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뉴
  • 새글
  • 접속자(459)
  • |
  • 로그인
  • 회원가입
logo
[2해결방법]  
번호 분류 제목
5 가정문제
*엄마의 가스라이팅이 심해서 죽고 싶을 때 엄마의 가스라이팅이 심해서 자신을 그냥 내버려 두지 않는다면 그 의지에 계속 부딪히기 보다는 그 의지의 방향을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선수도 감독의 가스라이팅이 괴로워서 훈련을 안 하면 선수로서의 목표를 포기하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엄마의 혹은 가족의 가스라이팅만 보지 말고 그속의 진심과 응원을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그 진심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해보세요. 그러면 꿈과 목표도 이루게 되고 죽을 필요도 없게 됩니다.다음 가정문제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1. 가족내에서의 문제가 반복되는 잔소리에서 나오는 것인지를 생각한다.2. 그 잔소리가 현재에 하지 못했던 일들에서 나온 것은 아닌지를 살펴본다.3. 그럴 때 가족에 대해서 어떤 부분에 대한 분노감이 있는지를 생각한다.4. 그 감정은 자신이 무엇을 이루지 못해서 생기는 마음인지를 생각한다.5. 하지 못한 것을 생각하기 보다 앞으로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는지를 생각해본다…
4 불안증
 *지난 일의 잘못으로 불안해질 때 그동안의  일들을 다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걸 자세히 보지 않고 전체적으로 보기 때문에 전반적인 괴로움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렇게  생긴 두려움은 불이 퍼져가듯이 점차 더욱 커질 수 있으니 불안증이 되지 않도록 이전에 무엇을 했고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하겠다는  구체적인 마음의 준비가 있어야 하겠습니다. 그러면 그 일을 하려는 마음이 더 커져서 불안이 되지 않고 소망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상담치료 속에서 할 수 있습니다.   다음 불안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자신의 불안한 마음이 왜 생기는지를 돌아본다. 2. 그 불안의 원인이 무엇인가를 해서 그런지 혹은 무엇인가를 못 해서 그런지를 구별한다. 3. 그럴 때 감정 상태가 구체적으로 어떤지를 정리해 본다. 4. 그 감정 속에서 원하는…
3 사고장애
*정신과 약물이 효과가 없을 때 약물치료 외에 상담치료가 있습니다. 약물은 원래 증상완화만 하는 것이라서 생각을 바꿔주지는 않습니다. 생각을 바꾸는 약이란 없습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적극적이 되고 소망을 갖고 포기하지 않게 하는 약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누군가를 사랑하고 평안한 마음을 갖게 하는 약도 없습니다. 그런 건 전부 마음을 바꿔야만 이루어지는 일들입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상담치료가 있으니 그런 치료를 받아보세요. 정신과에서 소개하거나 직접 상담센터를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 상담센터가 그래서 존재하는 것이니까요. 부부문제, 자녀문제 등을 정신과에서 해결하지 않습니다. 상담센터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이니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좀더 알아보세요.   다음 정신치료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자신의 마음의 문제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찾는다. 2. 그 문제의 원인이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지를 생각한다. 3. 그 유형에서 가장 주된 감정이…
2 조울증
*조울증에 약물을 잘 치료받았는지 의심이 들 때 우리  나라에서 삼성서울병원과 서울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으면 그 이외에 다른 곳에서 약물처방으로 좀더 좋은 치료를 받기는 쉽지  않습니다. 약물도 보통 조증보다 경조증이 위험해서 혈액흐름저하, 신경활동억제, 가바수용체저하, 도파민 억제 등의 기전이 있는  진정제류로 치료를 받았네요. 정신질환 치료가 쉽지 않습니다. 모든 것을 완벽하게 치료할 수가 없고 급한 대로 제일 위험한  ㅈㅅ충동을 막는 위주로 치료를 받은 것이니 경과를 보면서 상태를 살펴보세요. 약을 먹으면서 좋은 마음을 갖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되는 생각을 바꾸도록 노력해 보세요.   다음 조울증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감정이 들뜰 때 그 감정을 안정시킬 수 있는 생각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2. 그 생각으로 감정을 안정시킬…
1 자ㅅ충동
*자다가 스스로 목을 졸라서 놀라 깼을 때 우울함으로  이전에 자ㅅ시도를 한 적이 있었다면 수면 중에 다시 우울감을 느끼고 이전의 행동을 반복했던 것입니다. 수면중에 꿈을 꾸는 것은  감정을 느끼는 상태이기 때문에 저절로 그런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침대에서 떨어질 수도 있고 이불을 발로 찰 수도 있고 그런  것과 같습니다. 앞으로 해야 하는 일은 깨어 있을 때에 우울감과 자ㅅ충동을 해결하는 것입니다. 소망을 가져야 하고 삶의 의욕을  채워야 합니다. 약물치료 외에 상담치료를 병행해서 자신의 의지와 마음을 바꾸도록 해보세요. 약만으로는 감정상태를 바꾸기가  어렵습니다.   다음 상담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1. 죽음에 대한 생각이 있을 때 왜 그런 생각을 하는가를 생각해 본다. 2. 어떤 어려움 때문에 그런 생각을 한다면 그 어려움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정리해 본다. 3. 그 어려움에 대해서 느끼는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