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글
  • 접속자(551)
  • |
  • 로그인
  • 회원가입
사례실습 멤버쉽 멤버쉽 회원만 이용가능한 게시판 입니다. 결제버튼을 눌러 신청해주세요.      

[성문제] 성적강박사고인 것 같나요  

<사례>
중1 여자구요 성정체성고민을 하는데 다 범죄 관련된 거라 너무 무서워요 제가 그런 걸까봐요 생식기 반응도 있어서 흥분하는 걸 까봐 불안하고 이 걱정이 끝나면 다음 걱정은 더 크게 오기 때문에 무섭습니다. 지금 제일 걱정하는게 문구점에서 구경하면서 무의식적으로 구경하는데 정신차리니까 제 앞에 어린이가 시끄럽게 굴더군요. 홀려서 따라간걸까봐 무서워요 제가 지금 하는 걱정은 내가 소아성애자고 어린애한테 흥분하는 걸까봐 무서워요 걱정했던 순서들을 나열해볼게요 = 내가 동생에게 손댔었나?,아빠를 내가 이성적으로 좋아하나?,내가 아빠한테 성적으로 흥분하나?,내가 동생에게 성적으로 흥분하나?,내가 엄마한테 성적으로 흥분하나?,내가 소아성애자고 어린이에게 흥분하나? 순서대로 였어요. 이 걱정 할때만 관련된 걸 보면 생식기가 반응하거나 불안하고 그랬어요 엄마한테도 말 했구요 이런 걱정을 왜 나만 하는 것 같은지,왜 나만 이런 고통을 겪게 하는지,왜 아무도 공감을 안해주는지 걱정이네요
 
악순환: 자신이 범죄적인 생각을 하는 것에 대한 죄책감으로 생각을 점검하려하지만 계속 그 생각에 매여 고통스럽다.
선순환: 가족이나 타인을 대할 때 성적인 생각을 하게 되었던 계기나 사건을 돌아보고, 사람을 성적대상이 아닌 소중한 인격이라는 인식의 전환으로 강박적 생각에서 벗어나 관계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진입구: 생각으로도 죄를 짓고 싶어하지 않는 청결한 양심을 회복하기 원하는 마음을 격려하며 생각의 전환을 돕는다. 
답변하시면 포인트 30을 을 드립니다.
1.상담챠트
2.신체문제
3.정신구조
4.마음이해
5.변화과정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8-07 (월) 13:17 9개월전
악순환: 자신이 범죄적인 생각을 하는 것에 대한 죄책감으로 생각을 점검하려하지만 계속 그 생각에 매여 고통스럽다.

=> ~생각을 버리려고 하지만 그 생각으로 인해서 흥분이 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그 생각이 매이고 고통을 겪으면서 또 그 생각을 한다.


선순환: 가족이나 타인을 대할 때 성적인 생각을 하게 되었던 계기나 사건을 돌아보고, 사람을 성적대상이 아닌 소중한 인격이라는 인식의 전환으로 강박적 생각에서 벗어나 관계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 성적인 생각이 아닌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일들에 더욱 집중해서 그 일에 의지를 발휘하면  그 다음에도 그렇게 할 수 있는 자신을 자각하면서 마음의 평안을 갖게 된다. 


진입구: 생각으로도 죄를 짓고 싶어하지 않는 청결한 양심을 회복하기 원하는 마음을 격려하며 생각의 전환을 돕는다.

=> 생각으로도 죄를 짓고 싶어하지 않는 청결한 양심을 회복하기 원하는 마음과 문제의 원인과 핵심을 알고자 하는 마음이 있음을 상기시키면서 마음으로 들어간다.
  블루지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8-07 (월) 19:18 9개월전
악순환: 자신이 범죄적인 생각을 하는 것에 대한 죄책감으로 생각을 ( 버리려고 하지만 그 생각으로 인해서 흥분이 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그 생각에 매이고 고통을 겪으면서 또 그 생각을 한다.)


선순환: (성적인 생각이 아닌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일들에 더욱 집중해서 그 일에 의지를 발휘하면  그 다음에도 그렇게 할 수 있는 자신을 자각하면서 마음의 평안을 갖게 된다. )


진입구: 생각으로도 죄를 짓고 싶어하지 않는 청결한 양심을 회복하기 원하는 마음과( 문제의 원인과 핵심을 알고자 하는 마음이 있음을 상기시키면서 마음으로 들어간다.)

소감: 악순환을 계속하게 되는 흥분이라는 요인이 있음을 인지하게되었습니다. 

선순환에서는 생각을 바꾸어주는게 아니라 자신이 할수 있는 일에 집중하도록 방향을 제시해주는게 생각으로  인한 고통의 해결이 되는구나..를 보게됩니다. 이 부분은 제가 더 배워가야할것 같습니다.  근본적인 생각의 문제는 상담이 진행되어가면서 한걸음씩 다루어야하는 문제일수 있는데 너무 단번에 근본적인 부분을 해결하고 싶어하는 저의 조급함을 볼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진입구도 피상담자의 선한 소원을 알아줄수 있는 안목이 더 생겨야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