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1상담역사] 인지행동치료 자료

Google에 있는 http://blog.daum.net/_blog/hdn/ArticleContentsView.do?blogid=0SYnI&articleno=41&looping=0&longOpen=의 저장된 페이지입니다. 2013년 10월 19일 11:25:20 GMT에 표시된 페이지의 스냅샷입니다. 그동안 현재 페이지가 변경되었을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도움말: 이 페이지에서 검색어를 빨리 찾으려면 Ctrl+F 또는 ⌘-F(Mac)를 입력하여 검색 바를 사용하세요.

전체 버전
 

 

첨부파일 015-REBT인지행동치료.hwp


 


집단상담


 

인지 행동 이론

REBT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김 경 호


목차

 

-인지행동이론-


▶ 인지행동이론의 역사

▶ 다른 이론과의 차이점

▶ 인간에 대한 기본 관점

▶ 인지행동적 이론들의 종류


- REBT 상담과정. -


Ⅰ. REBT의 정의

Ⅱ. REBT 개관과 이론

1. 개관

2. 이론적 가정과 배경

Ⅲ. REBT 접근 - 정신병리학적/ ABC모델

1. 적응적 정서와 부적응적 정서

2. 합리적 사고와 비합리적 사고

3. REBT의 상담 진행과정

4. 치료의 전략과 기술

Ⅳ. REBT의 적용 - 집단상담

1. REBT 상담

2. REBT 집단상담의 실제

 

-인지행동이론-

▶ 인지행동이론의 역사

  -인지행동적 상담 이론은 1960년대 초에 등장한 비교적 젊은 상담 접근이다. 인지행동적 접근의 등장에 공헌한 몇몇 이론가들(예를 들어 벡, 엘리스)은 실제로는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을 공부한 사람들 이었다. 이들은 상담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기존의 정신분석적 이론이 몇 가지 중요한 측면들에게 한계를 지닌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그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고자 새로운 이론 체계를 정립해 나가게 되었다.


▶ 다른 이론과의 차이점

-정신분석적 상담이 주로 장기 상담인데 반해, 이 접근은 대체로 단기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인간중심적 이론이 문제보다는 내담자라는 인간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는 달리, 이 접근은 주로 문제 그 자체의 해결에 초점을 든다. 인지행동적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직접적으로 호소하는 심리적 문제의 해결이 우선적인 관심사이다. 성격 변화와 인간적 성숙은 심리적 문제가 해결된 다음에 고려되는 보다 궁극적인 차원의 상담 목표인 것이다.


▶ 인간에 대한 기본 관점

  인지행동적 접근에서는 사람들의 감정과 행동은 모두 인지에서부터 나온 다는 입장을 취한다. 즉, 사람들이 특정한 생각(예를들어 나는 무가치하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특정한 감정(예를들어 자포자기 행동)이 나온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 따른다면 부적응을 겪는 사람들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그 사람의 생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잘못된 행동과 감정은 저절로 변화될 것이다. 결국 인지행동적 상담 접근은 인간의 주된 특성을 인지에서 찾으려하며 인지를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모든 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 인지행동적 이론들의 종류

1. 인지적 재구성

  : 사람들의 생각 내용과 방식을 재구성, 즉 변화시킨다는 뜻한다. 인지적 재구성을 강조하는 이론들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사람들의 정서적 문제는 생각의 내용이나 방식이 잘못되어 초래된 것이라고 믿으며, 따라서 인지를 재구성함으로써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2. 대처 기술 훈련

  : 사람에게 문제 장면에 대한 구체적인 대처기술을 집중적으로 훈련시킴으로써 상황에 대한 더 나은 대처를 가능하게 하는 이론으로 사람들이 부적응을 겪는 이유는 상황에 부적절한 방식으로 반응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따라서 상황에 적절한 대처 행동을 가르치고 훈련시킴으로써 부적응을 해소하려는 것이 이 접근의 핵심이다. 예를들어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 가면 불안해지기 때문에 그런 상황을 피하려는 내담자에 대해 불안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올바른 대처행동을 할 수 있는 구체적 기술들을 직접적으로 가르치고 훈련시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3. 문제 해결 접근

  :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지적 재구성과 대처기술 훈련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 편으로는 문제 장면에서 보다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대처 행동을 훈련시키는 과정을 거치며, 다른 한편으로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인지의 내용과 방식을 변화시키는 과정 또한 포함한다.



