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뉴
  • 새글
  • 접속자(320)
  • |
  • 로그인
  • 회원가입

강박증, 스스로 매는 족쇄이자 스스로 풀어야 하는 열쇠




강박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확인의 확인을 거듭하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생각속에 매이고 묶이게 됩니다. 그렇게 묶이게 되면 삶속에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따릅니다. 예를 들면 집을 떠날 수가 없고 자꾸 되돌아와서 문이 잠겼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끊임없이 자기 옷매무새를 확인하고 점검하느라 사람을 만날 수가 없습니다. 자꾸만 어떤 사람, 어떤 대상이 생각이 나서 공부를 할 수 없거나 일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면서 계속 매이고 매이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강박증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확인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확인을 하면 할 수록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더 불안해지기 때문에 그것을 포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면 그것을 포기하는 데에 따르는 불이익이 생각납니다. 그럴 때 그 불이익을 포기해야 합니다. 그러면 나타나게 될 여러가지 결과가 생각납니다. 그럴 때 그 결과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비로소 자유롭게 됩니다. 아이러니 하게도 모든 원하는 것, 바라는 것, 기대하는 것을 포기하고 버리고 받아들일 때 비로소 자유를 찾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정말 삶이 망가지고 파괴되고 끝장이 나는가 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그렇게 자유롭게 된 상태에서 다시 올바른 목표와 올바른 가치관을 향해서 나아가면 됩니다. 평생 그렇게 포기하고 버리고 받아들이면서 살라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을 얽매고 있는 것을 풀어버리고자 할 때 그렇게 살아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그럴 때 비로소 마음의 평안을 찾게 되고 삶의 온전한 목표를 알게 됩니다.

강박증으로 괴로워하던 어떤 분은 강력범죄사건의 주범이 혹시 자신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까 걱정하면서 괴로워하였습니다. 자신의 거주지와는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난 범죄사건이었지만 혹시라도 그것이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게 될까봐 걱정하면서 두려워하였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에 시달리면서 삶의 여러가지 면에서 스스로 제한되는 삶을 살았습니다.

그런데 상담을 통해 그 모든 불안함과 강박적인 생각의 핵심에는 어려서 부터 가지고 있던 자신의 안전과 가족의 안전을 지켜야 하겠다는 강렬한 의지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조금씩 그것을 바꾸기 시작했습니다. 단지 소극적으로 지켜야만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적극적으로 목표를 이루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바뀌었을 때에 비로소 밖으로 나가서 생계를 이어가게 되었고 사람들을 만나면서 해야할 일을 할 수 있었습니다.

마음의 평안을 찾는 것은 결코 헛된 일이 아닙니다.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 생각을 바꾼다는 것은 결코 손해보는 일이 아닙니다. 그럴 때 비로소 날개를 달고 날아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강박증이라는 어려운 마음이 변화를 통해 열정과 소망으로 살아갈 수 있고 새로운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약점을 강점으로 바꾸어 놀라운 변화를 이루게 되는 것입니다. 이전에는 가두어 두었지만 변화되었을 때에는 풀어 놓아 다니게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통해 강박증으로 힘들어 하는 분들이 진정한 마음의 변화를 이루게 되기를 바랍니다.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85
상담주제 연구보고서: 고통 1 센터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9 6743
84
우리는 왜 살아야만 하는가? 무엇을 위해 살아야만 하는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24 20 8753
83
코로나 바이러스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성경적인 방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3-26 6 6763
82
고기를 낚아 올리는 방법은 여러가지이나 배가 물 속으로 들어갈 수는 없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5 7918
81
성경적 상담의 관점에서 본 내적치유의 문제점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27 32 11649
80
혁신주의 성경적 상담의 다양한 전선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4-24 6 6344
79
지도가 지형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9 8190
78
'성경적 상담'의 진로에 대한 단상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07 27 8185
77
하나님의 뜻을 알지 못하는 선지자(욘 4:1-3)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1 6238
76
심리학적 방법론의 문제점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5 7986
75
정신과적 문제를 성경적상담으로 고칠 수 있는 이유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20 17 8154
74
합당하지 않게 성내고 있는 요나(욘 4:4-7)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1 6034
73
왕진을 간 의사의 이야기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20 7832
72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12 16 12512
71
내리쬐는 태양과 뜨거운 동풍(욘 4:8-9)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4 5365
70
당근과 채찍의 원리 4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7 10227
69
흉터를 치료하기 위해서 새로운 상처를 내다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25 24 9681
68
내가 아끼는 것 주님이 아끼시는 것(욘 4:9-11) 3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6 6389
67
황금알을 낳는 거위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8 9563
66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WTS, CCEF)의 성경적 상담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2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12 26 12451
65
성경적 상담과 심리학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13 6 5207
64
부모는 자녀의 성장에 따라 다르게 대해야 한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21 7817
63
불신자에게 성경적 상담을 적용할 수 있는 이유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19 21 9561
62
소원상담센터의 비전과 목표에 대해서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22 4 5108
61
병아리의 죽음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8 8349
60
자신이 배운 성경적 상담을 언제 활용할 수 있을까?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02 14 7443
59
한국 교회의 성경적 목회상담의 방향성과 나의 역할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5 5823
58
자르는 도구와 붙이는 도구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5 8815
57
성경적상담으로 정신과약을 끊게 하는 과정은 무엇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04 21 8202
56
가족치료 심리상담의 문제점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25 6 128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