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학 도서 상담학 논문 상담학 설교

[전통적연구] 상담론



상담론   어떻게 성경적으로 상담할 것인가
존 맥아더 목회자 라이브러리 시리즈 03
무료배송 상품입니다.소득공제도서정가제 
i_view.png 3,173   i_link.png 2   
 
facebook.svgtwitter.svgkakaostory.svgnaverband.svg퍼가기
  share_icon01.gif
 
m_9788960921801.jpg?rd=1625818352
크게 보기
저자/역자 : 존 맥아더,웨인 맥/안경승  |  출판사 : 부흥과개혁사
발행일 : 2010-11-25  |  (155*225)mm 495p  |  978-89-6092-180-

 

 

 

 

 

 

 

 

 

 

 

 

 

 

wdbs_book_3.gif
[머리말]
이 책은 사람들, 그들의 문제, 살아 계신 하나님을 아우르는 성경적 진리의 체계를 제시하기 위해 쓰였다.
『상담론』은 (1) 하나님의 말씀이 상담의 권위가 되어야만 한다. (2) 상담은 지역 교회의 기본적 제자 삼는 사역의 한 부분이어야 한다. (3) 하나님의 백성은 효과적으로 상담하도록 훈련받을 수 있고 그래야만 한다는 확신에서 기초한다.

『상담론』은 목사, 장로, 평신도 즉, 하나님의 모든 백성을 위해 쓰였다. 우리는 이 책이 기독교 대학교와 신학교 수준의 목회학 또는 성경적 상담 과목에 활용 가능한 교과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상당한 훈련과 경험을 한 숙련된 목회자들과 신학교 또는 충분한 실제적 경험이 없는 목회자들이 이 책을 통해 유익을 얻을 수 있다. 그리스도와 그 분의 백성을 섬기는 데 필요한 기술을 익히기 원하는 신실한 평신도 역시 이 책에서 유용하고, 실제적이고 도전이 되는 통찰력을 많이 발견할 것이다.우리는 이 책을 발간하면서 인본주의적이거나 세속적인 것보다는 좀 더 명확하게 성경적인, 반응적 또는 논박적이기보다는 근본적으로 미리 대책을 제시하는 관점에서, 이론적이고 추상적이기보다는 실제적인, 기술적 또는 복잡하기보다는 쉽게 이해되는 내용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했다. 우리는 독자들이 영적이고 사역적으로 성장하게끔 활기를 불어넣고, 격려하고, 가르치고, 확증하고, 확장하고, 증진하기 위해 기술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열한 가지 목적을 가지고 이 책을 썼다.

1. 인생의 모든 주제를 다루는 데 성경의 충분성, 우월성, 실제성에 대한 하나님 백성의 확신을 넓히고 강화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가 가진 자원과 그분의 말씀이 인생의 모든 개인적 그리고 상호 관계 문제를 처리하고 풀어 가는 데 충분할 뿐만 아니라, 세상에 있는 어떤 자원들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기독교인들이 확신하게 하기. 다시 말해 “성경은 상담 사역에서 시행하도록 제공하는 것 이상의 것을 필요로 하는가? 성경은 상담에 대해 무엇이라 말하는가? 상담에서 성경을 활용하는 성경적 기초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2. 기독교인이 상담과 관련된 모든 주제에 대해 성경적으로 생각하도록 격려하기. 다시 말해 “성경적으로 생각한다는 의미가 무엇이고, 어떻게 성경적인 사고방식 또는 지속적으로 성경적 세계관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답하기.1)