- REBT -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Ⅰ. REBT의 정의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인지․정서․행동 치료)는 Albert Ellis 박사에 의해 처음으로 창안되었다. 이 이론은 머릿글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간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핵심을 이루는 세 가지 영역, 즉 인지, 정서,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이 이론에서는 인지, 정서, 행동이 서로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인지 부분이 중심이 되어 정서와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강조한다. 이런 의미에서 REBT도 인지 행동 치료의 한 영역으로 볼 수 있겠으나, 초기 행동주의적 접근에서는 인간을 어떤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 수동적 존재로 받아들인 반면에 REBT에서는 인간이 자극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원래 ‘인지(cognition)’란 용어는 라틴어의 ‘gnos’에서 파생된 말로 ‘영적 세계 또는 미지의 세계를 알다 또는 경험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cognosco’에서 나와서 지금은 비교적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심리학자들 사이에서도 인지, 사고 , 지각 , 이해 그리고 기억이라는 용어 사이의 명확한 경계를 내리기는 어렵다고 강조한다. 어쨌든 이 용어는 태도, 기대, 귀인 등의 포괄적인 인지적 활동과 지각 체계를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REBT는 인간의 행동을 예언하고 산출하고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것으로 바로 이러한 인지 활동을 꼽고 있다.

 Ellis는 인지(cognition)의 역할을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여, 그의 치료를 처음(1955년)에는 “합리적 치료(Rational Therapy)”라고 명명하였다. 그러나 서양의 철학적 전통에서 볼 때, ‘합리적(rational)’이라는 용어는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었다. 인간의 모든 경험의 우위에 존재하는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는 플라톤적 합리주의와 무슨 관계라도 있는 것으로 혼동하여 인간에게 있어서 정서(emotion)의 역할을 등한시한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1961년 인간의 정서적 측면을 중시한다는 의미를 담은 “합리적 정서적 치료(Rational Emotive Therapy)”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 그 후 그의 치료에 있어서 행동적 측면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Corsini의 의견을 받아들여 1993년에 “합리적 정서적 행동 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로 공식 명칭을 확정하였다.



Ⅱ. REBT 개관과 이론

1. 개관

 Ellis는 처음부터 사람들의 신념 체계와 정서적 반응의 관계에 대해 관심을 표했던 것은 아니다. 심리치료사로서 그는 초창기에 가족 상담과 결혼 상담에서 권위 있는 정보나 지식을 제공하는 일에 전념했었다. 그러나 내담자들이 가지고 오는 문제들 중에는 정보나 전문적인 지식의 제공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들이 많았다. 내담자들 중에는 의외로 심리적으로나 정서적으로 혼란을 겪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그는 정신분석 훈련을 받고 직접 정통적 정신분석 방법으로 치료에 임했는데, 다소의 치료 효과는 얻었지만 그렇게 흡족한 것은 아니었다. 특히 임상 치료 과정에서 그는, 비록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과 그 행동의 원인에 대해 충분한 통찰을 얻었다고 할지라도, 반드시 그의 행동이 달라지거나 개선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좀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던 중 학습 이론에 관심을 가지게 된 그는 조건 형성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건 형성된 내담자의 행동을 수정하려고 노력했다. 여기에서도 그는 조건 형성의 효과는 인정했으나 이 치료법에 만족하지는 못했다. 왜냐 하면 비합리적이고 신경증적인 초기 학습은, 외부적 강화를 받지 않을 경우, 마땅히 소거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계속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이유는 분명했다. 그러한 반응이 계속되는 이유는 초기에 학습된 것을 반복하여 자신에게 계속 가르쳐서, 초기의 학습을 스스로 계속 강화시켰기 때문이다. 합리적 접근은 바로 이러한 확신에서부터 출발되었다. 그래서 그는 내담자의 문제에 대해 심리학적인 면보다는 철학적인 입장에 더 큰 비중을 두어 합리적 접근에 일치하는 신념에 따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내담자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REBT가 다른 접근에 비해 특히 강조하는 것을 중심으로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심리적 과정에서 인지, 정서, 행동은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의미 있게 상호 작용하여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가지지만, 이 중에서도 인지(신념)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다고 본다. 그래서 이 접근에서는 먼저 신념체계를 바꾸어서 이를 통해 정서와 행동을 바꾸려는 입장을 취한다.

