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적연구] 구조화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누구나 쉽게 집단상담을 할 수 있는 방법



저자 : 전요섭  |  출판사 : CLC(기독교문서선교회)
발행일 : 2020-10-20  |  크라운판 580p  |  978-89-341-2210-4
 
저자는 오랫동안 기독교 상담학 분야에서 사역해 온 역량 있는 교수다. 이 책은 저자가 교수 사역을 하면서 관심을 두고 연구해 왔던 “구조화 집단상담” 분야를 총정리하고, 실용적이면서, 학문성에도 뒤지지 않는 귀한 책을 내었다. 저자는 그동안 상담의 주제들을 쉽게 대중에게 알리려고 노력해 왔다. 그런 노력의 강점을 잘 살리고, 이론과 실제의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책이라고 감히 소개하고 싶다. 아마도, 기독교 상담학계에 손꼽힐 만한, 선물 같은 책이 되리라 믿는다. 제목 그대로 “구조화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를 한 권에서 다루고 있는데, 전문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이 책을 통해 기본 개념을 세우고 정리하여 실제 임상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 책 한 권을 잘 습득하면, 집단상담을 진행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특별히 한국에서 상담의 영역은, 개인 상담 위주로 발전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사회가 더 발전하고 복잡해질수록 개인 스스로만 상담의 대상이 아니며, 집단과 공동체가 간과되어서는 상호 협력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는 게 정설이 되었다. 따라서 집단과 공동체에 대한 상담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그래서 이런 문제의식을 느끼고 아직 배움에 있는 상담학도는 물론 일선 상담가들에게도 이 책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특별히 구조화 집단상담에 관한 교재와 자료가 부족한 국내 상황에, 이 책에 수록된 100가지 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집단상담이 필요한 곳이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자료다.



이 책은 상담(심리)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을 위해 개설된 “집단상담”과목의 교재로 집필하였다가 내용을 다듬어 『구조화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라는 제목의 단행본으로 출간하게 되었다. 국내에 집단상담학자들에 의해 저술된 단행본 또는 번역서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집단상담의 유형도 크게 두 가지, 즉 ‘구조화 집단상담’과 ‘비구조화 집단상담’으로 나눌 때, 구조화 집단상담에 대한 저서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또 구조화 집단상담은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핵심이며 프로그램은 일종의 소모품과 같은 것이어서, 많은 상담자가 프로그램 자료에 목말라하며 이를 요청하는 경우가 항상 있었다. 따라서 필자는 구조화 집단상담을 실시하고자 구상하는 집단상담자들을 위해 바른 지침과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 저자 서문 중에서
‘집단’(group)이라는 용어는 우리 사회에서 흔히 사용하는 말로, 같은 유형의 사람들이 모인 단체라고 쉽게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노동자들이 모이면 ‘노동자 집단,’학생이 모이면 ‘학생 집단,’교사들이 모이면 ‘교사 집단,’정치인들이 모이면 ‘정치인 집단,’여성들이 모이면 ‘여성 집단’이라고 부른다. 그것을 ‘집단’이라고 부르는 것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집단상담에서는 이런 유형의 모임을 ‘집단’이라고 하지 않고 ‘집합체’라고 부른다. 즉 집단상담에서는 집단과 집합체에 대하여 각각의 정의와 개념의 차이가 있는 단어로 보고 이를 구분한다.
p. 13

구조화 집단은 집단 상담자가 집단상담의 목표와 과정, 방법, 프로그램 등을 사전에 설정해놓고 집단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형태를 의미한다(Roush, 1987). 구조화 집단상담이 처음으로 집단상담에 사용된 것은 1950년 T-집단이며, 1960-70년대에 게슈탈트치료가 구조화 프로그램에 많은 자원을 제공해 주었다(Yalom, 2005). 후에 다양한 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Manford, 1998). 구조화 집단상담은 집단 상담자가 집단의 목표와 과정, 내용(프로그램), 절차 등을 체계적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집단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형태이다.
p. 28