3. 기독교인이 성경의 렌즈를 통해 사람과 그들의 문제를 이해하도록 돕기. 다시 말해 “성경은 사람이 누구고 어떤 이들이며 왜 문제들을 안고 있는지에 대해 무엇이라 말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4. 성경적 상담이 우리의 신학적 확신들과 어떻게 일치하는지를 드러내기. 다시 말해 “우리가 믿는 것이 우리의 상담 사역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관련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5. 문제들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상담하는 성경적 지침을 제공하기. 다시 말해 “우리는 어떻게 성경적 상담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6. 기독교인이 좀 더 상담 사역에 관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그 분야에서 좀 더 유능하도록 준비시키기. 다시 말해 “나는 왜 성경적 상담에 참여해야 하는가 그리고 나는 어떻게 좀 더 유능한 상담자가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7. 기독교인이 성경적이라고 주장하는 상담과 실제로 성경적인 상담과의 차이를 분별하는 구체적인 성경적 원리를 제공하기. 다시 말해 “성경적 상담의 독특성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8. 해석상으로 정확하고 상당히 실제적인 성경에 대한 접근을 촉진하기. 다시 말해 “성경을 연구하고 상호작용하려는 우리의 자세는 어떠해야만 하는가? 우리는 성경을 어떻게 연구하고 적용해야만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9. 상담 사역에 대한 역사적 관점을 제안하기.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세속적인 심리학이 교회에 어떻게 스며들고 영향을 주었는지 논의하기. 그리고 어떻게 성경적 상담 운동이 발전했는지를 설명하기. 다시 말해 “성경적 상담의 기여자와 전문가들은 누구였는가? 20세기에 교회가 어떻게 세속적 심리학의 통찰에 넘어가게 되었는가? 진정한 성경적 상담에 대한 강조점과 중요성이 어떻게 회복되었는가? 그러한 운동에서 어떤 진전이 있어왔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10. 교회가 상담을 행하는 하나님이 주신 책임을 수용하도록 격려하고 상담 사역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기. 다시 말해 “상담은 교회 사역에서 어느 부분에 적절한가? 상담에는 누가 관여해야 하는가? 교회가 어떻게 성경적 상담 사역을 발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11. 성경적 상담에 반하여 제기되는 일부 반론에 대해 답하고 성경적 상담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명료화하기. 다시 말해 “성경은 우리가 사람들의 문제를 다루는 데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너무 단순화한 것은 아닌가? 성경은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상담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할 수 있는가? 일부 사람은 그들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많은 심리학적 훈련을 한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이 책은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성경적 상담에 대한 역사적 관점에 초점을 맞춘 1부는 책을 위한 기조를 세우고 일단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2부는 성경적 상담의 토대로 기능하는 핵심 신학적 입장을 제시한다. 3부는 성경적 상담의 실제적 적용에 초점을 모은다. 4부는 성경적 상담을 지역 교회에서 다른 사역들의 정황에 놓는다. 인물 색인이 책 말미에 있다.

매스터스(Master’s) 대학교에서 그리스도를 섬기고 이 책의 저술에 함께 한 우리는 『상담론』이라는 책을, 그리스도를 높이고 그분의 영광을 위해 올려 드리고, 우리 하나님이 사랑하시고 자신까지 내어 주신 그분의 백성의 유익을 위해 이 책을 사용하시기를 기도한다. 우리는 하나님이 그리스도의 몸을 세워 가는 실제적인 사역을 위해 목회자와 평신도를 준비시키는 데 이 책을 사용하시기를 기도한다.하나님이 우리가 성도를 준비시키고 치유하는 데 좀 더 능숙해지도록 이 책에서 제시하는 개념과 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기뻐하시기를 소원하고 그래서 그분이 마땅히 받으셔야 하는 찬송과 영광을 받으시기를 소원한다.
- 존 맥아더,웨인 맥