② 이 접근의 신념(belief)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상담자는 내담자의 자기 파괴적, 비합리적 신념에 대해 스스로 논박하게 하여 이들을 제거하거나 합리적인 신념으로 대치하게 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이며 융통성 있는 인생관을 갖도록 함을 강조한다.

③ 이 접근에서는 신념의 변화, 인지적 재구조화, 재교육 과정을 상담 과정으로 본다. 따라서 이 접근에서의 상담자는 비교적 지시적이고 훈육적인 교사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2. 이론적 가정과 배경

 REBT에서 강조하는 기본적 원칙들 다음과 같다.

 ▶ 원칙1

인지는 인간의 정서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가깝고 접근하기 쉬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간단히 표현하면, 우리는 생각하는 것을 느낀다. 어떤 사건이나 타인이 우리로 하여금 “좋은 감정”이나 “나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가 인지적으로 그렇게 할뿐이다. 이것은 마치 우리가 인지적으로 그렇게 한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정서적 반응에 대해 글을 쓸 수 있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과거나 현재의 외적인 사건이 우리의 감정을 촉발시키기는 하지만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우리의 내적인 사건-외적 사건에 대한 우리의 지각과 평가가 우리의 정서적 반응의 더 직접적인 원천이다.

 ▶ 원칙 2

역기능적 사고는 정서적 고통의 핵심적인 결정 요소이다. 역기능적 정서 상태나 정신 병리학의 많은 부분들은 역기능적 사고 과정의 결과이다. 이러한 역기능적 사고 과정은 지나친 과장, 과잉 단순화, 과잉 일반화, 비논리성, 비합법적인 가정의 사용, 잘못된 추정, 절대적으로 고정화된 개념도식 등으로 나타난다.

 ▶ 원칙 3

우리는 생각하는 것을 느끼기 때문에, 정서적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먼저 사고의 분석부터 시작한다. 만약 고통이 비합리적 사고의 산물이라면, 그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이 사고를 바꾼다.

 ▶ 원칙 4

유전적이고 환경적인 영향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들이 비합리적 사고와 정신병리의 원인이 된다. 사람은 비합리적으로 생각하는 선천적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비록 우리가 비합리적 사고를 쉽게 학습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우리가 영위하고 있는 문화는 우리가 학습할 특별한 내용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원칙 5

 비합리적 신념의 습득에 있어 유전과 환경적인 조건들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사람들은 신념의 자기 교화, 또는 예행연습에 의해 혼란을 지속시킨다. 어떻게 그들이 비합리적 사고를 습득하게 되는가 보다는,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당시적 집착이 정서적 혼란의 더 가까운 원인이다. 만약 개인들이 그들의 사고를 재평가하여 비합리적 사고를 버린다면, 현재 그들의 기능들이 매우 다르게 작용할 것이다.


 ▶ 원칙 6

당시적 신념도 바뀔 수 있다, 비록 그러한 변화가 쉽게 일어나지는 않을지라도. 인식하고 도적하고, 그리고 자신의 사고를 수정하기 위한 활동과 지속적인 노력을 통하여 비합리적인 신념은 변화되어질 수 있다.



