 1장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252
89 심리학적연구
‘레노바레 영성주제 성경(The Renovare Spiritual Formation Bible)’ 서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373
88 심리학적연구
다음팁: 가정문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227
87 심리학적연구
다음팁: 정신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187
86 심리학적연구
네이버 상담: 성인고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209
85 심리학적연구
네이버 상담: 정신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2 1175
84 혁신적연구
Paul Tripp Sermon (번역)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136
83 혁신적연구
Paul Tripp Ministry (번역)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174
82 기관연구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미디어 센터 (번역)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102
81 기관연구
SBTS 성경적 상담학(BIBLICAL COUNSELING) D.Min. 프로그램 안내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3 2679
80 4조직유형
성경적 상담이란 무엇인가? by 김순성교수(고신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4 2885
79 심리학적연구
교류분석(TA) 지도자 과정 1단계 by 박용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4 2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