[글을 열며]
1993년 11월 「타임」지는 현대 심리학의 혼란에 대한 일련의 글을 실었다. 이 잡지의 표지는 프로이트의 수정 처리된 사진(그의 머리 부분이 텅 비었고 불완전했으며 삼차원적으로 깎인 퍼즐 형식)과 함께 표제는 “프로이트가 죽었는가?”였다.한 기사는 이렇게 질문한다. “만약 프로이트가 틀렸다면 어떻게 될까?” 20세기는 이미 마르크스주의의 급작스러운 붕괴를 경험했다는 것을 지적하면, 기사는 우리가 동일하게 “복합적인 프로이트 기념탑”1)의 극적인 와해에 증인이 될 수도 있다고 제시한다. 복음주의자는 한때 그러한 소식에 매우 기뻐했다.
그러나 슬프게도 우리는 이상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역설적으로 세속 세상은 점차적으로 전문적인 심리치료업계에 대한 불만이 쌓여 가는 반면에, 복음주의에서는 필사적으로 세속적 심리학과 성경적 진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상은 점점 더 심리학에 대해서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는 반면에, 기독교인은 점점 더 심리학에 전념하는 것처럼 보인다. 아마도 교회 내에 많은 이들이 심리치료에 중독되어 있다고 말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교회 내에 심리학을 품으려는 거센 움직임은 솔직히 불가해한 사실이다. 심리학과 기독교는 그 시작부터 적대적이었다. 프로이트의 전제는 무신론이었고 냉소적이었다. 그는 종교를 “우주적인, 강박적 신경증”2)이라고 말했다. 그에게 종교는 인간의 본능에 뿌리를 두고 있는 비이성적인 희망에 근거한 생각에서 그 능력이 획득되는 일종의 환상이었다.3) 초기에 프로이트를 따랐던 사람들은 전형적으로 성경적 신앙에 대해서 적대적이었다. 그러므로 이 운동의 근본적인 원리는 노골적으로 반기독교적 전제에 기초하고 있다.

프로이트와 그의 추종자들에게 인간은 성적 욕구와 다른 자아의 필요에 의해서 동기화 되는 동물에 불과하다.교회는 당연히 이러한 사상에 대해서 경계했고 그렇게 하는 것은 정당했다. 프로이트주의는 다윈설과 마르크스주의와 함께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인기를 모은 심각한 무신론적 가설 중 하나다. 그러나 그때 당신의 교회 최대의 전장은 또 다른 교활한 적인, 성경의 권위와 초자연성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했던 신학적 자유주의와의 싸움이었다.
이것은 사회의 급속한 세속화를 부추기는 또 다른 교리였다.자칭 기독교인들 중에서 신학적 자유주의자만이 무신론적 심리학자 가운데서 협력자를 발견했다. 칼 융은 종교에 대한 많은 글을 남겼다. 근대 실용주의의 발안자인 윌리엄 제임스 역시 신학적 용어를 분별 없이 인용한 인본주의적 신조로 행동주의 이론과 종교를 뒤섞어 놓았다. 그러나 이러한 사람들은 결코 기독교인이 아니다. 그들은 완전히 초자연주의를 거부했고, 성경의 권위를 반대했으며, 역사적인 기독교 신앙의 핵심적 교의(敎義) 대부분을 버렸다. 그러므로 심리학은 전형적으로 점차 세속화하는 시대에 적합했다.
이 세기의 중반에 이르면서, 비록 이 운동이 수십의 경쟁적 학교와 철학 체계 속에서 단편적으로 이미 시작되었고, 비록 그 가설이 테스트되지도 않았고 또한 그 결과가 진정한 과학의 전통적 방법을 통해서 증명되지도 않았지만, 새로운 분야가 자격이 충분한 과학으로 대중의 마음에 수용되었다. 어떤 것도 절대적 진리에 대한 개념을 점점 적대시하는 시대에서 심리학의 수용을 늦출 수는 없었다.수십 년 내에, 정신요법 산업과 복음주의는 다소간의 보호 장치를 하고 공존하기 시작했다. 기독교인은 진정한 과학으로 여기는 정신요법에 대한 세상의 압도적 수용으로 위협을 받은 것처럼 보인다.