Ⅲ. REBT 접근 - 정신병리학적/ ABC모델

1. 적응적 정서와 부적응적 정서

 REBT는 혼란된 역기능적 정서와, 비록 부정적이기는 하나 정상적으로 동기화된 정서를 구분한다. 즉, 부정적인 감정의 표현이 정신병리의 증거는 아니다.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이 정서에 있어서 양적 변화를 치료의 발전으로 규정하는데 대해 Ellis는 조금 다른 관점을 제안한다. 사람들은 합리적으로 생각할 때 혼란된 정서의 강도[量]가 줄어든다기보다는 질적으로 아주 다른 정서를 실제적으로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합리적 사고에 의해 생성된 정서도 혼란된 정서와 같은 정서의 부류에 속하게 되겠지만, 그것은 여러 가지 면에서 혼란된 정서와는 다르다. Ellis는, 비합리적 사고는 불안, 우울, 또는 분노를 유발하지만 합리적 사고는 걱정, 슬픔, 곤란함 등을 유발시킨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정서들은 반드시 정서의 강도를 낮출 필요가 없다. 오히려 그것들은 질적으로 다른 현상적 경험을 유도하고, 다른 경험의 틀을 형성시켜 주며, 다른 행동적 반응을 이끌어 낸다.

 혼란은 역기능적 행동을 초래하거나 사회적 표현을 소원하게 하는 정서로 특징 지워질 수 있다. 혼란되지 않은 정서는 문제의 해결과 처리, 사회적 결속 등을 이끌어 낸다. 합리적 신념은 적응적 반응과 사회적 의사소통을 유도하는 적절한 정서를 이끌어 낸다.

 가령 어느 여인이 세 명의 자녀와 함께 남편으로부터 이혼을 당했다고 치자. 그 여인이 만일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라면 “이혼 당한 경험”을 대단히 불편한 사건으로 지각하고, 자신의 처지가 처량하고 서글프다는 감정을 느끼기는 하나, 그것을 가지고 자기 자신이 “무가치한 인간이어서 견딜 수 없다”고까지 자학하지는 않을 것이다.


2. 합리적 사고와 비합리적 사고

 REBT가 답해야 할 중요한 이론적 문제들은 정서적 혼란을 유도하는 인지적 과정, 또는 비합리적 신념이란 무엇인가와 어떻게 그러한 비합리적 사고가 강렬한 정서적 혼란을 일으키게 되는가이다.


<합리적 사고와 비합리적 사고의 차이점>

          갈래

 특성


합리적 사고


비합리적 사고

논리성


 논리적으로 모순이 없다.


 논리적으로 모순이 많다.

현실성


 경험적 현실과 일치한다.


 경험적 현실과 일치하지 않는다.

실용성


 삶의 목적 달성에 도움이 된다.


 삶의 목적 달성에 방해가 된다.

융통성


 융통성이 있고 유연하다.


 절대적/극단적/경직되어 있다.

파급효과


 적절한 정서와 적응적 행동에

 영향을 준다.


 부적절한 정서와 부적응적 행동을

 유도한다.


(1) Ellis가 제시한 11가지 비합리적 사고


<대인관계>

1. 알고 있는 모든 중요한 사람들로부터 사랑받고, 인정받고, 이해받아야만 가치 있는 사람이다.

2.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의지해야만 하고 의지할 만한 강한 누군가가 있어야만 한다.

3. 타인의 문제나 혼란스러움에 함께 괴로워하고 속상해야만 한다.

4. 어떤 사람들은 나쁘고, 사악하며, 따라서 비난받고 처벌받아야만 한다.

<세상 일>

5. 완벽한 능력이 잇고, 사교적이고 성공을 해야만 가치 있는 사람이다.

6. 일이 뜻대로 진행되지 않는다면 이는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일이다.

7. 인간의 문제에는 완벽한 해결책이 있고 만약 그 해결책을 발견할 수 없다면 이는 끔찍한 일이다.

<운명>

8. 행복이란 외부 사건들에 의해 결정되며 우리는 통제할 수 없다.

9. 인생에서 어려움을 부딪치기 보다는 피해가는 것이 편하다.

10. 위험하거나 두려운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늘 생각하고 있어야한다.

11. 과거의 일들이 현재의 행동을 결정한다.


