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주의] 기독교상담을 위한 신경과학의 실천적 함의



발행기관 한국실천신학회 

간행물신학과 실천 KCI 등재 

통권제77호 (2021.11)

페이지pp.377-404

저자 현상규

언어 한국어(KOR)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02707

 


6,700원 구매하기 인용하기 관심논문등록
 
초록 
 
영어 
 Recently the newly developed discipline of neuroscience has provided a new perspective on psychological problems and useful information for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The human brain's neuroplasticity is viewed as the basi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employed across various theories. Human begins are in nature pursuing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in this enterprise the social brain plays a pivotal role in executing and regulating human relational needs. The human brain is a biological organism that is very sensitive to a variety of external stimuli, especially the relational experiences of interactions with the primary caregivers. In particular unfavorable interactions repeatedly taking place between the child and caregiver negatively affects the brain's structure and function, thus hindering the smooth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hemisphere and upper and lower regions in the brain. As a result, the child develops a pathological cognitive and emotional schematic and personality structure, making it difficult to form healthy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and to lead a satisfying life. In this regard, neuroscience-informed psychotherapy is a dialogic process that brings about neuron-level changes, along wit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by revitalizing the social brain. Here it is crucial that the counselor can provide his client with a new typ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is therapeutic relationship, the Christian counselor is to view his clients as bearing God's image and provide them valuable opportunities for "correctional relational experiences" characterized by genuine acceptance, positive regard, and empathic understanding. In such a safe and holding environment, the client is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counseling process with hope for the change, thus obtain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tegration along with the integration of the brain. To achieve such therapeutic changes, the task of Christian counselors is to deepen the knowledge of human beings and to improve counseling techniques by adding neuroscience-providing information to their biblical view of humans. The counselor's profound understanding of neuroscience and clinical ability to utilize it will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to reveal God's creativity and honor God by bringing psychological and spiritual transformation to the client. 

한국어 
최근 신경과학이 제공하는 뇌에 대한 정보와 이해는 심리적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그에 따른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뇌의 신 경가소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상담의 치료적 개입을 통한 심리적 변화와 뇌의 신경 학적 변화 간의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어, 신경과학은 심리치료에서 소중한 자 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추구 하는 존재로서, 사회적 속성을 가진 뇌는 인간의 관계적 욕구를 집행하고 조절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인간의 사회적 뇌는 외부의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물학 적 유기체로서, 특히 주 양육자들과의 건강하지 않은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관계 경험은 신경학적 수준에서는 뇌의 구조와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뇌의 좌반구와 우반구 간 그리고 상위 영역과 하위 영역 간의 순조로운 연결과 협력을 방 해한다. 그 결과 내담자는 병리적인 인지정서적 도식 및 성격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삶의 전반에서 만족과 행복을 경험하 지 못하게 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한다면, 심리치료는 내담자에게 이전과는 다른 새로 운 유형의 대인관계를 제공하여 사회적 뇌를 재활성화시킴으로써 뉴런 차원의 변화와 심리정서적 변화를 일으키는 치료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치료적 관계에서 기독 교상담자는 내담자를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소중한 존재로 인식하고 온전한 수용, 존중, 공감적 이해를 보여줌으로써 ‘교정적 관계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로 인해 내담자는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상담과정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게 되면서 뇌의 통합과 함께 심리정서적 통합을 성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치료적 변화 를 이루기 위해서는 기독상담자는 성경적 인간관의 기초위에 신경과학의 지식과 정보 를 추가하여 인간이해에 대한 깊이를 더하고 상담기술과 활용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신경과학에 대한 온전한 이해와 활용능력은 내담자에게 뉴런수준의 변화와 심리적 그 리고 영적인 변형을 가져옴으로써 하나님의 창조성을 드러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 는 소중한 자원으로 사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대인관계와 뇌의 발달
1. 관계적 존재로서의 인간
2. 애착경험과 뇌 발달
III. 신경과학과 기독교상담
1. 신경가소성의 신학적 의미
2. 연결을 원하는 뇌
3. 치료관계: 신경망의 활성화를 위한 필수조건
4. 통합의 길
5. 기독교상담에서의 실천적 함의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기독교상담 신경과학 신경가소성 치료관계 영혼돌봄 Christian Counseling Neuroscience Neuroplasticity Therapeutic Relationships Soul Care