정신치료사는 그들이 전통적인 영적 상담이 지금까지 제시해 온 것보다 고등한 지식과 좀 더 효과적인 치료법에 간여한 것으로 믿었다. 정신치료사는 영적 상담자와 성직자는 자신들의 영역에서 물러나야만 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말했다.1950년대에 저술된 목회 심리학에 대한 한 교과서는 목회 상담에 대한 전문 치료사들의 태도를 요약했다.정신병 의사의 역할을 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고 가능한 한 빨리 전문가에게 병자를 의뢰해야만 하는 것이 [목회자의] 의무다. 대개의 경우 그는 청원자가 나타내는 증상과 관련한 정신병 의사의 판단을 신뢰해야만 한다. 더 나아가, 그런 경우에 성직자는 정신병 의사가 종교인이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의사가 자신을 조력자로 여기는 경우에는 그의 지시에 따라야만 한다. 심리치료와 종교적 치료는 오랜 시간에 걸친 지속적이고 끈기 있는 치료가 필요하고 성직자는 이런 것을 할 시간을 거의 마련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그는 교회 또는 회당의 스텝 구성원으로 전문가를 확보하고, 그에게 사례를 의뢰할 수 있다. 또는 그런 전문가가 기관 스텝의 일원이 아닐 경우에는, 필요한 시기에 성직자의 친구와 조언자가 될 수 있다. 이런 것은 모두 시간과 비용이 지출되고, 성직자는 자유롭게 자신의 시간을 기꺼이 쓸 수 있는 반면에, 전문 정신병 의사는 그의 시간을 비용단위로 계산해야만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종종 곤경에 처한 사람이 정신병 의사의 처방이 성공적이지 못할 때 성직자를 찾아오지만, 기민한 목회자는 그들을 즉각적으로 정신병 의사에게 돌려보낸다.
자주 성직자와 정신병 의사는 한때는 성직자에게서, 또 다른 순간에는 정신병 의사에게서 안내를 받는 회중의 경우에 특별히 서로 협력하여 일할 수 있다. 남편과 아내가 이러한 기술의 결과로 화해하게 된다. 가끔은 정신병 의사가 사회적 만남의 기회가 회복을 진척시킬 것을 소망하며, 회복을 보이는 청년을 종교 기관의 청년단체의 한 일원으로 수용하도록 성직자를 추천할 것이다.
가끔은 정신병 의사가 종교적 예배의 참석, 종교적 문헌의 독서 그리고 전통적 예식이나 의식의 참여가 갖는 가치를 인정할 것이다. 그러한 모든 경우에 정신병 의사는 치료의 멘토와 관리자가 되어야만 한다.4)너무나 많은 목회자가 그러한 생각에 사로잡혔고, 과거 40년의 시간이 흘러가며, 상담은 꾸준하게 교회로부터 진료소로 옮겨 갔다. 이제 ‘기독교’ 심리학은 십억 달러의 시장이 되었다.
그러나 신앙인의 영적 그리고 정서적 상태는 이러한 추세 때문에 향상되었는가? 아무도 그렇다고 진지하게 주장하지 못할 것이다.오늘날 복음주의 영역에서 소망 있는 동향 중 하나는 성경적인 상담을 다시 한 번 새롭게 강조하는 것이다. 이는 성경적 단어나 문구로 채색한 것에 불과한 심리학이 아니라, 성경의 객관적이고 삶을 바꾸는 진리에 사람을 돌아서게 해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우려는 진지한 노력이다.결국 성경은 우리가 영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하게 신뢰성 있는 자원이 되는 것이다.

● 청년이 무엇으로 그의 행실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만 지킬 따름이니이다(시 119:9).
● 주의 증거들은 나의 즐거움이요 나의 충고자니이다(시 119:24).
● 주의 계명들이 항상 나와 함께 하므로 그것들이 나를 원수보다 지혜롭게 하나이다 내가 주의 증거들을 늘 읊조리므로 나의 명철함이 나의 모든 스승보다 나으며 주의 법도들을 지키므로 나의 명철함이 노인보다 나으니이다(시 119:98~100).
●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하게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하려 함이라(딤후 3:16~17).