집단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가운데 하나는 응집(cohesiveness)이다. 응집은 집단에 참여하고자 하는 집단원의 동기의 정도, 집단에 대한 매력과 애착을 나타내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Zipora Shechtman, 2007). 응집이 안 된 집단원으로 구성된 집단은 마치 모래알을 모아 놓은 것과 같다고 비유할 수 있다. 응집을 설명하는 가장 짧고 명료한 것은 ‘관계,’‘결속력’이라는 단어이다. 즉 집단원 간의 관계가 서로 밀접한 상태에 있으면 응집이 잘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집단 응집은 집단원 간의 ‘단체 정신’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다른 용어로는 ‘집단성’(groupness), ‘우리 의식’(we-ness) 또는 ‘우리 감정’(we-feeling)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응집은 집단과정 처음부터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집단이 응집되기 위해 집단원 각자 신뢰하는 마음으로 진실된 자기노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p. 65

현대 사회는 인간 소외로 대변될 수 있다.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라는 이름으로 컴퓨터 또는 기계와의 접촉 빈도가 인간관계 빈도보다도 훨씬 높은 기계적 사회가 되었다. 실존적 인간관계에서만 얻을 수 있는 감정의 나눔, 따뜻함, 지지, 이해는 없어지고 인간관계의 필요성도 약화하여 소외가 극심해지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인간 소외 현상은 정형화된 조직 속에서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찾지 못하는 데서 온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인간을 사랑하고 인간에게 관심을 두기보다는, 오히려 인간을 경계하며 자신만 잘 살면 된다는 이기주의적인 생각으로 가득 차 있다. 때로 다른 사람을 받아들인다고 할지라도 그것은 상업적이고 사무적인 관계의 범위 내에서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런 현실 속에서 다른 사람을 불신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자신도 비인격화되어 자아상실과 자기소외의 결과를 자초하는 것이다.
p. 106

집단상담의 분명한 치료적 요인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집단원 간의 상호작용이다. 피드백을 통해 집단원 서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고 문제의 보편성을 확인하고 재정립하는 것이 치료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전에 가져야 하는 과정은 바로 충분한 자기노출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노출(self-disclosure)은 다른 용어로 ‘자기표출’‘자기공개’또는 ‘자기개방’이라고도 하는데, 이 용어들은 모두 같은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개념은 시드니 조랄드(Sidney M. Jourard, 1959)에 의해 상담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p. 146

이 프로그램은 새로 형성된 집단에서 짧은 시간에 서로를 쉽게 이해하고 인간관계를 쉽게 맺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친밀감 형성을 위해 서로 간의 서먹한 감정 깨뜨리기(아이스브레이킹[ice-breaking])를 유도하여 집단원 간에 쉽게 말문을 열고 경계를 해소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상담 초기에 집단에서 낯선 집단원과 비교적 쉬운 방법으로 빨리 친근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질문의 내용을 집단에 알맞게 바꾼다면, 이미 알고 있는 집단에서도 집단원 간에 서로를 더욱 잘 알 기회가 되고 또한 대화의 계기도 마련해 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집단원 간의 긴장감 해소와 동시에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말문을 열어 자기노출의 기회를 얻도록 한다.
p. 214
저자 서문

제1부 구조화 집단상담의 이론
제1장 집단 이해
제2장 집단 응집
제3장 집단과 리더십
제4장 집단상담 이해
제5장 집단상담 방법
제6장 집단상담의 자기노출
제7장 피드백 163
제8장 집단상담의 문제 172