저자
현상규 [ Hyun, Sang-Kyu | 백석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상담 ]
발행기관
발행기관명 한국실천신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Theology] 설립연도 1997 분야 인문학>기독교신학 소개 본회는 전국 각 신학대학 및 각 신학교 실천신학 교수 및 실천신학을 전공한 목회자들이 함께 모여 순수한 학문적인 연구와 인격적인 친교를 도모하며, 실천신학의 학술정보를 교류함과 동시에 교회와 지역사회 및 국내외 신학교육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bowjesus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4-06 (수) 14:22 2년전
수정사항

-제목만 이미지로 넣을 것.
주소 추천 0
bowjesus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4-16 (토) 23:20 2년전
완료
주소 추천 0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718 신학
[논문] 예배는 신앙을 강화한다 - 예배 태도로서 ‘신앙고백적 사모함’을 중심으로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5 0 516
717 신학
[논문] 기독교대학 채플의 다양성에 접근하는 한 시도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5 0 502
716 6심층유형
[논문] 기독교 용서상담에서 피해자의 분노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5 0 571
715 f통찰해석
[논문] 언택트 시대의 관계단절과 Harry Emerson Fosdick의 상담학적 설교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5 0 599
714 신학
[논문] 신천지 이탈 청년들의 적응에 관한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0 0 498
713 신학
[논문] 행복과 건강문화에 대한 개혁주의 상담학적 고찰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0 0 498
712 6심층유형
[논문] 성인 아이의 동반의존 경험에 관한 단일 사례연구: 기독교 상담 관계 중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0 0 520
711 a적용해석
[논문] 찰스 거킨의 이야기치료에 근거한 이혼위기 부부상담의 치료적 적용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0 0 550
710 f통찰해석
[논문] 교회 상담에서의 정신장애를 위한 성경적 상담의 적용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0 0 509
709 e분석해석
[논문] 현대 고통 담론에 대한 성경적 고찰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482
708 3선악유형
[논문] 동성애와 차별금지법에 대응하는 설교 방안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560
707 b관점해석
[논문] 온라인 교회의 합당성에 관한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524
706 b관점해석
[논문] 현대사회 변화에 따른 성경적 상담의 방법:성경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567
705 a적용해석
[논문] 기독교 중·노년기 재혼부부의 부부친밀감 형성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580
704 f통찰해석
[논문] Lewin의 “행동방정식”과 생각 모델(model)에 대한 고찰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5 0 535
703 6심층유형
[논문] 커플 관계에서의 질투망상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5 0 631
702 3선악유형
[논문] 내담자가 지각한 성경적상담의 효과 요인에 관한 단일 사례 연구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5 0 596
701 신학
[논문] 기독교 상담사례집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5 0 520
700 c도덕해석
[논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회복을 위한 12단계 프로그램 개발 효과성 연구: 기독 청소년을 중심으로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5 0 542
699 [공지]
성경적 상담 문헌검색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3 0 636
698 [공지]
문제이해(6가지 유형)와 해결방법(6가지 해석)으로 분류합니다.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3 2 598
697 심리학
상담연구방법론 (학지사, 2019)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17 0 619
696 심리학
상담연구방법론(학지사, 202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17 0 565
695 a적용해석
성경적심리치유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02 0 573
694 b관점해석
당신의 상담을 돌아보라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02 1 573
693 심리학
심리학 도서 목록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0-25 0 617
692 a적용해석
매일 행복한 부부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13 1 560
691 b관점해석
Help and change follow a path but not a script 1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21 0 1073
690 심리학
Help and change follow a path but not a script 1 박인혜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5-21 0 1318
689 혁신주의
Is Your Assurance under Assault? by J. ALASDAIR GROVES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27 0 1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