수십 개의 비슷한 구절이 성경 자체가 증명하는 절대적 우월성과 완전한 충족성을 설명하는 데 인용될 수 있다.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이 이 점에 대해서 가르치는 것을 믿든가 아니면 세속적 사상에서 기인한 모든 타락한 영향력에 스스로를 개방하든가 할 수 있다. 선택은 간단하다.나는 인간 영혼을 위한 지혜와 바르게 함의 유일한 자원인 성경으로 돌아가려는 기독교인의 거대한 운동을 보면서 힘을 얻는다.
나는 하나님께서 이러한 필요성에 대해 교회를 일깨우는 데 사용하시는 남자와 여자로 인해 그분께 감사드린다.웨인 맥은 여러 해 동안 이러한 주제를 최전선에서 다루어 왔던 사람들 중 한 사람이다. 그의 지혜로운 지도력 아래서, 매스터스 대학교는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성경적 상담 프로그램을 만들어 가고 있다.
웨인 맥 박사는 이러한 사역을 완수해 가는 한편, 이 책의 원고를 모집하고 편집하는 작업을 해냈다. 기독교 상담자가 씨름하는 주제에 대한 포괄적인 교과서와 세속적 심리학의 쓰레기 더미에서의 재활용 개념이 아니라, 진정한 성경적 상담을 하고자 하는 사람을 위한 안내서에 대한 나 자신의 오래된 갈급함이 새삼 느껴진다.
나는 이 책이 현대 심리학의 주장에 의해 위협받거나 혼란스러웠던 기독교 상담자를 효과적으로 준비시키고 용기를 줄 것으로 믿는다. 또한 이미 성경적 상담에 참여한 사람들을 안내하고 도와서, 좀 더 효과적으로 사역을 하게 할 것이다.여러분이 숙달된 성경적 상담자거나 이제 막 시작한 초보자거나, 나는 여러분이 이 책을 통해 많은 도움과 격려를 받을 것으로 믿는다.
나의 기도는 이 책이 교회가 세상적 지혜에 근거한 유독하고 잘못된 상담에서 순전하고 신령한 젖인 하나님의 말씀으로 돌아가는 중요한 기폭제가 되는 것이다.
- 존 맥아더

 

wdbs_book_6.gif
머리말 ..........6
글을 열며 ......12
1부 성경적 상담의 역사적 배경
1. 성경적 상담의 재발견 -존 맥아더 ...................................21
2. 근래의 성경적 상담 -데이비드 폴리슨 ..............................49
3. 왜 심리학이 아니라 성경적 상담인가 -존 스트리트 .................73

2부 성경적 상담의 신학적 기초
4. 성경적 상담의 하나님을 향한 초점 -더글러스 북맨 ...............107
5. 상담과 인간의 죄성 -존 맥아더 ....................................131
6. 성령의 역사와 성경적 상담 -존 맥아더 ............................159
7. 영적 훈련과 성경적 상담자 -로버트 스미스 .......................175

3부 성경적 상담의 실제
8. 피상담자와의 돕는 관계를 발전시키기 -웨인 맥 .................195
9. 피상담자에게 소망을 심어 주기 -웨인 맥 .........................219
10. 피상담자에 대한 탐색: 데이터를 모으기 -웨인 맥 ..............251
11. 피상담자의 데이터를 해석하기 -웨인 맥 ........................281
12. 성경적 상담을 통해 가르침을 제시하기 -웨인 맥 ..................309
13. 성경적 상담과 권고 -웨인 맥 .......................................335
14. 성경적 가르침을 실행하기 -웨인 맥 ...............................359

4부 성경적 상담 사역
15. 설교와 성경적 상담 -존 맥아더 ...................................383
16. 영적 은사와 성경적 상담 -존 맥아더 ..............................397
17. 성경적 상담과 지역 교회 -윌리엄 구드 ...........................415
18. 성경적 상담의 자원 -데니스 스완슨•웨인 맥 .....................431
19. 성경적 상담에 대해 자주 하는 질문 -존 맥아더•웨인 맥 편 .......451

부록 - 개인 신상 자료 양식 ......487
인명 색인 .......................494
wdbs_book_8.gif
존 맥아더(John MacArthur)
캘리포니아 주 선밸리에 있는 그레이스 커뮤니티 교회의 담임 목사이자 매스터스 신학대학 및 대학원의 총장이며 라디오 프로그램 “그레이스 투 유”(Grace to You)를 통해 매일 말씀을 전하고 있는 우리 시대의 탁월한 성경 강해자다. 저서로는 『무질서한 은사주의』, 『구원이란 무엇인가』, 『그리스도만으로 충분한 기독교』, 『값비싼 기독교』, 『양심실종』, 『우주와 인간의 시작』 (이상 부흥과개혁사) 등이 있다.
웨인 맥(Wayne A. Mack)
캘리포니아에 있는 매스터스 대학교의 성경적 상담학 교수다. 그는 휘턴 대학교, 필라델피아 신학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학위를 받았고 상담과 심리학, 신학, 교회사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훈련을 받았다. 『당신의 결혼을 강하게 하는 것』, 『효과적으로 기도하는 방법』 등 많은 저서가 있다.

