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일의 잘못으로 불안해질 때
그동안의 일들을 다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걸 자세히 보지 않고 전체적으로 보기 때문에 전반적인 괴로움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렇게 생긴 두려움은 불이 퍼져가듯이 점차 더욱 커질 수 있으니 불안증이 되지 않도록 이전에 무엇을 했고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하겠다는 구체적인 마음의 준비가 있어야 하겠습니다. 그러면 그 일을 하려는 마음이 더 커져서 불안이 되지 않고 소망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상담치료 속에서 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불안 상담과정
1. 자신의 불안한 마음이 왜 생기는지를 돌아본다.
2. 그 불안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해서 그런지 혹은 무엇인가를 못 해서 그런지를 구별한다.
3. 그럴 때 감정 상태가 구체적으로 어떤지를 정리해 본다.
4. 그 감정 속에서 원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를 생각한다.
5. 이제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하지 말고 자신이 할 수 있고 해야 하는 것을 찾을 때 마음이 어떤지를 살펴본다.
#소원상담센터 원장, #불안증, #과거의일들, #상담치료
https://swcounsel.org/methods/152
https://swcounsel.org/register4/1133
*너무 불안해서 죽고 싶을 때
불안이 심하니 망상도 커지고 더 나아가서는 ㅈㅅ충동도 강해 보입니다. 불안의 악순환이 더 큰 삶의 포기로 이어지게 만듭니다. 그 불안을 해결해서 평안함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 약물치료로는 어려우니 상담치료를 통해서 자신의 인생의 의미와 앞으로의 목표와 비전 등을 정리해 보면 마음의 안정과 현실인식을 할 수 있습니다.
다음 불안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자신의 불안한 마음이 왜 생기는지를 돌아본다.
2. 그 불안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해서 그런지 혹은 무엇인가를 못 해서 그런지를 구별한다.
3. 그럴 때 감정 상태가 구체적으로 어떤지를 정리해 본다.
4. 그 감정 속에서 원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를 생각한다.
5. 이제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하지 말고 자신이 할 수 있고 해야 하는 것을 찾을 때 마음이 어떤지를 살펴본다.
#원장, 불안증
*불안증인지 공황장애인지 잘 모를 때
불안장애로 보입니다. 공황장애는 숨을 못 쉬고 손발 떨리는 등의 심각한 신체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불안장애로 이해하셔서 불안하다고 생각되면 그 이유를 찾아야만 합니다. 이유를 해결해야지 증상만 없어지게 하려면 계속 증상과 씨름하게 됩니다. 안 그러면 그 다음 단계가 공황장애입니다. 그전에 마음이 평안하지 않은 이유를 생각하고 그 이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진행하면 해결될 수 있습니다. 필요하면 상담을 받아보세요.
1. 자신의 불안한 마음이 왜 생기는지를 돌아본다.
2. 그 불안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해서 그런지 혹은 무엇인가를 못 해서 그런지를 구별한다.
3. 그럴 때 감정 상태가 구체적으로 어떤지를 정리해 본다.
4. 그 감정 속에서 원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를 생각한다.
5. 이제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하지 말고 자신이 할 수 있고 해야 하는 것을 찾을 때 마음이 어떤지를 살펴본다.
*불안증에 강박증이 같이 생겼을 때
불안장애에 강박증상이 함께 왔습니다. 공부를 하기는 하는데 왜 하게 되었는지 목표가 무엇인지 왜 이해가 안 되는지에 대해서 답을 찾을 수 없으니 답답해지면 불안과 강박이 찾아오는 것입니다. 나름의 계획과 목표가 있고 어떻게 우회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조급해지고 답답해지고 한계에 이른다는 생각을 자꾸 하게 되면 신체로 나타나서 지금의 증상이나 아니면 더 심한 증상이 생깁니다. 약물복용 보다는 마음을 바꾸는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으니 다음의 과정을 참고해서 상담을 생각해 보세요. 상담이 아니라면 지인이나 가족에게 가능한 자기 마음을 오픈해보세요. 말하면서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자신의 불안한 마음이 왜 생기는지를 돌아본다.
2. 그 불안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해서 그런지 혹은 무엇인가를 못 해서 그런지를 구별한다.
3. 그럴 때 감정 상태가 구체적으로 어떤지를 정리해 본다.
4. 그 감정 속에서 원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을지를 생각한다.
5. 이제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하지 말고 자신이 할 수 있고 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6. 그럴 때 마음이 어떤지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