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발표 상담챠트 해결방법 (문제답변)

[트라우마] [방법] 트라우마 해결방법  

Chart_5.jpg
 
*학교폭력에 대한 기억으로 인해 괴로울 때

법적으로 해결을 하려면 돈도 많이 들고 증거수집이나 재판과정이나 상대방의 반응 등이 스트레스가 되기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그 당시에 뭔가를 하면 할 수 있었지만 시간이 너무 지나버렸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앞으로 할 수 있는 좀더 현실적인 해결방법은 자신의 트라우마를 해결하고 더 잘 사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입니다. 과거에 매여서 계속 괴로워하다 보면 인생 전체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여전히 남아 있는 많은 인생을 더 잘 살기 위해서 미래로 나아가야만 비로소 더 잘 살 수 있습니다. 그런 마음을 가질 때 과거의 아픔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해결방법을 통해 오랜 시간의 마음의 문제를 잘 해결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참고. 트라우마 상담과정

1. 과거에 아픔과 관련되서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를 생각해 본다.

2. 그럴 때 그것이 무엇인가를 잘못하거나 실수를 해서 그런 것인지를 살펴본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가 있었는지를 살펴본다.

4. 그런 감정에서 원했던 것은 무조건 받아주고 가만히 편안하게 놔두는 것이었는지를 생각해 본다.

5. 원했던 것을 얻지 못한 것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서 교훈과 지혜와 결심을 얻었다고 볼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본다.

#원장, #트라우마, #상황이해, #상담치료,

https://swcounsel.org/methods/190

https://swcounsel.org/register4/1133

 
 
 

 


 
*엄마에게 맞은 기억이 계속 떠오르는데 그게 트라우마인지 잘 모를 때

그런  게 바로 트라우마 입니다. 과거의 기억이 잘 해석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다 보니 계속 잔상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 기억 속에서  잃어 버린 것을 생각하지 말고 얻은 것을 생각하면 잘 해석이 되면서 사라지게 될 것이니 의식이 되는 대로 해석을 해서 정리를  해야 합니다. 안 그러면 그런 기억들이 쌓이고 쌓이면서 정신질환이 됩니다. 혼자 해보고 안 되면 상담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트라우마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과거에 아픔과 관련되서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를 생각해 본다.

2. 그럴 때 그것이 무엇인가를 잘못하거나 실수를 해서 그런 것인지를 살펴본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에게 두려움이나 공포가 있었는지를 살펴본다.

4. 그런 감정에서 원했던 것은 무조건 받아주고 가만히 편안하게 놔두는 것이었는지를 생각해 본다.

5. 원했던 것을 얻지 못한 것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서 교훈과 지혜와 결심을 얻었다고 볼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본다.

#원장, #트라우마, #상황이해

https://swcounsel.org/methods/190

https://swcounsel.org/register4/1133


 
 
 

 


 
*가족과의 경험으로 인한 불안 증상이 있을 때

트라우마가 맞습니다. 그때의 경험이 자신의 불안의 자극요소가 되어서 그와 유사한 경험이 있을 때마다 불안이 극대화 되는 것입니다. 그걸 빨리 해결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더 큰 정신질환이 생깁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계속 자극이 커지는 악순환에 들어섰기 때문입니다. 약물치료는 증상만 완화시킬 뿐이고 선순환으로 바꿀 수가 없어서 상담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오빠와의 경험을 재해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오빠의 감정조절의 문제이고 잘못이지 자신의 잘못이 아닌데 그걸 자신의 잘못으로 오해하고 있으니 그걸 풀어야 하겠습니다.

 

다음 트라우마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과거에 아픔과 관련된 가장 괴로웠던 일이 무엇인가를 떠올려본다.

2. 그럴 때 자신이 어떤 대응과 반응을 했는지를 생각한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4. 그런 감정에서 대응하고 반응하면서 원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5. 무엇인가를 잃은 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을 얻었다고 생각할 때 그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원장, #트라우마, #불안증

https://swcounsel.org/methods/190

https://swcounsel.org/register4/1133





 


 
*누군가 아프다고 하면 슬펴지고 극단적인 생각이 들 때 

이전 경험때문에 그런 마음이 드는 것입니다. 이전에 비슷한 경험을 했고 그로 인한 감정이 너무 컸기 때문에 그로 인해서 새로운 비슷한 경험을 하면 이전 감정이 솟아오르면서 고통이 시작됩니다. 이전 경험에 대한 감정을 해소하고 정리해야만 새로운 일은 새롭게 대할 수 있습니다. 트라우마이니 상담치료를 통해 이전의 일들을 잘 정리해야 합니다. 안 그러면 극단적인 생각도 들어서 계속 그 감정이 사라지지 않고 커집니다. 다음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과거에 아픔과 관련된 가장 괴로웠던 일이 무엇인가를 떠올려본다.