 

 

 

 

 

 

 

[크게보기]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235 ccef
How Can You Help When You Can’t Talk about Jesu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06 0 1350
234 ccef
Is Reading the Bible a Chore or a Delight?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27 4 1315
233 ccef
Caring for One Another: 8 Ways to Cultivate Meaningful Relat…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11 2 1307
232 ccef
Sexual Abuse in Marriage: 12 Ways to Help Victim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25 2 1073
231 ccef
Sexual Abuse in Marriage: The Power of Confusion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14 1 1123
230 ccef
Sexual Abuse in Marriage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07 1 1189
229 통합적연구
권두언 : 우리 시대의 성격적 상담사역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2 2637
228 통합적연구
기독교 고등학교의 상담실 운영을 위한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4 2519
227 통합적연구
강박증과 기독교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3 2748
226 통합적연구
지교회에서의 상담사역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2 2420
225 통합적연구
교회 소그룹을 통한 상담사역 -D. W. Winnicott의 이론을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1 2452
224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사역의 확산을 위하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0 2228
223 통합적연구
고통받는 자들을 위한 상담 사역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1 2392
222 통합적연구
교회에서의 상담교육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1 2401
221 통합적연구
Filial Therapy 이론의 기독교적 아동상담에 관한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1 2321
220 통합적연구
일본의 역기능 가정을 위한 기독교 상담 -가정폭력을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3 2387
219 통합적연구
사람을 살리는 상담설교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31 3 2396
218 기관연구
네이버 블로그- 소원상담센터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2046
217 통합적연구
권두언 : 성경적 가정을 이루기 위하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2290
216 통합적연구
권두언 : 기본에 충실한 학문과 상담사역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2434
215 통합적연구
결혼전 상담과 가정의 위기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2498
214 통합적연구
상담설교와 커뮤니케이션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2 2337
213 통합적연구
V. Satir의 의사소통 가족치료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2 2568
212 통합적연구
특집 : 정정숙 교수의 가정 사역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2355
211 통합적연구
특집「자살」 : 자살 사례에 대한 상담적 접근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2 2491
210 전통적연구
전통종교의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상담학적 고찰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3 2144
209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목회상담을 활용한 교회성장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3 2278
208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질병인가? 죄인가? -성경적 관점에서 본 "중독" (Addiction)에 관한 소고-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3 2382
207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노인의 성(性)과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2456
206 통합적연구
우울증 치료를 위한 목회상담적 접근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2510
205 통합적연구
전인치유를 위한 내적치유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2335
204 통합적연구
특집 : 청소년 상담목회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2238
203 통합적연구
특집「자살」 : 자살의 상담학적 이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2378
202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목회현장에서의 성 문제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2326
201 통합적연구
목회상담과 목회분석에 대한 개혁주의적 조망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2360
200 통합적연구
설교의 상담적 기능과 실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3 2566
199 통합적연구
상담설교의 원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3 2413
198 통합적연구
상담자-피상담자의 정체성이 상담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2 2633
197 통합적연구
상담설교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2252
196 통합적연구
특집 : 어린이 상담목회 -전화상담을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0 2308
195 통합적연구
특집 : 목사와 상담목회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2327
194 통합적연구
우리 시대의 성경적 상담운동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7 1 2236
193 ccef
Prayer In Marriage Counseling with Aaron Sironi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8 2 1209
192 통합적연구
전인치유와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1 2496
191 통합적연구
특집 : 한국교회가정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분석과 접근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2 2552
190 통합적연구
권두언 :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2 2267
189 통합적연구
자기존중감(self-esteem) 이론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3 2485
188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가정해체의 요인으로서의 이혼에 대한 상담학적 접근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2 2458
187 통합적연구
주제강연 : 상담목회를 위한 도전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2 2365
186 통합적연구
가족목회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1 2227
185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상담에서의 성경 사용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0 2498
184 전통적연구
연구논문 : 다문화 가정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1 2132
183 전통적연구
성화와 성령의 열매의 목회상담학적 의미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0 2168
182 통합적연구
상담과정에서의 죄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0 2564
