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상담학 도서 상담학 논문 상담학 설교

[6심층유형] [논문] 외상적 상실을 경험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외상적 상실을 경험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ourning Process of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who Experienced Traumatic Loss

http://www.riss.kr/link?id=T16736861

  • 8

    상세조회
  • 7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은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참사로 인해 외상적 상실을 경험한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세월호참사 피해자를 심리지원하는 기관에 근무하면서 7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애도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가족들의 애도과정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탐색하고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 목적은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애도과정에서의 변화 및 애도과정의 의미를 규명하여 향후 외상적 상실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애도과정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애도 상담자 및 신앙 공동체가 해야할 역할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세월호 유가족들이 참사직후부터 경험해온 애도 경험의 근본적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서 지오르기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세월호참사로 자녀를 잃은 유가족 부모 중 참사 전부터 기독교 신앙을 갖고 있던 11명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개별면담은 참사 7주기 이후인 2021년 5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총 177개의 의미단위와 47개의 소주제, 12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들은 애도과정에 영향을 준 요인은 도움요인과 방해요인이라는 2가지 대주제로 나타났고, 애도과정의 변화경험은 8가지 대주제, 애도과정에서 나타나는 애도의 감정과 의미는 2가지 대주제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도과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도움요인으로는 소중한 가족, 세월호를 기억하기, 유가족 활동, 함께해준 사람들, 신앙의 힘, 그냥 살아감이라는 6가지 소주제이고, 부정적 영향을 주는 방해요인으로는 낙인과 직접적인 비난, 이해받지 못함, 신앙공동체에 대한 실망, 몸에 밴 신앙 습관이라는 5가지 소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애도과정에서의 변화 경험은 8가지 대주제로 나타났는데, 애도과정을 겪으며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인지적, 행동적 변화 및 신앙, 정체성, 그리고 삶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유가족의 애도과정 중 애도의 감정과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주요한 애도감정은 미안함과 슬픔, 그리움, 우울감, 자책감, 절망감으로 나타났고, 매년마다 동일한 감정을 반복하고 있었다. 또한 애도과정에 대한 의미부여는 이전 삶과의 단절, 새로운 삶을 찾아감, 상실에 몰두, 삶과 죽음의 공존이라는 4가지 소주제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 지원 방안 및 애도과정을 지원하는 상담자의 역할과 신앙 공동체의 역할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첫째,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세 가지 방안은 ‘피해자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기,’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전환하기,’ ‘사회적 지지를 지속하기’이다.
둘째, 연구자는 상담자의 역할을 ‘동반자적 전문가로서 함께하기’라고 규정하고, ‘함께함’에 있어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4가지 자세(긍휼, 존중, 인내, 겸손)와 애도과정에서 보이는 유가족의 다양한 반응들을 이해하고 전문적인 도움을제공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과 상담 기술을 동시에 숙지하여야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신앙 공동체의 역할로 고통 받는 자와 함께하시는 하나님의 ‘긍휼’을 회복하고 실천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하고, 더불어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선행연구 결과 세월호참사 직후에는 관련된 논문이 급속히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했을 뿐 아니라 7년이 지난 시점에서 애도과정의 현상을 밝힌 국내논문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세월호참사 7년 이후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연구함으로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세월호 유가족의 애도과정을 재조명하고 향후 변화과정에 대한 지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애도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재난 피해자를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신앙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재난 상황에서 신앙 공동체가 해야 할 역할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그동안의 과정을 성찰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 무엇보다 기존 세월호참사 연구에 드러나지 않았던 유가족들의 인터뷰를 포함함으로서 다양한 상황에 놓여있는 유가족의 애도과정 경험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참사 7년이 지난 시점에서의 유가족의 애도과정이 여전히 살아있는 듯 하면서도 죽은 듯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유가족들의 삶이나 신앙, 가치관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유가족의 외상 후 성장과 같은 변화 과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유가족 부모 외에도 형제자매와 생존자 및 생존자 가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재난이 피해자들에게 미치는 영향들을 지속적으로 탐색하여 다양한 사회적 돌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ourning process of bereaved families who experienced traumatic loss due to the Sewol ferry disaster on April 16, 2014.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who were still struggling in the mourning process seven years later while working at an institution that psychologically supports the victim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so I started the study because I thought it was necessary to explore the mourning process and continue to support th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mourning process of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changes in the mourning process, and the meaning of the mourning process to find ways to support the mourning process for people experiencing traumatic loss, and to suggest the role of mourning counselors and faith communit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in order to examine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mourning experience that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of the experienced since the disaster.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ents of bereaved families who had lost their children in the Sewol ferry disaster, who had a Christian faith even before the disaster,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y 2021 to August 2021, after the 7th cycle of the disaster.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177 semantic units, 47 sub-themes, and 12 major themes were derived. The study found tha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mourning process were two major themes: help and obstruction, the experience of change in the mourning process was eight major themes, and the feelings and meanings of mourning during the mourning process were two major them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x sub-theme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ourning process are the precious family, remembering the Sewol ferry, bereaved family activities, people who have been with them, the power of faith, and just living. The five sub-themes that have a negative effect are stigma, direct criticism, incomprehension, disappointment in the community of faith, and habit of faith.