(2) 비합리적 사고의 핵심요소

1) 당위적 사고

①자신에 대한 당위

②타인에 대한 당위

③세상에 대한 당위

2) 과장적 사고

3) 인간 비하적 사고

①자기비하

②타인비하

4. 낮은 인내성


(3) 비합리적 생각으로부터 파생한 인지적 왜곡

1. 과잉일반화(overgeneralizing)

2. 선택적 추상화(selective abstraction)

3. 과도한 책임감(excessive responsibility)

4. 인과성의 영속성 가정(assuming temporal causality)

5. 자기 참조(self-reference)

6. 재앙화(catastrophizing), 부정적 과장(negative exaggeration)

7. 이분법적 사고(dichotomous thinking)

8. 인위적 추론(arbitrary inference)

9. 극대화 혹은 극소화(magnification or minimizing)

10. 비현실적인 결론(unrealistic conclusion)

11. 불합리한 추론(non sequitur)

12. 정의적인 또는 되풀이하는 말(definitional or tautological statement)

13. 신학적 결론(theological conclusion)

14. 자기파괴적 결론(self-defeating conclusion)

15. 이차적인 장애 결론(scondary distrurbance conclusion)

16. 절망적 결론(hopeless conclusion)

17. 자기성찰적 결론(self-reflective conclusion)


3. REBT의 상담 진행과정

(1) ABC 모델

 영어의 A, B, C는 각각 선행 사건을 의미하는 Activating events, 그리고 사고나 신념을 의미하는 Belief system, 결과를 의미하는 Consequence의 머릿글자를 따온 것이다.

 어떤 사건(A)이 일어나면 각 개인은 이 사건을 자신의 신념 체계(B)를 매개로 하여 지각하고, 이 사건을 자신의 가치관이나 태도에 비추어 평가하고, 그로 인해 정서적이거나 행동적인 결과(C), 즉 우울하거나 초조해 하거나 화를 내는 행동 등을 하게 된다.

 이를 그림으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REBT의 관점에 의하면, 불안, 우울, 열등감, 시기, 질투, 죄의식 등과 같은 정서적 반응(emotional consequence : C)은 주로 개인의 신념 체계(belief system : B)에 의해서 발생한다. 즉 심한 불안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정서적 반응(C)의 원인은 어떤 사건의 발생(activating events : A)때문이 아니라 그 사건에 대해 가지는 자기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irrational belief : iB)때문이며, 그러한 혼란된 정서는 합리적인 신념(rational belief : rB)에 의해 효과적으로 논박(dispute : D)될 때 사라지며, 이러한 논박의 결과로 새로운 철학이나 새로운 인지 체계를 가져오는 결과(effects : E)를  낳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REBT는 인지적 재구조화를 위한 ABCDE의 체계로 구성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면 다음과 같다.


(2) REBT 핵심절차

① 부적절한 정서적 행동적 결과를 탐색한다.(C)

② 상담의 목표를 설정한다.

③ 그 결과와 관계된 선행사건이 무엇인지를 탐색한다.(A)

④ 정서적/행동적 결과와 사고 간의 관계를 교육한다(B-C)

⑤ 그 결과를 일으킨 근본적인 원인인 사고를 탐색한다.(B)

  상담의 과정적 목표를 설정한다.

⑥ 탐색된 생각의 체계를 논박을 통해 바꾸어준다.(D)

⑦ 생각이 바뀜에 따라 나타나는 정서적/행동적 효과를 알게 한다.(E)

⑧ 내담자의 적극적 참여를 통한 상담의 목표를 달성한다 : 숙제의 활용



4. 치료의 전략과 기술

(1) 무조건적 수용

 Rosers는 내담자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서 상담자에 의한 내담자의 무조건적인 수용은 필요충분조건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Ellis는 무조건적인 수용이 내담자의 변화를 촉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반드시 필요한 요건은 아니라고 보았다.