2. 그럴 때 자신이 어떤 대응과 반응을 했는지를 생각한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4. 그런 감정에서 대응하고 반응하면서 원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5. 무엇인가를 잃은 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을 얻었다고 생각할 때 그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과거일이 생각나면서 슬퍼지고 망상이 생길 때 
 

피해의식과 망상이 있습니다. 그런 피해의식과 망상이 심해지면 조현병이 되고 더 악화되면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집니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안 좋은 일에 대한 기억을 새롭게 해석해야 합니다. 그런 일들 이후에 좋은 결과가 있었기 때문에 그 좋은 결과를 찾아야만 합니다. 다음 상담과정을 참고해서 과거를 잘 정리하면 현재를 평안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필요하면 상담치료를 받아보세요. 

 

1. 최근에 가장 괴로웠던 일이 무엇인가를 떠올려본다.

2. 그럴 때 자신이 어떤 대응과 반응을 했는지를 생각한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4. 그런 감정에서 대응하고 반응하면서 원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5. 원했던 것을 잃은 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을 얻었다고 생각할 때 그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과거 수술후 트라우마가 생겨서 약먹기 힘들 때 
 

트라우마는 과거의 경험 때문에 현재의 경험에 부정적인 감정을 갖는 증상입니다. 현재의 경험이 과거의 경험과 다르다는 것을 인식시켜야만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수술 이후 연장선상에서 약을 먹인다면 부모님도 의식적으로 이 약을 병을 낫기 위해서 먹여야만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면 그럴수록 트라우마를 연상하게 되기 때문에 새로운 경험으로 받아들이게 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밥먹고 나서 먹는 간식의 한 종류 처럼 생각하게 한다거나 해야 하는 것입니다. 트라우마에 대해서는 과거의 경험으로 얼마나 좋아졌는지를 기뻐하고 감사하게 해서 그때의 고통을 잊게 만들고(임신과 출산처럼), 약먹이는 방법은 새로운 경험으로 받아들이게 해보세요. 필요하면 트라우마 대응방법에 대한 상담을 받아보세요. 다음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과거에 수술과 관련된 가장 괴로웠던 일이 무엇인가를 떠올려본다.

2. 그럴 때 자신이 어떤 대응과 반응을 했는지를 생각한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4. 그런 감정에서 대응하고 반응하면서 원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5. 그 원함 때문에 감정과 다른 반응을 나타냈었음을 이해한다.

6. 무엇인가를 잃은 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을 얻었다고 생각할 때 그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침소리에 격한 분노를 느낄 때 
 

다양한 공포증, 분노증에는 그 증상과 연결되게 된 경험이 있습니다. 단순히 정신과에서 약물을 먹는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그 경험을 찾아서 해석을 해야 합니다. 모든 침소리에 괴로움을 겪는다면 매번 그런 소리를 내는 사람과 갈등을 겪느니 자신의 생각을 바꿔서 평안을 찾는 것이 더 좋습니다. 어떤 경험이 있었는지를 생각해 보시고 그 경험에 대해서 재해석을 하면 사라지게 됩니다. 혼자서는 어려울 수 있으니 상담치료를 받으시면 연결고리를 끊고 평안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다음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과거에 침소리와 관련된 가장 괴로웠던 일이 무엇인가를 떠올려본다.

2. 그럴 때 자신이 어떤 대응과 반응을 했는지를 생각한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4. 그런 감정에서 대응하고 반응하면서 원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5. 그 원함 때문에 감정과 다른 반응을 나타냈었음을 이해한다.

6. 무엇인가를 잃은 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을 얻었다고 생각할 때 그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학교에서 집단폭력을 당하고 후유증이 있을 때
 

부모님의 판단과 대응이 제일 중요할 것입니다. 초1이면 유치원에 있다가 이제 막 학교에 들어간 어린 학생인데 집단폭행이라는 큰 마음의 상처를 받게 되었으니 피해자인 조카의 마음의 회복이 제일 중요합니다. 가해자 처벌에 대해서는 규정과 과정이 있으니 해당 조치를 받게 하시면 됩니다. 피해자의 마음의 회복의 목표는 무엇이 잘못이고 무엇이 잘한 것인지를 잘 구별해서 버릴 것은 버리고 취할 것은 취하게 하면 됩니다. 또한 두려움이 화장실이나 교실이나 다양한 장소로 확장되지 않도록 앞으로 어떤 삶을 살 것인지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두려워서 숨는 것이 아니라 계획을 가지고 앞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면 이전과는 새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다음을 참고해 보시고 피해자 회복과 가해자 처벌이 잘 이루어 지기를 기원합니다. 