Second, the experience of change in the mourning process appeared in eight major theme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experienced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cognitive, behavioral changes, faith, identity, and life changes through the mourning process.
Third, the feelings and meanings of mourning during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were examined. The main mourning feelings were sorry, sadness, longing, depression, guilty conscience, and despair, and the same feelings were repeated every year.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mourning process was divided into four sub-themes: disconnection from the previous life, finding a new life, immersion in loss, and coexistence of life and dea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paper suggests a plan to support the mourning process for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the role of counselors and the role of the faith community in supporting the mourning process.
First, the three measures to support the mourning process of the Sewol ferry bereaved families are ‘continuing support for victims,’ ‘changing social awareness of victims,’ and ‘continuing social support.’
Second, the researcher defined the role of the counselor as ‘together as a companion expert’ and suggested four attitudes (compassion, respect, patience, and humility) that the counselor should have in the ‘togetherness’ and emphasized that the counselor should be familiar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counseling skills at the same time to understand the various responses of the bereaved family in the mourning process and provide professional help.
Third, it was argued that the role of a faith community should be a community that recovers and practices God’s ‘compassion’ with those who suffer, and that it should also be a community that practices social responsibility.
As a result of previous studies, not only did related papers rapidly increase and then slowly decrease immediatel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but no domestic papers that revealed the phenomenon of the mourning process at the point of 7 years have been published yet.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nd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by studying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7 year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t re-examined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and suggested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he changing process in the future.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mourning process and suggested ways to support disaster victims.
Third,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faith, the role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in disaster situations were emphasized, and directions were presented to reflect on the process so far. Fourth, above all,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hat it was possible to objectively examine the experience of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in various situations by including interviews with the bereaved families, which were not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mourning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was still alive and dead at the time of 7 years after the disaster, but it was able to confirm positive changes in the lives, beliefs and values of the bereaved families. Therefore,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nge process such as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bereaved fami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explore the effects of disasters on victims through research on siblings, survivors, and survivors' families in addition to bereaved parents, so that various social care can be achie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서 론 01
  •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 B.선행 연구 06
  • C.연구 문제 14
  • D.용어 정의 15
  • Ⅱ.이론적 배경 17
  • A.재난에 대한 이해 17
  • 1.재난의 정의 17
  • 2.재난의 종류 18
  • 3.재난 경험 후 심리적·행동적 반응 19
  • 4.재난 후 시기별 반응 21
  • B.외상에 대한 이해 24
  • 1.외상의 정의 25
  • 2.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이해 29
  • 3.외상 후 성장에 대한 이해 31
  • C.애도에 대한 이해 33
  • 1.상실의 개념 33
  • 2.애도의 개념 35
  • 3.애도의 반응 38
  • 4.복잡성 애도 40
  • 5.애도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델 46
  • 6.성경적 관점에서의 애도 52
  • Ⅲ.연구방법 55
  • A.연구방법 55
  • 1.현상학적 연구방법 56
  • 2.지오르기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59
  • 3.연구 참여자 62
  • 4.자료 수집 및 분석 절차 71
  • 5.연구과정의 평가 및 윤리적 고려 74
  • Ⅳ.연구결과 77
  • A.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한 상황적 구조 기술 86
  • 1.영향 요인 86
  • 2.변화 과정 114
  • 3.애도 감정 및 의미 167
  • B.참여자들의 진술에 대한 일반적 구조 기술 183
  • 1.영향 요인 183
  • 2.변화 과정 185
  • 3.애도 감정 및 의미 191
  • Ⅴ.논의 및 결론 195
  • A.요약 195
  • B.논의 및 제언 200
  • 참고문헌 217
  •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229
  • <부록 2> 면담 질문지 230
  • Abstract 231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35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현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7 2465
134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V.Satir의 의사소통 이론과 상담심방 적용 가능성 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2637
133 통합적연구
부모교육과 기독교상담 관점에서 본어머니의 양육불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4 2366