제2부 구조화 집단상담의 실제
1. 서명 받기
2. 이름과 별명
3. 인디안 별명
4. 소개하기
5. 경험하고 싶은 것, 피하고 싶은 것
6. 불이 나면…
7. 갈등
8. 그림 설명
9. 컴플렉스와 위장
10. 나는 누구인가?
11. 여덟 가지 사람
12. 아홉 가지 열매
13. 꽃 이름과 꽃 선물
14. 함께 하고 싶은 일/함께 가고 싶은 곳
15. 소개하고 싶은 사람
16. 하얀 거짓말
17. 나 때문에 피해 본 사람
18. 능력
19. 상처받은 마음, 상처 준 마음
20. 가치 구입
21. 내게 필요한 것
22. 자기 자랑
23. 마지막 하루
24. 유언
25. 유산 분할
26. 인생 그래프
27. 얻은 것과 잃은 것
28. 주고받는 것
29.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
30. 분노
31. 성욕 처리
32. 심리·정서적 거리
33. 소지품 소개
34. 성격 분석
35. 인생의 단면
36. 습관
37. 오용과 남용
38. 인간관계의 십계명
39. 하나님은 누구신가?
40. 잘못된 생각
41. 용서해 본 일, 용서받아 본 일
42. 선택받은 일/선택받지 못한 일
43. 과도한 반응과 증거 검증
44. 고민
45. 지도자의 자질과 자격
46. 나와 제일 가까운 것
47. 다른 사람 자랑하기
48. 상대방의 장점
49. 좋은 친구
50. 꿈이 바뀐 이유
51. 양가감정
52. 후회
53. 위약 효과
54. 카인적 컴플렉스
55. 마슬로우의 욕구단계
56. 역설
57. 인간관계 비법
58. 열등감
59. 두려움의 처리 방법
60. 역할극
61. 신원조회
62. 광고 홍보
63. 첫 인상
64. 연상법
65. 피해
66. 나쁜 짓
67. 지난 한 주간의 감정
68. 공통점 찾기
69. 자기대화
70. 의무의 감옥
71. 우월감
72. 생각의 지우개
73. 문상객
74. 하고 싶은 일
75. 시각장애인 이해
76. 이유 설명
77. 좋은 영향, 나쁜 영향
78. 영향 받은 것
79. 절정 경험
80. 절대 권력자
81. 선한 일
82. 껍데기
83. 오해
84. 유혹
85. 이분법적 생각
86. 조건적인 생각
87. 보복적인 생각
88. 과잉일반화 생각
89. 부정적인 생각과 심리적 단서
90. 마음의 상태 가설(SOM)
91. 인지 3제
92. 당위적인 생각
93. 데이트와 결혼 상대
94. 변장된 축복
95. 인내하지 못한 일
96. 공포대상과 체계적 둔감화
97. 핵심신념(스키마)
98. 인지타당성 기준
99. 지금이라도 하고 싶은 말
100. 메갈레 그노시스