 

 

1. 학교폭력과 관해서 가장 괴로웠던 일이 무엇인가를 떠올려본다.

2. 그럴 때 자신이 어떤 대응과 반응을 했는지를 생각한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4. 그런 감정에서 대응하고 반응하면서 원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5. 그 원함 때문에 감정과 다른 반응을 나타냈었음을 이해한다.

6. 무엇인가를 잃은 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을 얻었다고 생각할 때 그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특정 알람 소리에 대한 공포심
 

트라우마의 영향입니다. 그와 관련된 이전의 사건을 다시 재해석해야 나을 수 있습니다. 기억을 덮을 수 없고 꼬여 버렸기 때문에 다시 풀어야만 합니다. 지금 힘든 것은 예전의 힘든 경험의 반복이고 이걸 해결하지 않으면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되고 더 커질 수 있으니 트라우마를 해결해야 하겠습니다. 다음 상담과정을 참고하셔서 과거 트라우마를 잘 해결하시면 경험과 알람 사이의 연결성이 해제되면서 아무렇지 않게 될 것입니다. 

 

 

1. 과거에 알람과 관련된 가장 괴로웠던 일이 무엇인가를 떠올려본다.

2. 그럴 때 자신이 어떤 대응과 반응을 했는지를 생각한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4. 그런 감정에서 대응하고 반응하면서 원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5. 그 원함 때문에 감정과 다른 반응을 나타냈었음을 이해한다.

6. 무엇인가를 잃은 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을 얻었다고 생각할 때 그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트라우마로 인해서 대인기피, 공황장애가 생겼을 때

증상이 지금은 공황장애가 아니라 트라우마로 인한 대인기피이네요. 그런 괴로움이 더욱 커져서 숨쉬기가 힘들게 되면 그제서야 공황장애로 판정되고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상황이 될 것입니다. 그 전에 트라우마를 해결해야 하는데 그것이 먼저 있었던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야 대인기피도 해결될 수 있겠습니다. '사람한테 한번에 상처를 많이받은' 사건이 중요하니 그에 대해서 재해석을 해서 상처를 받은 것이 아니라 사실은 더 큰 피해를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이해를 하면 그 사건이 전혀 다르게 보이게 될 것입니다. 상담에서 이런 재해석이 가능하니 약물을 복용하기 되기 전에 사건을 재해석하는 방법을 사용해 보세요. 다음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최근에 가장 괴로웠던 일이 무엇인가를 떠올려본다.

2. 그럴 때 자신이 어떤 대응과 반응을 했는지를 생각한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4. 그런 감정에서 대응하고 반응하면서 원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5. 그 원함 때문에 감정과 다른 반응을 나타냈었음을 이해한다.

6. 무엇인가를 잃은 것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을 얻었다고 생각할 때 그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트라우마로 인해서 감정과 표현이 다를 때 고치는 방법

 

이전에 괴로운 상황에서 억지로 그렇지 않은 행동을 하려고 하다 보니 나중에는 정반대의 표현과 표정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면 감정은 슬프지만 표정은 밝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감정과 태도가 일치되지 않는 것이라서 좋지 않은 습관이니 정말 고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전의 기억을 되살려서 그것을 바꿔야만 바로 잡을 수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살면 되고 진행하기가 어렵다면 상담이나 조언을 받아보면 정확한 감정과 욕구를 알게 될 것입니다.

 

 

1. 이전에 가장 괴로웠던 일이 무엇인가를 기억해 낸다.

2. 그럴 때 자신이 어떤 대응과 반응을 했는지를 생각한다.

3. 그 반응 속에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본다.

4. 그런 감정에서 대응하고 반응하면서 원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5. 그 원함 때문에 감정과 다른 반응을 나타냈었음을 이해한다.

6. 앞으로는 그런 원함을 이루려는 것이 아닌 다른 소원을 가져보는 것을 생각한다.


 



답변하시면 포인트 30을 을 드립니다.