132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의 적용-우울증, 그 원인과 교회의 역할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4 2488
131 통합적연구
기독교 심리학과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3 2554
130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 관점에서 본 이야기치료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2415
129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방과 후 학교교육의 성경적 상담 적용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5 2372
128 통합적연구
이혼가족의 성인초기 자녀에 대한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8 2408
127 통합적연구
청년기의 자살생각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접근 -기독대학생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2535
126 통합적연구
특집 : 한국 부모부양의 세대갈등에 따른 성경적 노인이해와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1 2429
125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중년위기 부부의 갈등과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8 2524
124 통합적연구
성경적 상담의 미래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5 2682
123 통합적연구
인터넷 게임 중독 아동을 돕기 위한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3 2405
122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에 대한 성경적 상담 -청년기 정신 건강을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4 2548
121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의 인간관 -상담이론별 인간의 책임 영역 비교-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0 2629
120 통합적연구
피학대 아동을 위한 성경적 상담(성경적 레질리언스를 중심으로)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2 2556
119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미혼모를 위한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2 2425
118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성경적 상담을 통한 기독 중년 여성들의 우울증 회복과정연구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2 2717
117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완벽주의와 우울에 관한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11 2209
116 통합적연구
연구논문 : 다문화사회에서의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6 2437
115 통합적연구
특집 :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드루시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7 6 2234
114 통합적연구
노화 불안에 대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20 10 2433
113 [공지]
구글 학술검색: "westminster biblical counseling ccef"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04 9 2713
112 [공지]
국회전자도서관: 성경적 상담 검색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01 9 3158
111 ccef
Emotional Rehab 101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9 20 1416
110 ccef
Teaching Kids about Sex and Personal Safety - Julie Lowe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9 15 1229
109 ccef
Five Ways to Improve Communication in Daily Ministry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9 17 1196
108 ccef
You Are a Priest: Considering an Underused Identity by Ed We…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9 18 1254
107 ccef
What is the role of self disclosure in dating?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12 14 1413
106 ccef
CCEF BLOG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08 17 1495
105 기관연구
논문 프로포잘 작성방법에 관한 조언 1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7 9 4998
104 ccef
Why attend the CCEF National Conference?(왜 CCEF 전국 컨퍼런스에 참여하…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24 19 1525
103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구글플러스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18 1 1535
102 기관연구
소원상담센터 페이스북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04 1 1614
101 ccef
When a Child Says "I don't know"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13 15 1466
100 ccef
Depression and Suffering: Finding Hope and Healing for Ourse…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2-11 16 1563
99 ccef
The Danger of "Fast Food" Conversation (몸에 해로운 대화의 위험성) 1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09 9 2446
98 ccef
Practical Steps in Moments of Anger? (분노의 순간에서 할 수 있는 실제적인 일… 1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1-12 11 2505
97 ccef
Artical: Feeling Guilty? Who Doesn’t? (죄책감을 느끼시나요? 그렇지 않은 사람… 1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13 18 2643
96 ccef
Biblical Counseling for Unbelievers (불신자를 위한 성경적 상담) 1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4-28 13 2440
95 ccef
Living for Approval Conference (사람들의 인정을 극복하는 삶 컨퍼런스)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23 20 1823
94 기관연구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SBTS) D.Min 과정안내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3 4301
93 기관연구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SBTS) 성경적 상담학 과정안…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4086
92 심리학적연구
교류분석(박용민) 안내장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3254
91 심리학적연구
찬양사역자 마이클 W 스미스의 '표적(sign)' 1장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711
90 심리학적연구
‘레노바레 영성주제 성경(The Renovare Spiritual Formation Bible)’ 서문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909
89 심리학적연구
다음팁: 가정문제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723
88 심리학적연구
다음팁: 정신과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729
87 심리학적연구
네이버 상담: 성인고민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624
86 심리학적연구
네이버 상담: 정신과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2 1602
85 혁신적연구
Paul Tripp Sermon (번역)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563
84 혁신적연구
Paul Tripp Ministry (번역)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567
83 ccef
CCEF (기독교 상담 교육 재단) 소개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2 1454
