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뉴
  • 새글
  • 접속자(508)
  • |
  • 로그인
  • 회원가입

[e분석해석] [논문] 현대 고통 담론에 대한 성경적 고찰



현대 고통 담론에 대한 성경적 고찰 = A Biblical Review of Modern Discourse on Pain

http://www.riss.kr/link?id=A108372251

  • 1

    상세조회
  • 1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고통은 인간의 피할 수 없는 실존적 문제이다.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고 하나님이 세상을 운행하신다면, 고통의 문제는 하나님의 존재와 섭리를 떠나서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고통에 대한 현대의 지배적인 담론은 하나님의 존재 및 섭리와 무관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성경적 관점에서 현대 고통 담론을 살펴보고 대안적인 고통 담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현대의 지배적인 고통 담론과 한계를 살펴본다. 이 논문은 현대의 고통 담론이 지닌 병리성을 탈의미화, 고통 기피, 고통의 개인화, 고통 비교, 고통의 영화로 분석한다. 오늘날 고통은 다양한 개입을 통해 제거해야만 하는 무의미한 실재가 되어가고, 이는 고통 기피 현상을 야기한다. 또한 고통은 점차 사적인 문제가 되어가며, 개인화된 고통은 고통 비교를 낳는다. 한편, 탈의미화에 대한 극단적 반작용으로 고통을 지나치게 영화하는 접근도 있다. 이런 고통 담론은 인간의 고통에 대한 전인적 이해의 부족, 기독교 신앙의 관점에서 구원역사 가운데 허락된 서사와 의미의 상실, 고통을 포함하는 인생을 향한 하나님의 섭리를 보지 못하게 하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지면의 한계상 현대 고통 담론 분석에 초점을 두며, 후속 연구로 성경적 고통 담론과 영혼 돌봄 혹은 상담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다룰 것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Pain is an inevitable existential problem for all human beings. If humans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God governs over all creation, the problem of human pain is incomprehensible apart from God's providence and His redemptive history. Modern discourses on pain, however, are mostly formed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God’s existence and providence. Therefore, it is a meaningful project to explore the modern discourses of pain from a biblical point of view and present a biblical alternative. This paper argues that Modern discourses of pain entail meaninglessness, avoidance, personalization, comparison, and spiritualization of it. People today are gradually losing the meaning of pain, and the loss of its meaning makes them lean to avoiding or deleting the experience of pain from their personal lives. Pain is getting considered an individual problem, so it weakens the public responsibility of taking care of the problem of pain in a sociocultural level. The personalized pain, in turn, brings about pain comparison with other people’s pain. There is also an approach to radically spiritualize the experience of pain, losing the earthiness of it. Such discourses have a limitation in the lack of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herefore fail to see its narrative and meaning in God's providence and His drama. A follow-up study of a biblical discourse of pain and i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ul care is suggested.

1.상담챠트
2.신체문제
3.정신구조
4.마음이해
5.변화과정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적립금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e분석해석
[논문] 현대 고통 담론에 대한 성경적 고찰 무료 박인혜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7 0 92
5 e분석해석
[논문] 우울증과 자존감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우울증 치유 연구 : 총신대학교 대학 및 대학원생들을 중심으… 무료 박인혜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30 0 130
4 e분석해석
[논문] 기독교상담적 삼중관계상호작용모델 연구 무료 박인혜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9 0 90
3 e분석해석
[논문] 교회 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사회성 발달 방안으로서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의 유용성 연구 -… 무료 박인혜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27 0 91
2 e분석해석
[논문] 교회 내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사회성 발달 방안으로서 창의력아트 테라피 프로그램의 유용성 연구 -… 무료 박인혜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9 0 108
1 e분석해석
[논문] 가족치료 기법에 관한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mily Th… 무료 박인혜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02 0 10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