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1 상담 방법론의 “사랑하라”의 각 단계별 예시
 
**G는 최근 딸이 사귀고 있는 결혼 상대자인 청년을 만나게 되었는데 그 외모와 능력이 맘에 들지 않아 극심한 반대를 했다. 그 과정 가운데 딸과의 관계가 악화 되고, G는 이 모든 것을 무능한 남편 탓으로 돌리고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괴로워하는 상황이다**
 
a.     그리스도를 모델로 하는 관계성립기술
à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죄인 되었을 때 이 땅에 오셔서 구원 하셔서 하나님의 자녀로 성숙에 이르게 하심을 인식한다. 따라서 G 역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진정한 변화의 모습이 가능하리라는 기대와 감사를 갖고 관계를 맺는다.
 
b.     목적이 있는 용납
àG는 그 청년의 외모와 능력에 대해 멸시와 비난의 언어를 쏟아 내어, 듣기가 민망하지만 상담자는 그 모든 것을 용납하고 들어준다. 그것은 하나님이 의롭지 않은 우리를 의롭다고 여겨주시고 자녀 삼아 주셨으며, 변화 시켜 주셨으므로 G에게도 그 하나님을 만나면 얼마든지 변할 수 있는 소망이 있기 때문이다.
 
c.     성육신적인 관계 형성
à 우리 역시 G 처럼 타인을 비방하고 멸시하는 죄인이었을 때, 예수님께서 성육신하셔서 그 죄를 사해 주셨다. G의 삶 속에서도 하나님께서 어떻게 은혜를 베푸실지 기대하며 관계를 형성한다.
 
d.     그리스도와의 동일시
à G에게 하나님의 은혜가 절실히 필요한 것처럼, 상담자 또한 죄의 유혹 가운데 살아야 하는 연약한 존재로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함께 하나님을 바라 보며, 하나님의 은혜를 간구한다.
 
e.     진입구
à 상담자가 질문한다. 
“G께서는 그 청년을 보자 마자 따님이 당신처럼 고생스러운 결혼생활이 될 까봐 불안함과 염려가 확~ 밀려 오니까 속도 상하고 화도 나셨나봐요?” 
이렇게 질문하면 상담자가 만족스럽지 못한 결혼 생활과 그 딸의 결혼생활에 대한 염려와 두려움을 알아 준다는 생각에 진입구가 열릴 것으로 예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