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해의 네 가지 과정 중 자기에게 제일 약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선택하고 그 이유를 기록하기
- 자료수집시 전제의 문제
성경적 상담의 방법에 대해 이제 막 배우고 있는 저로서는 어느 부분이 약하고, 어느 부분이 강한지 판단하기가 애매합니다. 아마 실제적인 상담 안으로 들어가보면 이해의 네 가지 과정 중에서 자기의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이 보다 선명하게 드러날 것 같습니다. 지금 보아서는 솔직히 모든 부분이 약한 것 같은데 '자료수집시 전제의 문제'를 제일 약한 부분으로 선택한 것은 제가 어떤 상황이나 사람에 대해 미루어 짐작하는 '예단'을 잘 하는 편이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많은 경험상 예단이 위험하고 섣부른 판단임을 알지만 한동안 저는 그것을 '통찰'이라 여기며 내가 보는 것이 다 인양 단정짓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연쇄적으로 '질문을 통한 자료수집 과정'도 어려울 것이며 '자료를 성경적으로 조직함'도 어려웠을 것입니다.
2) 이해의 네 가지 과정 중 자기에게 제일 강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선택하고 그 이유를 기록하기
- 자료수집의 목표
이 부분이 가장 강한 부분이라고 이야기 하기 부끄럽지만 이 부분을 선택한 이유는 자료수집의 목표가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에 끝나지 않고 그의 인격을, 마음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더 나아가 자기 인식과 자기 이해를 돕고 결국 그의 성경적 자기이해가 향상되기까지 한다는데 강력하게 동의하기 때문입니다.
답변하시면 포인트 3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포인트 100점 (채택 0 + 추가 100) 을 드립니다.
자신의 약한 점과 강한 점을 찾게 하는 것의 의미는 단순히 약한 부분과 강한 부분을 찾게 하는 것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서 여러가지 면을 스스로 돌아보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자신을 돌아보는 것은 상담자로서 스스로를 성찰하게 하는 것입니다. 앞으로도 자신이 아는 것과 할 수 있는 것을 늘 돌아보려고 할 때 더욱 발전될 것입니다. 약한 부분이 강한 부분이 되고 강한 부분이 또한 약한 부분이 되기 때문에 단순한 참고로만 생각하시고 더욱 자신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시면 좋겠습니다.
전제의 문제는 방향의 목표로 잘 해결하시면 되겠습니다. 전제 자체가 한 사람을 비관적으로 부정적으로 보게 만들기 때문에 하나님안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늘 생각하시면 더 좋은 상담자의 자질을 갖게 되실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 상담간사님들과 지금도 항상 나누는 목표입니다. 그런 마음이 없다면 상담을 진행할 수가 없습니다. 사울이 바울 될 것을 믿으며 지금 사울이 내일의 바울 되리라는 소망속에서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니 그점을 굳게 붙드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