김지인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5-01 (월) 00:06 2년전
트라우마에 대한 잘못된 대응 방식으로 인해 또 다른 괴로움이 생기는 것을 접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한 명료한 설명이 도움이 많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상태 날짜 추천 조회
1884 불안증 이거 무슨 병인가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8-29 0 4842
1883 가정문제 우울증 걸리는 방법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8-26 2 7892
1882 강박증 혐오중독 (학교폭력, 중독, 일베, 워마드, 정신질환, 정신병, 메갈리아, 일간베스트)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8-24 1 6872
1881 우울증 우울증에 위로되는 좋은말,,,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8-19 8 12967
1880 스트레스 짜증은 스트레스인가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8-17 1 6129
1879 감정조절 마음이 너무 약해서 걱정입니다.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8-15 2 5548
1878 자아관 자아정체성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8-01 1 6203
1877 사고장애 꿈이랑 현실이 구분이 안돼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7-31 3 11948
1876 자해 자해못끊겠으면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7-07-24 0 5479
1875 자아관 자존감과 피해의식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7-21 1 6950
1874 수면장애 불면증 최면치료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7-20 2 7959
1873 자ㅅ충동 청소년 인데요 살기 싫습니다 진심으로요 꼭 봐주세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7-19 2 8195
1872 대인관계 사람관계에서 도망치려는 심리..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7-19 0 4673
1871 우울증 우울신경증,히키코모리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7-12 1 7551
1870 스트레스 우울증인가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7-11 1 8250
1869 망상 꿈도 좋은 꿈이 있는 것처럼 망상도 좋은 망상이 있지 않을까요?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7-07-01 1 4483
1868 섭식장애 폭식증 오래되면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28 2 6045
1867 대인관계 마음이 안정적이지 않을때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26 1 8385
1866 우울증 우울증 자퇴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20 1 10000
1865 대인관계 초등 5학년 남아 매일 학교 가는 걸 걱정해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19 2 6669
1864 신앙문제 저는 천국에 갈수 있을까요?? 2 sdfgsdf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18 1 13076
1863 왕따 왕따입니다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17 1 4690
1862 공포증 환공포증이 아니라 뭐라고 하나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16 1 4907
1861 진로문제 미래 고민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13 0 4517
1860 공황장애 공황장애일까요 아님 병일까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11 2 5959
1859 대인관계 혼자일하는게너무힘듭니다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09 2 5825
1858 우울증 말만해도눈물나와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06 2 6173
1857 자ㅅ충동 살기싫어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06 0 5286
1856 대인관계 이기적인게 잘 안되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6-02 1 4198
1855 가정문제 시어머니와 종교적인 성향이 부딪혀요 1 승리하기이름으로 검색
완료
17-05-30 1 7857
1854 대인관계 인성노답친구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5-30 1 4785
1853 대인관계 그냥 정신, 히키코모리?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5-29 3 5986
1852 경제문제 그동안 생긴 빚을 부모님께 말씀드려야 될것 같습니다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5-26 3 7630
1851 진로문제 어느 것을 선택할까 고민됩니다. 이것도 문제고 저것도 문제입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7-05-17 0 5430
1850 감정조절 화를 못 참는 것도 습관인가요? 도와주세요. 2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5-17 3 7442
1849 정신분열 제발 도와주세요 정신병원 입원해야하는지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5-16 2 9752
1848 꿈해석 돌아가신 시아버님이 꿈에 나오셨는데 시구들끼리 놀려갔는데 지갑을 던져 주시면서 돈이 없다고…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5-15 3 6458
1847 스트레스 잠을 너무 많이 자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5-09 3 9308
1846 꿈해석 남자친구의 결혼 반대하는꿈 남은자이름으로 검색
완료
17-05-08 2 11146
1845 강박증 고민이 있으니 들어주세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5-01 1 5890
1844 진로문제 24살 여자 진로에 대해 되게 고민이 많습니다..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5-01 4 5451
1843 사고장애 학생들에게 도둑질은 나쁜 것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기 위해서 그런 일이 생기면 전체에게 벌을…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7-04-25 3 5804
1842 자녀문제 잘할 때 스터커 붙여주는 것, 발레를 안하려고 할 때, 어린이집에 친구가 하나도 없을 때 …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7-04-25 2 5628
1841 신앙문제 정신과 치료중인데, 머리가 텅빈것 같아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4-22 2 7231
1840 자아관 제자신을 모르겠어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4-21 2 5704
1839 가정문제 힘드네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4-17 1 8619
1838 대인관계 왜 사람들은 절 도와주지않나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4-14 2 4920
1837 무기력증 무기력증..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4-13 1 6567
1836 대인관계 존경의 욕구가 나쁜 지를 알겠는데 그것을 버릴 수가 없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7-04-12 2 5823
