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 그럴수도 있지



도서소개
 
축복의 문은 믿는 데서부터 열린다. 말씀을 믿고 행할때 축복의 문으로 들어간는 것이다. 그리고 길표(성경)대로 가면 축복의 생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나는 그 문을 열었고 그 문에 들어와서 길표를 잘 읽고 주의깊고 조심서있게 걸어왔다. 비록 때때로 넘어졌고 거꾸러졌지만 결국은 이 축복의 샘에 도달했다. 이 샘에서 나는 먹고 마셨고 씻었다. 또한 이 샘물에 잠겨서 세상의 어지러움과 풍랑을 피했다. 그러나 내가 아무리 고통과 환난과 재난과 억울함을 많이 겪었다 해도 아직 부족하다
-책머리에서
책머리에

1. 그럴수도 있잖아요
2. 되돌아가라 미미
3. 이 세상을 떠나는 즐거운 이유
4. 우울증
5. 내것
6. 낙심하지 마세요
7. 아는 것 많아 못 믿겠소
8. 의논하세요
9. 고무줄
10. 나는 잘 울어요

외 112편의 글

안이숙
안이숙은 1908년 6월 24일 평북 박천에서 출생하여 평양 서문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에 유학하여 도쿄 가정여학원 연구과를 수료하였다. 귀국 후, 대구 여자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선천 보성여학교에서 교사로 봉직하던 중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투쟁하기 시작했다. 그는 한국의 엘리야로 불리는 박관준 장로와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정치인들을 상대로 신사참배 강요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한편, 제74회 제국의회 때 의사당에 들어가 박관준 장로와 함께 일본 당국의 기독교 탄압을 규탄하는 내용의 유인물을 뿌리고 체포되었다. 국내로 압송된 그는 평양형무소에 수감되어 주기철,박관준,이기선,주남선,최덕지,오윤선,방계성,한상동,이인재,박신근,서정환,이광록 등 신사참배 거부 투쟁자들과 함께 옥중투쟁을 전개하였고, 6년 옥고를 치른 후 8.15 광복과 함께 석방되었다. 해방 후 공산 정권의 탄압을 피해 월남했다가 1948년 미국으로 건너가 미네아폴리스의 노스웨스턴대학과 텍사스의 사우스웨스턴침례신학교에서 수학하였고, 김동명 목사와 결혼한 후 로스엔젤레스 한인침례교회를 개척하였다. 1968년 자신의 수기<죽으면 죽으리라>를 출판하였는데, 이것은 교계 안팎에 큰 반향을 일으킨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일본어와 영어로 번역되었고 그 내용이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계속해서<죽으면 살리라>(1976년),<당신은 죽어요,그런데 안 죽어요>(1989년),<그럴 수도 있지>(1990년),<낫고 싶어요>(1991년)등을 출판하여 많은 독자를 확보하였으며 한국과 일본, 미국과 유럽 여러 나라를 순회하며, 전도.간증 집회를 열었고 대전에 새누리침례교회를 개척하기도 했다. 자신을 '실격된 순교자'라 불렀으나 주변에서는 '살아 있는 순교자'라 칭했던 그는 마지막까지 왕성한 선교활동을 벌이다가1997년 10월 1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선한사마리아병원에서 별세하여 로스앤젤레스 교외에 묻혔다.




 최현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1-09 (화) 20:27 3년전
어머나 너무나 반가운 책입니다. 청년시절에 안이숙여사의 삶이 좋아 보여서 본받고자 읽었던 책들 중 하나인데요. 어디서 이 책을 찾으셨데요?
주소 추천 0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1-09 (화) 22:20 3년전
무슨 책을 올릴까 생각하다 예전에 감명깊게 읽었던 책이라 찾아 보았더니....놀랍게도 있네요.

제가 상담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이 책입니다. 안이숙여사의 '죽으면 살리라'는 간증집 이었다면 '그럴수도 있지'는 문제 속에서 고민하는 성도들을 상담해준 내용을 쓴 책입니다. 지금 생각하면 이 분도 상담을 공부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이런 대답을 해 줄 수 있을까 너무 신기했는데...원장님이 답변 하시는 글들도 읽어보면 귀감이 됩니다. 한 주에 한 번이라도 사례답변을 쓰다 보면 언젠가는 우리도 고개가 끄덕여지는 답변을 하지 않을까 하는 소망을 가져봅니다.
주소 추천 0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72 심리학
‘레노바레 영성주제 성경(The Renovare Spiritual Formation Bib…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249
171 심리학
NLP란 무엇인가? 2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19 4 3513
170 심리학
교류분석(박용민) 안내장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2538
169 심리학
교류분석(TA) 지도자 과정 1단계 by 박용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4 2455
168 심리학
심리학적 상담에 대한 이해 (2004)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5 2880
167 심리학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 (TA심리학에 근거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5 2228
166 심리학
심리학 도서 목록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0-25 0 503
165 심리학
일반상담과 목회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30 0 590
164 심리학
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릴까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4 1 1051
163 심리학
강박적인 그리스도인 2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4 1 1154
162 심리학
공정하다는 착각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067
161 심리학
당신의 분노는 무기가 된다.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0 585
160 심리학
수용적 미술치료에 기초한 명화 감상 미술치료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194
159 심리학
낭만적 사랑의 심리학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132
158 심리학
스트레스 다스리기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008
157 심리학
마음처방전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1059
156 심리학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1014
155 심리학
너무 신경썼더니 지친다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7 1 1077
154 심리학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590
153 심리학
이젠 내 힘으로 공부할 수 있어요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1062
152 심리학
부부문제로 꼼짝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567
151 심리학
당근과 채찍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1152
150 심리학
상처주지않고 비판하기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1043
149 심리학
z세대 부모를 위한 SNS심리학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1053
148 심리학
이단에 빠진사람들의 정서와 심리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1138
147 심리학
젊은 ADHD의 슬픔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2 1 970
146 심리학
하버드 회복탄력성 수업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1060
145 심리학
나는 왜 참으려고만 할까?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1012
144 심리학
아이는 왜 내 말에 상처 받을까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1025
심리학
그럴수도 있지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