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뉴
  • 새글
  • 접속자(711)
  • |
  • 로그인
  • 회원가입

중독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중독문제는 이 시대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문제입니다. 인터넷중독, 게임중독, 스마트폰중독, 쇼핑중독 등에서부터 알코올중독, 도박중독, 성중독, 마약중독에 이르기까지 경증에서부터 중증에 이르는 폭넓은범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양상이 어떠하든지 간에 중독의 본질은 동일합니다. 그것은 자신이 빠져있는 그 분야가 주는 쾌락이 없는 상태를 견디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보통 사람에게 있어서는 쾌락이 주는 시간보다 쾌락이 없는 시간이 더 많지만 중독에 빠진 사람에게 있어서는 쾌락이주는 시간이 쾌락이 없는 시간보다 더 많습니다. 그래서 쾌락이 없는 시간을 견디기 힘들어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양상 속에서 중독의 본질에 대해서 알아야하는 것은 피상담자가 그러한 쾌락이 없는 상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입니다. 다시 말해서 인터넷을하지 않는 상태, 게임을 하지 않는 상태, 스마트폰을 하지않고 쇼핑을 하지 않는 상태에 대해서 어떠한 감정을 가지고 있고 그럴 때 그 속에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가 중요합니다.  바로 그 감정과 욕구때문에 정상상태로 올라가지 못하고 중독상태로 다시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계속 중독상태에 머무르게 되거나 혹은 더욱심한 상태로 악화되는 것입니다.

중독에 빠졌다는 것은 일반적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는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계속해서 그 일에 몰입하고 반복해서 실행하며 많은 시간을 그속에 매여있게 됩니다. 정상적인 사람들은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삶이 있고 자신의생활이 있으면서 간혹 가다 일부분의 시간만을 할애해서 그 일을 실행합니다. 혹은 하지 말아야 하는 분야에대해서는 전혀 하지 않기도 합니다. 그만큼 중독분야에 대해서 절제하거나 혹은 분명한 금지가 있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중독에 빠진 사람들은 이러한 절제나 금지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안해야하겠다고 생각하면서도 다시 하게 되고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면서도 어느새 하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됩니다. 그이유는 하지 않을 때에 대한 마음의 계획이 없기 때문입니다. 오직 중독행위를 할 때에 대한 마음만 있기때문에 그것을 거부하거나 극복하기가 어려워 집니다.

이와 같은 중독의 본질을 이해하면 그 문제를 어떻게해결해야 하는가는 분명해집니다. 그것은 중독행위에 대해서만 의식해서 그에 대한 거부와 극복를 노력하는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중독행위의 반대행위가 무엇인지를 생각해서 그 반대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배에물이 찬다고 할 때에 물이 들어오지 않는 것만을 막아내려고 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어리석은 생각입니다. 배에물이 들어차는 이유를 찾아서 어디에서 물이 새는지를 알아내야만 합니다. 그 새는 부분을 막아야 비로소더이상 물이 들어차지 않게 할 수 있지 그렇지 않고 그 새는 부분을 찾아내지 못한 상태에서 들어오는 물만 퍼내려고 한다면 결국에는 배는 물에 가라앉고말 것입니다.

성경적 상담에서 마음의 감정과 욕구를 찾는 것은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중요한 해결방법이 됩니다. 그 마음에 생긴 커다란 공허함과 공백을 찾습니다. 성경적 상담은 그것이 바로 중독에 빠진 사람의 죄성이라고 말합니다. 그죄성을 찾아서 그가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며 그가 이루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습니다. 그럴 때그 반대로 나아가서 그가 목표로 해야 하며 그가 마땅히 바라보아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말해줄 수 있습니다. 그렇게할 때에 비로소 자신의 마음의 공허함과 공백을 메울 수 있고 그 다음에 중독에 반대되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노력할 수 있게 됩니다.

모든 중독에 빠진 사람들에게는 중독에 빠지지 않았던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그들에게는 나름의 좋은 소망이 있었고 소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일이 어떤 이유에서든지 잘 되지 않고 실패하며 기대에 미치지 못했을 때 그들은 좌절하고 낙심했습니다. 그래서 순간의 쾌락과 즐거움을 통해서 위로를 얻고자 했습니다. 그결과 반복되는 좌절과 낙심으로 인해 알게 된 쾌락과 즐거움은 더이상 좌절과 낙심이 사라지게 된 다음에도 여전히 남아서 그들을 괴롭히는 것이 된것입니다. 이러한 인과관계를 생각한다면 바로 그 잃어버린 소망과 소원을 찾아서 그것을 다시 일깨워주는것이 너무나 필요합니다.

잠언 13장 12절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소망이 더디이루어지면 그것이 마음을 상하게 하거니와 소원이 이루어지는 것은 곧 생명 나무니라" 성경에서정확히 말하고 있는 대로 중독에 빠진 자들에게는 깨어진 소망이 있고 이루지 못한 꿈이 있습니다. 그것이욕구로 변질되어서 자신의 쾌락만을 추구하게 된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 소망을 다시 기억하고 마음의소원을 다시 찾게 될 때에 그것이 바로 중독에 반대되는 올바른 방향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할 때에 진정한마음의 생명나무를 얻게 됩니다. 바로 이렇게 중독의 문제를 해결할 때에 중독에 빠진 그 사람의 인생을바꿀 수 있습니다. 또한 바로 그러한 사람을 통해서 인간의 마음을 너무나 잘 아시고 그 마음을 변화시키시는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게 됩니다.

1.상담챠트
2.신체문제
3.정신구조
4.마음이해
5.변화과정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85
흉터를 치료하기 위해서 새로운 상처를 내다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25 24 9668
84
회복인가, 변화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30 15 6835
83
황금알을 낳는 거위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8 9555
82
혁신주의 성경적 상담의 다양한 전선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4-24 6 6329
81
해야할 때 해야만 하는 일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5 8121
80
합당하지 않게 성내고 있는 요나(욘 4:4-7)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1 6025
79
한국 교회의 신앙적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성경적 상담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4-30 7 182
78
한국 교회의 성경적 목회상담의 방향성과 나의 역할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5 5811
77
하나님의 뜻을 알지 못하는 선지자(욘 4:1-3)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1 6233
76
피해자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하는 이유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24 5 7082
75
프로이트 사상에 대한 성경적 비판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6 8482
74
트라우마에서 빠져나오는 방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6-17 6 4412
73
코로나 바이러스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성경적인 방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3-26 6 6754
72
진짜 성경적 상담은 무엇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30 22 8740
71
지도가 지형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9 8180
중독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6-06 8 7173
69
정신과적 문제를 성경적상담으로 고칠 수 있는 이유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20 17 8150
68
정신과약을 끊는 방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05 28 18111
67
정신과 약의 한계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17 26 12832
66
자신이 배운 성경적 상담을 언제 활용할 수 있을까?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02 14 7436
65
자살충동이나 자해충동이 있는 사람을 상담하는 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25 8 5706
64
자르는 도구와 붙이는 도구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5 8811
63
인생은 고통의 총량제가 아니라 은혜의 무한제이다. 2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13 4 7001
62
우리는 왜 살아야만 하는가? 무엇을 위해 살아야만 하는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24 20 8747
61
왕진을 간 의사의 이야기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20 7829
60
여러 가지 문제 속에서의 상담방향성에 대한 고찰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30 7 6091
59
심리학적 상담이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가?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7 27 9351
58
심리학적 방법론의 문제점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5 7981
57
심리학과 신학과 연합한다는 것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1 7 644
56
심리학 상담, 기독교 상담, 그리고 성경적 상담 3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09 21 1137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