1835 대인관계 제가 기는 약한데 지는 건 싫어해요. 남은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4-11 2 5657
1834 중독 게임중독 사례연구[상담프로그램]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3-23 2 3101
1833 학교문제 왕따, 인지행동치료 효과 [상담프로그램]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3-23 2 3036
1832 우울증 우울증, 스트레스 사례연구[상담프로그램] 1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3-23 3 7802
1831 스트레스 현재 상태를 자전거에 비유를 하면 중심을 좀 잡다가 쓰러지다가 다시 좀 중심을 잡다가 또 …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7-03-18 0 7505
1830 우울증 우울증, 진로문제, 쇼핑중독, 가족갈등 사례연구[상담프로그램]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3-16 5 5157
1829 성문제 막 사람 팔 자르고 먹는 상상하면서 1 milal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3-16 1 7077
1828 우울증 우울증으로 입원을 한달 간 했습니다. 2 milal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3-16 3 9609
1827 가정문제 부모갈등 사례연구[상담프로그램]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3-10 4 2611
1826 가정문제 가족갈등 [상담프로그램]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7-03-02 10 3565
1825 기타_55 [공지] 본 게시판은 회원가입후에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7-02-13 6 4321
1824 트라우마 과거의 치욕스러웠던 순간을 상기시키는데 어떡하죠? 3 milal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22 5 7131
1823 공황장애 공황장애를 극복할 수 없을까요? 3 milal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22 3 7889
1822 꿈해석 꿈/교회문제 1 시작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20 3 9279
1821 신체문제 안녕하세요 저는 18살 여자입니다 1 데이지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4 2 6823
1820 환각망상 욕하는 환청이 들려서 미칠 것 같습니다. 1 데이지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4 5 8934
1819 공황장애 저 왜이런가요? 1 데이지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4 3 5756
1818 스트레스 의료 수급자 정신약 추가진료 거부 1 데이지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4 3 6691
1817 수면장애 수면제를 먹어도 잠을 못자요(램수면) 1 데이지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4 22 17134
1816 수면장애 몽유병인가요? 잠꼬대인가요..? 1 데이지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4 2 7617
1815 대인관계 이런 경우 제가 어떻게 이해해야하는 거죠? 1 데이지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4 0 6652
1814 우울증 15년간의 두통과 약물치료 1 데이지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4 2 7307
1813 신체문제 선택적 무언증 1 데이지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4 3 6789
1812 강박증 본인에게 관대해지는 방법 3 bowjesus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3 3 6569
1811 가정문제 시어머니가 절 하녀 취급하는 것 같아 싫어요 2 bowjesus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완료
16-12-13 7 11886
1810 우울증 너무 우울해요 1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9716
1809 우울증 형의 우울증 때문에 가족들이 죽을 지경 입니다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8039
1808 망상 피해망상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1 5265
1807 진로문제 정신분열환자는 승무원이될수없나요?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3 5211
1806 신체문제 혹시나 뇌졸증은 아닌지요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6366
1805 감정조절 정신과상담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6794
1804 망각증 제 이름이 가끔씩 기억나지 않습니다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5778
1803 불안증 죽음에 대한 생각이 떠올라요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6453
1802 스트레스 자다가 일어난듯한 현상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3 7771
1801 수면장애 잠이 안오는 이유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4 6037
1800 불안증 불안감이 커요.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0 6117
1799 섭식장애 먹지 않으면 불안해요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5695
1798 수면장애 잠자는시간을 원래대로 돌리고싶어요.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0 7679
1797 불안증 밤에 잠이 안올때 가끔 둥 둥 거리는 누낌+ 심장이 ..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4 11127
1796 감정조절 분노조절장애가 의심되요ㅠㅠ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1 5998
1795 신체문제 부자연스러운 행동과 자세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8949
1794 동성애 엄마가 요즘 자꾸 저랑 키스(?) 하려고 합니다.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1 6008
1793 기타(85) 24살 여자입니다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6173
1792 알콜중독 남편의 알콜중독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5 6982
1791 감정조절 습관?적인 죄책감 과 우울 질문..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6523
1790 공황장애 자다가 놀램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2 6543
1789 정신분열 우울증 조현병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3 10419
1788 가정문제 정신과 입원이 필요한지 문의드립니다.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3 9194
1787 불안증 불안장애(공황장애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4 9137
1786 자ㅅ충동 왜이리 .. 죽고싶어서 안달난것같죠 ?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3 5179
1785 공황장애 1년 전에 어지럽고 가슴 답답한 증상이 있었는데 가끔 그러다가&hellip 소원상담7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필독
16-12-08 3 9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