 Ellis는 상담이나 정신 치료가 세상과 자신을 바라보는 태도를 재교육함으로써 정서적인 반응을 교정하는 과정이라는 의미에서 일종의 “정서적인 교육”이라고 정의하는 편이 낫다고 주장한다. REBT에서는 심리적으로 고민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자신의 무능감과 무가치함 때문에 자포자기하고 자학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 때는 상담자는, 인간의 가치가 그가 지닌 “장점”이나 “가치 있는 특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인간이란 단지 존재한다는 그 자체 때문에 존엄한 것이며, 자기의 됨됨이를 자기가 취한 행동에 의거해서 판단하지 말도록 가르칠 필요가 있다. 좀더 자세히 말하자면, “자기 존중”이라는 것 역시 자신에 대한 일종의 평가(evaluation)이므로 상담을 통하여 내담자가 자기 존중감을 획득하도록 도와주는 대신에 차라리 “자기 수용”을 획득하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자기 수용이란 인간이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즉 자기에게는 단점이 장점보다 더 많다 하더라도 자신을 즐길 수 있는 방향으로 선택해 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객관적 용어다. 상담은 이와 같이 자기 수용적 인간이 되도록 그의 사고 방식을 바꾸는 것에 주력한다.


(2) 실제적 해결 對 정서적 해결

 REBT는 실제적 해결과 정서적 해결을 구별한다. 실제적 해결은 내담자가 선행 사건(A)을 변화시키는 것을 돕는 문제 해결, 또는 기술 개발 접근을 포함한다. 실제적 해결은 사건(A)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이에 비해 정서적 해결은 선행 사건(A)에 대한 내담자의 정서적 반응을 변화시키려 한다. 정서적 해결은 결과(C)를 변화시키고자 한다.

 REBT에서는 실제적 해결보다는 정서적 해결에 먼저 관심을 가질 것을 권한다. 종종 실제적 해결이 없고, 그래서 내담자는 이를 악물고 거친 현실을 대처하는 방법을 배워야 할 때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담자가 조용히 내면세계로 침잠했을 때, 문제 해결이나 행동 기술을 더 잘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REBT에서는 정서적 해결을 마친 이후에 내담자가 실제적 해결을 시도하도록 권하는데, 이는 내담자가 혼란되지 않았을 때 실제적 해결을 가장 잘 수행하기 때문이다.


(3) 철학적/우아한 해결 對 우아하지 못한 해결

 REBT에서는 내담자의 지각이나 자동적 사고를 바꾸는 대신에 비합리적 신념의 핵심을 바꿈으로써, 정서적 해결을 가장 잘 성취할 수 있다고 믿는다. Eliss는 이러한 중재를 “우아한 해결”이라고 말한다. 그는 이러한 철학적/우아한 해결을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보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해결이 그것과 유사한 많은 부정적인 선행 사건들에 대처할 수 있는 전략들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REBT에서는 재귀속이나 재구성을 통해 지각을 변화시키거나 부정적 자동 사고를 교정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중재를 피할 것을 권한다. 


(4) 인지적 기법

* 암시와 자기 암시

  : 상담자가 부정적인 사고를 내담자에게 긍정적인 사고를 대치하도록 내담자가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시킨다. 그러나 주의할 것은 내담자가 여건이 아주 나쁘다 할지라도 견디어 내야 한다는 것을 깨닫지 않은 채 그냥 모든 것이 잘 되어가고 있다고 스스로에게 잘못된 자기 암시를 내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자기 방어 최소화

  : 정신분석에서 쓰는 방어기제가 REBT에서는 자기 비난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자기비난과 경멸을 할 이유는 결코 없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내담자의 방어욕구를 최소화시킨다.

* 대안의 제시

  :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대안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하고 그것을 스스로 찾아내도록 격려한다.

* 어의적 정확성

  : 부정확한 언어로 인해서 부분적으로 인간의 사고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상담자는 내담자들이 사용하는 말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 전환방법

  : 내담자가 진정으로 몰두할 관심거리, 특히 장기적이고 건설적인 목적에 관심을 갖도록 격려한다. 이것은 자기 패배적인 자기교시 대신 이러한 활동들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활동으로는 이완훈련, 요가 혹은 운동같은 신체적 기법등이 있다.

