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글
  • 접속자(858)
  • |
  • 로그인
  • 회원가입

성경적 상담만화 스토리보드: 공황장애



김예희 자매가 그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만화 스크립트
 
궁금이: 제 남자친구가 공황장애라는걸 알게 되었어요. 증상은 사람이 많고 밀폐된 공간을 두려워 하는거 같애요. 근데 제 친구는 제가 이런걸 알고 있고 알려고 한다는거 자체를 꺼려해서 자세하게 물어보지를 못해요. 그래서 스스로 찾아보고 고쳐주고 싶어서 알아보고 싶어요.


상담자: 남자친구의 공황장애에 대해서 걱정하면서 도울 방법을 찾아보고 있다니 심정적으로 많이 동감이 되네요. 어떤 심각한 마음의 고통을 겪은 분들은 정말 그런 증상으로 고통스러워 하고 있지요.

그런 부분을 누군가 이해해주고 도와준다면 그 사람은 점차 더 좋아질 뿐 아니라 그런 고통으로 괴로워하는 또 다른 사람들을 도와줄 수 있을 거에요.

공황장애라는 말자체의 정확한 명칭은 Panic disorder이에요. 다시 말하면 감정이 패닉상태가 되어서 몸에 영향을 미치는 병이지요. 광장공포증, 폐쇄공포증 등등의 두려움은 패닉 상태를 일으키는 몇가지 단초에 불과해요.

정말 중요한 것은 심각한 감정의 괴로움이 몸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에요. 그래서 감정상태가 몸으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황을 개선시켜 나아가야 향후 호전된 상태를 기대할 수 있어요.
이말은 다시 말하면 단지 정신과약으로만 고쳐지는 병이 아니라는 것이에요. 몸의 증상을 잠시 약화시킬 수는 있어도 감정상태가 변화하지 않으면 몸에 주어지는 압박과 스트레스는 더욱 가중될 수 있어요.








궁금이: 그렇군요. 그런데 제가 자꾸 이렇게 캐묻고 도와주려고 하는게 더 본인한테 스트레스가 되고 악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제가 도와주려고 하는게 도움이 되는건지 궁금해요. 제가 정말 꼭 같이 이겨내주고 싶어서 앞으로 힘들면 얘기 하라고 했는데 괜찮을 걸까요?


또 유전적인 이유도 있다는데 이런 공황장애가 완치가 가능 한가요? 아니면 또 극심한 스트레스나 심리적인 압박감으로 인해 또 다시 나타날수 있나요? 주변 사람들이 어떻게 도와주고 어떻게 해 주는게 좋은 걸까요?





상담자: 자, 가스불 위에 압력밥솥을 올려놓았다고 생각해보세요. 뚜껑을 열어 김을 뺄 수는 있어도 밑에 있는 가스불을 끄지 않으면 별다른 소용이 없지요.

그와같이 감정상태를 해소시키기 위해서 해야 할 일은 과거의 어떤 이해되지 않았던 일들이 감정상태를 만들고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해요. 그 사람의 삶 속에 많은 이해되지 않은 일들이 있었는데 그것이 뭉쳐서 감정을 만들고 있는 것이지요. 그런 이해되지 않은 일들이 하나씩 이해될 때에 비로소 감정을 분해하여 사라지게 만들수 있어요.

이런 원리 때문에 남자친구를 사랑하고 진심으로 도와주려고 하신다면 그가 이해하지 못하는 일들이 무엇인지를 함께 나누고 끊임없이 그 일들에 의미를 붙여서 해석해주려고 하세요. 그러면 점차 감정이 생기지 않고 몸에 문제도 사라지게 될 거에요.



유전적인 문제는 생물학적인 원인이 아니라 생활습관적인 원인으로 보는 것이 좋겠네요. 과거 부모님의 생활 환경이 열악했다면 그런 환경으로 인해 영향받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겠지요.

그런 환경이 바뀌지 않는다면 악순환의 영향이 계속 미칠 수 있을 거에요. 악순환의 환경에서 나와서 선순환의 환경으로 새롭게 바꿀 수 있다면 좋겠네요.






궁금이: 네 이제 알겠어요. 앞으로 악순환이 아니라 선순환으로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면 되겠네요. 이제는 항상 친구가 자신의 공황장애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 같아요. 지난번 내가 돈을 빌려달라고 했을 때 불안해 하던 증상은 역시 공황장애때문에 생긴 것이겠지요?


상담자: '그건 당신이 평소에 돈을 안갚기 때문이에요^^;'


1.상담챠트
2.신체문제
3.정신구조
4.마음이해
5.변화과정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85
한국 교회의 신앙적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성경적 상담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4-30 7 155
84
국가적 위기인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성경적 상담의 방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4-29 5 165
83
다시 만나는 사람들, 다시는 안 만나게 되는 사람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1-27 5 389
82
세 가지 성경적 상담이 이 시대에 존재하는 의의와 가치 3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3-11 11 398
81
성경적 상담에 대해서 왜 교회와 목회자는 관심을 갖지 않을까?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0-31 12 513
80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의 혁신주의 성경적 상담(Biblical Counseling)의…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5 2 587
79
미국 웨스트민스터 성경적 상담의 역사와 의미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5 3 604
78
심리학과 신학과 연합한다는 것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1 7 627
77
가족치료 심리상담의 문제점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25 6 1254
76
부모는 자녀를 통해 성숙해지고 자녀는 부모를 통해 성장한다.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24 9 1521
75
트라우마에서 빠져나오는 방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6-17 6 4405
74
소원상담센터의 비전과 목표에 대해서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22 4 5061
73
성경적 상담과 심리학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13 6 5189
72
성경적 상담을 배우시는 분들에게 드리는 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2-14 4 5295
71
내리쬐는 태양과 뜨거운 동풍(욘 4:8-9)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4 5339
70
성경적 상담사들에게 드리는 권면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2-12 1 5570
69
자살충동이나 자해충동이 있는 사람을 상담하는 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1-25 8 5697
68
한국 교회의 성경적 목회상담의 방향성과 나의 역할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5 5792
67
합당하지 않게 성내고 있는 요나(욘 4:4-7)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1 6016
66
여러 가지 문제 속에서의 상담방향성에 대한 고찰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30 7 6075
65
성경적 상담의 관심사는 무엇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11 6 6156
64
하나님의 뜻을 알지 못하는 선지자(욘 4:1-3)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1 6222
63
혁신주의 성경적 상담의 다양한 전선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4-24 6 6311
62
내가 아끼는 것 주님이 아끼시는 것(욘 4:9-11) 3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6 6346
61
도덕적 해석과 통찰적 해석에 대해서 2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3-25 6 6646
60
상담주제 연구보고서: 고통 1 센터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9 6711
59
코로나 바이러스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성경적인 방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3-26 6 6747
58
회복인가, 변화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30 15 6823
57
인생은 고통의 총량제가 아니라 은혜의 무한제이다. 2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13 4 6987
56
피해자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하는 이유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24 5 705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