181 통합적연구
목회상담의 협력자로서의 상담역할에 대한 사모의 인식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1 2384
180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청년의 자존감이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염광교회를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3 0 2567
179 ccef
They Call it Narcissism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2 2 1248
178 ccef
JOURNAL OF BIBLICAL COUNSELING (성경적 상담 저널)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28 1 1778
177 ccef
Your desire Shall Be for Your Husband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06 2 1287
176 ccef
Parenting a Disabled child with Darby Strickland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03 3 1170
175 ccef
Children and Technology with Julie Lowe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02 3 1177
174 ccef
What do you do when scipture feels dry or lifeles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31 0 1297
173 ccef
An Open Letter to the Suffering Christian - Blog by David Po…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22 1 1321
172 ccef
Cultivating Praise in Marriage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15 1 1275
171 ccef
Loss Curriculum - New Digital Format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10 3 1264
170 ccef
Being "Right" in Relationship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01 2 1309
169 f통찰해석
하나님의 눈물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04 3 2529
168 혁신적연구
소원샘북스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1-29 0 2127
167 ccef
A Vision for the Christian Life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2-21 3 1232
166 ccef
Best of Psychology [audio]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20 2 1349
165 ccef
CCEF for Pastors with Ed Welch [audio]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20 3 1511
164 ccef
2017 National Conference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02 2 1558
163 ccef
2017 CCEF National Conference photo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6 3 1599
162 심리학적연구
NLP란 무엇인가?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19 4 5389
161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유튜브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2 1 1871
160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인스타그램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2 1 1933
159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트위터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2 0 1884
158 혁신적연구
성경적 상담을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07 11 2967
157 통합적연구
When You Shouldn’t Do What You Want to Do: Young Children’s …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20 5 4440
156 혁신적연구
Speaking Redemptively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5 2654
155 전통적연구
Resolving Conflict Christ’s Way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2 2876
154 혁신적연구
Understanding the Influences on the Human Heart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5 2503
153 혁신적연구
Motives: Why Do I Do the Things I Do?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7 2595
152 혁신적연구
Listening to Prozac . . . and to the Scriptures: A Primer on…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9 2967
151 혁신적연구
Keeping Destiny in View: Helping Counselees View Life from t…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12 2631
150 혁신적연구
Idols of the Heart and “Vanity Fair”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7 2615
149 혁신적연구
Getting to the Heart of Conflict: Anger, Part 3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9 2599
148 전통적연구
God’s Glory is the Goal of Biblical Counseling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8 2887
147 혁신적연구
Anger Part 2: Three Lies About Anger and the Transforming…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6 2642
146 혁신적연구
Anger Part 1: Understanding Anger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6 2445
145 혁신적연구
Affirmations & Denials: A Proposed Definition of Biblical Co…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6 2818
144 혁신적연구
Addictions: New Waysof Seeing, New Ways ofWalking Free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2 2389
143 심리학적연구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신경안정제와 정신과 약물의 A-Z -항불안제 및 항우울제를 중심으로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12 6903
142 [공지]
구글 학술검색: 성경적 상담 검색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3 11 3948
141 혁신적연구
Addictions: New Waysof Seeing, New Ways of Walking Free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30 9 2396
140 혁신적연구
The Sufficiency of Scripture to Diagnose and Cure Souls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30 4 2549
139 혁신적연구
Understanding the Influences on the Human Heart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30 9 2483
138 통합적연구
특집 : 정정숙 교수의 기독교상담학 이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7 3070
137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청소년의 학업성취도가 열등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담학적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3278
136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과거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1 2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