82 기관연구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미디어 센터 (번역)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1 1439
81 기관연구
SBTS 성경적 상담학(BIBLICAL COUNSELING) D.Min. 프로그램 안내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3 3086
80 4조직유형
성경적 상담이란 무엇인가? by 김순성교수(고신대)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4 3330
79 심리학적연구
교류분석(TA) 지도자 과정 1단계 by 박용민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4 3105
78 혁신적연구
Worry: Pushing a Better Path to Peace by David Powlison (걱정…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2 1797
77 혁신적연구
Forgiveness: I Just can't forgive myself! (용서: 자기 자신을 용서할 수 …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0 1988
76 혁신적연구
Bad Memories: Getting past your past (트라우마: 과거의 기억을 넘어서는 법)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1 1750
75 혁신적연구
Anger : Escaping the Maze (분노: 악순환의 미로를 벗어나는 법)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0 1723
74 혁신적연구
A.D.D./A.D.H.D. (주의력결핍장애/ 과잉행동장애)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1 1787
73 b관점해석
Age of Opportunity 소감문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2 2502
72 f통찰해석
Age of Opportunity 초벌번역본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1 2988
71 a적용해석
Parenting A Model for Biblical Counseling / Dr. Welch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2 2961
70 통합적연구
When You Shouldn’t Do What You Want to Do'(하고 싶은 것을 하지 말아야 하…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29 5 3489
69 통합적연구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a forgiveness Intervention p…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4 3296
68 심리학적연구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 (TA심리학에 근거한)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5 3029
67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적 상담에 대한 이해 (2004)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5 3727
66 혁신적연구
Using the lament psalms in counseling (상담에서 탄식의 시편을 사용하는 것)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2 1998
65 혁신적연구
The use of proverbs in biblical counseling: a hokmatic appre…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0 2022
64 혁신적연구
The problem of wife abuse: wife abuse and pastoral counselin…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1 2023
63 혁신적연구
The ministry of hope, the essence of counseling, is a covena…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9 1913
62 혁신적연구
The family covenant: god's plan to strengthen your family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8 1833
61 혁신적연구
The bondage of ecstasy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1 1955
60 혁신적연구
The application of biblical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t…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2 1897
59 혁신적연구
counseling for spiritaul depression caused by shamanism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9 2040
58 혁신적연구
Self-counseling: changing hearts and growing in christ - a c…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4 2047
57 혁신적연구
Purifying the heart of sexual idolatry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3 1945
56 혁신적연구
Preaching and Pastoral counseling: a reformed presponse to t…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1 1987
55 혁신적연구
Planting Biblical counseling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9 1903
54 혁신적연구
Planting biblical counseling in Korea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0 1694
53 혁신적연구
Parenting shepherding the child's heart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0 1982
52 혁신적연구
One-anothering model of biblical counseling in the evangelic…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0 1965
51 혁신적연구
Moving beyond your past 2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0 1891
50 혁신적연구
Moving beyond your past 1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0 1599
49 혁신적연구
Mobilizing biblical lay counseling in an assemblies of god c…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8 1942
48 혁신적연구
Ministering the newly wed couple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3 1927
47 혁신적연구
Living through grief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9 1965
46 혁신적연구
How the local church can assist the military family face sep…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0 1902
45 혁신적연구
Hepling counselees enter and remain on the narrow way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2 1801
44 혁신적연구
Forgiveness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8 1819
43 혁신적연구
Evangelizing through pre-marital counseling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0 1888
42 혁신적연구
Evangelism implosion: getting to the heart of the issue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0 1905
41 혁신적연구
Equipping parents for rearing adolescents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8 1862
40 혁신적연구
Equipping the laity to do evangelistic biblical counseling2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6 1764
39 혁신적연구
Equipping the laity to do evangelistic biblical counseling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8 1814
38 혁신적연구
Emotion theories, andger, and assessment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1 1768
37 혁신적연구
Developing the full potetial of the missionary kid: a handbo…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13 1950
36 혁신적연구
Depression-a theological disorder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7 9 1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