부록
부록 1 집단상담 참여지침
부록 2 집단상담 지도지침
부록 3 비밀 보장 서약
부록 4 집단상담 참여서약

참고문헌
전요섭
학력
- 성결대학교(신학전공)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수료) 및 대학원(기독교교육전공)/ 석사
- 미국 Oral Roberts University 신학대학원 (목회상담전공)/ 박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상담심리전공)/ 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상담심리전공)/ 박사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578 심리학적연구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치료기법(욕구, 감정, 신체, 환경, 언어자각, 실연, 현실검증, 빈의자기법, 직면, 과…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02 1 2160
577 심리학적연구
가족치료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02 0 888
576 심리학적연구
다중지능이론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01 0 663
575 심리학적연구
일반상담과 목회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30 0 692
574 심리학적연구
대상관계이론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30 0 736
573 심리학적연구
이마고 부부치료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30 0 909
572 심리학적연구
정신분석이론과 지그문트 프로이트 | 무의식 전의식 의식 1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30 1 1530
571 심리학적연구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불안이 만들어내는 착각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30 1 1378
570 심리학적연구
전기경련요법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9 0 704
569 심리학적연구
다미주신경이론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8 0 1027
568 심리학적연구
인지치료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5 0 1061
567 심리학적연구
게슈탈트 치료 - 주요개념 및 치료과정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5 0 1057
566 심리학적연구
강박적인 그리스도인 2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4 1 1390
565 심리학적연구
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릴까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4 1 1581
564 심리학적연구
공정하다는 착각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291
563 심리학적연구
당신의 분노는 무기가 된다.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0 814
562 심리학적연구
수용적 미술치료에 기초한 명화 감상 미술치료 1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587
561 심리학적연구
스트레스 다스리기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348
560 심리학적연구
낭만적 사랑의 심리학 1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350
559 심리학적연구
마음처방전 1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1503
558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1284
557 심리학적연구
너무 신경썼더니 지친다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7 1 1272
556 심리학적연구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726
555 심리학적연구
이젠 내 힘으로 공부할 수 있어요 1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1283
554 심리학적연구
부부문제로 꼼짝 못하는 사람들에게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683
553 심리학적연구
당근과 채찍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1574
552 심리학적연구
상처주지않고 비판하기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1341
551 심리학적연구
z세대 부모를 위한 SNS심리학 1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1480
550 심리학적연구
이단에 빠진사람들의 정서와 심리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1278
549 심리학적연구
젊은 ADHD의 슬픔 1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2 1 1367
548 심리학적연구
하버드 회복탄력성 수업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1499
547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참으려고만 할까?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1250
546 심리학적연구
아이는 왜 내 말에 상처 받을까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1328
545 심리학적연구
그럴수도 있지 2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1379
544 심리학적연구
엄마표 마음처방전 (0세부터 12세까지 우리 아이 심리학)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1395
543 심리학적연구
스위치_손쉽게 극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행동설계의 힘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1410
542 심리학적연구
설득의 심리학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0 775
541 심리학적연구
청소년을 위한 진로상담 이론과 실제 1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1566
540 심리학적연구
사이코패스는 일상의 그늘에 숨어지낸다. 1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8 1 1307
539 심리학적연구
아들러 심리학 입문(오늘을 살아가는 무기, 용기의 심리학)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7 1 1438
538 심리학적연구
신이 된 심리학 2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1487
537 심리학적연구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1403
536 심리학적연구
기독교가족치료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1378
535 심리학적연구
정신과 의사에게 배우는 자존감 대화법 3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1352
534 심리학적연구
우울증, 슬픔과 함께 온 하나님의 선물 2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1417
533 심리학적연구
EQ 감성지능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1686
532 심리학적연구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2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26 1 1382
531 심리학적연구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2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1494
530 심리학적연구
가르치고싶은 엄마 놀고 싶은 아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30 1 1301
529 심리학적연구
회복력 수업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9 1 1339
528 심리학적연구
가짜감정 2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1428
527 심리학적연구
내가 예민한게 아니라 네가 너무한 거야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1346
526 심리학적연구
핵심감정 1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3 1 1479
525 심리학적연구
심리학과 목회상담(Handbuch psychologie und seelsorge)_Michael Dieter…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1286
524 심리학적연구
깊은분노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1277
523 심리학적연구
새터민 아동을 위한 교육멘토링 1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1 1249
522 심리학적연구
남자아이 심리백과 1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1309
521 심리학적연구
레즈비언 혁명 1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1341
520 심리학적연구
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 2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1200
519 심리학적연구
스키너의 심리상자 문열기 1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1316
518 심리학적연구
당신이 옳다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1201
517 심리학적연구
감정코칭 1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1414
516 심리학적연구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4 1 1475
515 심리학적연구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2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2 1 1330
514 심리학적연구
행복의 기원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1505
513 심리학적연구
아프면 아프다고 힘들면 힘들다고 외로우면 외롭다고 말하라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721
512 심리학적연구
프레임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794
511 심리학적연구
화내는 부모가 아이를 망친다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706
510 심리학적연구
우리들의 MBTI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0 641
509 심리학적연구
오은영의 화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7 0 569
508 심리학적연구
인간 이해와 상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9 1 1242
507 심리학적연구
영혼을 생기나게하는 영성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5 0 722
506 심리학적연구
마음 읽기_황상민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1 1315
505 전통적연구
성경으로만 하는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3 0 682
504 심리학적연구
저는 심리학이 처음인데요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613
503 심리학적연구
틱증상, ADHD, 발달장애 가정에서 치료하기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687
502 심리학적연구
매우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책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667
501 심리학적연구
은혜로 사는 부부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1 0 693
500 심리학적연구
더 해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0 0 688
499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상담자를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의 과정과 실제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1431
498 심리학적연구
사람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1550
497 심리학적연구
불안한 마음 괜찮은걸까?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5 0 834
496 심리학적연구
크리스천 노인상담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5 0 718
495 심리학적연구
격려를 통한 영적성장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4 0 703
494 심리학적연구
설득의 심리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3 0 624
493 심리학적연구
미움받을 용기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3 0 685
492 심리학적연구
하나님 저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0 556
심리학적연구
구조화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누구나 쉽게 집단상담을 할 수 있는 방법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0 717
490 심리학적연구
관계의 기술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1 0 662
489 심리학적연구
상담론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598
488 심리학적연구
Z세대 부모를 위한 SNS 심리학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712
487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을 만나 행복해졌다 계절풍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755
486 심리학적연구
내 안의 어린아이가 울고 있다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0 643
485 심리학적연구
코로나블루 긴급처방전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0 688
484 심리학적연구
홀로서기 심리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0 703
483 심리학적연구
예수님 마음담기 빛소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0 666
482 심리학적연구
상담학 개론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4 0 581
481 심리학적연구
대상관계상담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3 0 728
480 심리학적연구
두려움을 느낄때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650
479 심리학적연구
엄마와 딸의 심리학 꿈꾸는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