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글
  • 접속자(665)
  • |
  • 로그인
  • 회원가입
사례실습 멤버쉽 멤버쉽 회원만 이용가능한 게시판 입니다. 결제버튼을 눌러 신청해주세요.      

[대인관계] 사람들과 대화하는게 두려워요.  

사람들과 대화하는게 두려워요.

중학교 1학년 여학생입니다.
본문부터 말하자면 저는 초등학교 때 소심한 성격, 외모 콤플렉스로 5학년 말까지 친구가 없었습니다. 그러다 5학년 말 때 반에서 활발하기로 유명한 아이가 먼저 다가와주었고, 그 일을 계기로 성격이 외향적으로 바뀌고 자기 관리도 해서 남들처럼 친구 사귀고 평범하게 살고 있다고 생각해요.
근데 요즘 초등학교 때 생긴 트라우마 때문인지 친구들이랑 대화하는게 두렵습니다. 친구들이랑 단톡방에서 카톡을할 때 제가 말을 하고 잠시라도 답이 없으면 미친듯이 불안하고 호흡이 빨라져요. 혹시 내가 뭘 잘못했나, 말 실수를 하진 않았나 평범한 일상에서도 광적으로 친구랑 대화한 내용을 살펴보곤 합니다. 친구랑 자연스럽게 생기는 트러블과 의견 차이도 너무 깊게 생각하고 다시 혼자가 되진 않을까 미친듯이 불안해요. 살짝이라도 친구가 마음에 걸리는 말을 하면 그 말 하나 때문에 나 때문에 많이 화났나 하루에 전부가 불편합니다. 나아지는 방법이 있을까요? 이젠 진짜 사람이랑 대화하는게 두려워요.

 

 

사례답변

 

이제는 친구를 사귀고 생활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예전에 소심한 성격과 외모 콤플렉스로 겪었던 힘든 경험의 원인을 마음으로부터 해결하지 않고 지나쳐 왔기 때문에 지금 친구와의 관계에서 친구의 반응에 점점 더 예민해지고 불안하고 두렵기까지 한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나오기 위해서는 친구의 반응에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만한 대인관계를 맺는데 문제가 되는 '감정'은 무엇이고 그 속에 어떤 '욕구'가 있는가를 깨닫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자신의 약점을 깨닫고 그 약점을 보완하는 다른 노력을 통해서 약점을 오히려 강점으로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이러한 노력을 해 볼 때 친구와의 관계에서 두렵고 불안한 감정의 굴레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문제에서 서서히 벗어날 수 있게 됩니다. 혼자서 시작하기 어려우시면 상담의 도움을 받아 보세요. 아래 해결의 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친구의 말과 반응에 의미를 두는 이유가 무엇인가 생각한다.

2. 그럴 때 어떤 감정이 있는가를 생각한다.

3. 그 감정 속에 어떤 바램이 있는가를 살펴본다.

4. 감정을 일으키는 그 바램에서 얻지 못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그 바램이 아닌 어떤 새로운 의지와 소원을 가질 수 있는가를 생각한다.

5. 그 소원을 가질 때 마음이 어떤 지를 확인한다.

 

#소원상담센터, 대인관계, 스트레스

답변하시면 포인트 30을 을 드립니다.
1.상담챠트
2.신체문제
3.정신구조
4.마음이해
5.변화과정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블루지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6-17 (토) 00:41 11개월전
저는 진짜 잘 모르는 수준이라 사실 뭐라 말씀드려야할지 몰라서 죄송스럽기만 합니다.
그러나 저도 훈련차원에서 한번 시도해봅니다. 맞는지는 모르겠지만요..
피상담자가 중학교 1학년을 감안해볼 때 감정, 욕구를 깨닫는게 쉬울까? 싶은생각도 들구요..
헉생이 스스로를 잘 이해할 수 있게 대인관계에 문제가 되는 감정을 예시를 몇가지 들어준다거나 약점을 보완하려는 노력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지
예를들어준다면(그런데 이런 방법이 본인 스스로 문제를 찾아가는 것을 방해하는 걸까요..) 조금 더 이해가 쉽지 않을까 라고 저는 생각해보았습니다.
그러나 이 방향이 정말 틀릴 수 있기때문에 ㅠㅠ 수정하시라고는 말씀드리지 못하겠습니다. 저의 훈련차원에서 그냥 써보았습니다. 해외에서 이렇게 열심히 하시니 도전이 됩니다!!
  살려대총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6-17 (토) 05:07 11개월전
댓글 감사합니다.^^
저도 아직은 사례답변을 글로 쓸 때 설명 하는데 있어서 제한이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럼에도 내용을 좀 더 줄여서 한 문단에 악순환과 선순환 그리고 방법 제안까지 모두 적어야 하기 때문에
간략하면서도 악순환을 선순환으로 바꾸는 가장 중요한 한 마디를 써 줄 수 있는 그런 실력을 갖추는 날이 오기를 고대하고 있습니다.
  블루지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6-17 (토) 10:41 11개월전
그런거군요! "한 문단에 악순환과 선순환 그리고 방법 제안까지 모두 적어야 하기 때문에
간략하면서도 악순환을 선순환으로 바꾸는 가장 중요한 한 마디!!"  저도 잘 기억하여 연습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6-17 (토) 15:34 11개월전
'자신이 원만한 대인관계를 맺는데 문제가 되는 '감정'은 무엇이고 그 속에 어떤 '욕구'가 있는가를 깨닫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자신의 약점을 깨닫고 그 약점을 보완하는 다른 노력을 통해서 약점을 오히려 강점으로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하나의 표준답변이라서 이걸 계속 쓰기는 어렵습니다. 핵심은 '다시 혼자가 되지 않을까'라는 걱정이자 욕구이고 바뀌어야 하는 방향은 '어떻게 하면 친구를 더 도와줄 수 있을까'라는 의식입니다. 그래서 친구를 잃을 것 같다는 욕구에서 빠져나와서 친구를 도와주려는 소원으로 풍성해질 수 있습니다. 그것을 감안하셔서 선순환의 내용을 바꿔보세요.
  살려대총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6-17 (토) 16:42 11개월전
이제는 친구를 사귀고 생활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예전에 소심한 성격과 외모 콤플렉스로 겪은 힘들었던 경험의 원인을 마음으로부터 해결하지 않고 지나쳐 왔기 때문에 친구의 반응에 점점 더 예민해지고 불안하고 두렵기까지 한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나오기 위해서는 (친구의 반응에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만한 대인관계를 맺는데 문제가 되는 '감정'은 무엇이고 그 속에 어떤 '욕구'가 있는가를 깨닫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자신의 약점을 깨닫고 그 약점을 보완하는 다른 노력을 통해서 약점을 오히려 강점으로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해 볼 때 친구와의 관계에서 두렵고 불안한 감정의 굴레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문제에서 서서히 벗어날 수 있게 됩니다. 혼자서 시작하기 어려우시면 상담의 도움을 받아 보세요. 아래 해결의 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친구의 말과 반응에 의미를 두는 이유가 무엇인가 생각한다.
2. 그럴 때 어떤 감정이 있는가를 생각한다.
3. 그 감정 속에 어떤 바램이 있는가를 살펴본다.
4. 감정을 일으키는 그 바램에서 얻지 못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그 바램이 아닌 어떤 새로운 의지와 소원을 가질 수 있는가를 생각한다.
5. 그 소원을 가질 때 마음이 어떤 지를 확인한다.

#소원상담센터, 대인관계, 스트레스


-----> 친구를 잃을 것 같고 다시 혼자가 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에 불안해하며 친구의 반응에 눈치를 보기 보다는 오히려 어떻게 하면 친구를 도와줄 수 있을까 하는 새로운 의지와 소원을 가질 수 있는 방향을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살려대총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6-17 (토) 21:28 11개월전
이제는 친구를 사귀고 생활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예전에 소심한 성격과 외모 콤플렉스로 겪은 힘들었던 경험의 원인을 마음으로부터 해결하지 않고 지나쳐 왔기 때문에 친구의 반응에 점점 더 예민해지고 불안하고 두렵기까지 한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나오기 위해서는 (친구를 잃을 것 같고 다시 혼자가 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으로 불안해하며 친구의 반응에 눈치를 보기 보다는 오히려 어떻게 하면 친구를 도와줄 수 있을까 하는 새로운 의지와 소원을 가질 수 있는 방향을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해 볼 때 친구와의 관계에서 두렵고 불안한 감정의 굴레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문제에서 서서히 벗어날 수 있게 됩니다. 혼자서 시작하기 어려우시면 상담의 도움을 받아 보세요. 아래 해결의 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친구의 말과 반응에 의미를 두는 이유가 무엇인가 생각한다.
2. 그럴 때 어떤 감정이 있는가를 생각한다.
3. 그 감정 속에 어떤 바램이 있는가를 살펴본다.
4. 감정을 일으키는 그 바램에서 얻지 못한 것은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그 바램이 아닌 어떤 새로운 의지와 소원을 가질 수 있는가를 생각한다.
5. 그 소원을 가질 때 마음이 어떤 지를 확인한다.

#소원상담센터, 대인관계,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