* 유머의 사용과 역설적 의도

  : 상담자는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지적하기 위해 유머를 사용함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실수를 웃어넘기고 인간적인 약점을 수용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것으로 ‘역설적 의도’는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오히려 크게 과장 시켜서 그러한 신념이 얼마나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임을 깨닫도록 한다.

* 인지적 과제

  : 내담자들은 자신의 문제 목록표를 만들고, 절대적 신념을 찾고 그 신념을 논박해야 한다. 내면화된 자기 메시지의 일부인 절대적인 “하지 않으면 안된다, 해야 한다”를 밝혀내기 위해 내담자들에게 과제를 부과한다. 숙제에는 내담자가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많은 문제들을 ABCDE 이론에 적용하도록 한다.


(5) 정서적 기법

* 합리적 정서 상상

  : 부정적 상상은 부적절한 정서를 느끼고 있는 자신을 상상하도록 한 다음 후회나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결단같은 적절한 정서로 대체시키고 있는 자신을 생생하게 떠올리도록 한다. 반면에 긍정적 상상에서 내담자는 불쾌한 장면을 상상하고 자기 감정에 기초가 된 신념들에 것을 집중한다. 그런 다음 비합리적 신념을 포기하고 합리적 신념으로 대체했을 때 자신에게 어떠한 느낌이 드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 무조건적 수용

  :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자기자신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면서 내담자 행동의 잘못에 상관없이 인간전체를 평가하는 것은 정당하지 못하다는 것을 납득시킨다.

* 부끄러움 공략 연습

  : 이 기법에는 정서적이며 행동적인 요소 두 가지가 있는데 정서장애의 중요한 핵심 중 하나인 부끄러움 혹은 자기비난을 내담자로 하여금 직접 행동해보도록 시킨 후 타인이 이러한 행동에 별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것을 내담자 스스로가 깨닫도록 한다.

* 역할 연기

  : 이것은 행동적 요소와 정서적인 요소를 함께 가지고 있는 기법이다. 내담자는 문제 행동과 관련된 장면을 직접 재현해 봄으로써 스스로 비합리적 신념을 깨닫도록 하는 것이다.

* 욕설치료

  : 엘리스는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을 변화시키도록 유도하는데 있어 감정이 실린 강한 언어가 훨씬 많은 영향력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 모델링

  : 내담자가 정서적 혼란을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해 자신과는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음을 상담자가 모델을 보이는 것이다.


(6) 행동적 기법

* 유관조건 관리

  : Premack의 원리를 적용하여 치료하고자 하는데, Premack의 원리란 논문쓰기, 공부하기 등의 확률이 낮은 활동의 빈도를 높이기 위하여 확률이 높은 TV보기, 수영하기 등의 행동으로 강화시키는 것이다.

* 과제부과

  : 내담자가 하기 어렵거나 두려워하는 일의 난이도를 서서히 높이면서 행동 지향적인 과제를 부과한다.

* 기술훈련

  : 주장훈련, 사회적 기술훈련 등의 기술훈련을 개념을 지지한다. 행동요법에서 주장하는 기법을 REBT에서 행동변화를 통하여 사고, 정서를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만일 사람들이 행동(C), 사건(A)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행동한다면 비합리적 신념(B)은 줄어들 것이다.

* 자극통제

  : 자극통제의 목적은 환경을 재구성하여 내담자로 하여금 역기능적 행동을 하도록 유인하는 자극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비만 환자에게 휴식시간에 과자 자판기를 피하도록 학습시키는 것이다.





Ⅳ. REBT의 적용 - 집단상담


1. REBT 상담

▶ REBT상담의 유의점

→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일상적으로 보다 회복 적이고, 지속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다음을 피하는 것이 좋다.


1) 자유 연상을 금할 것

2) 꿈의 분석을 피할 것

3) 상담자의 너무 지나친 따스함은 피할 것

4) 사건에 대해서 기술하는 너무 많은 시간과 너무 자세한 설명은 피하라

5) 강박적으로 정서에 관해서 이야기하는 것을 피하라

6) 너무 지나치게 긍정적 생각은 피하라

  ① 그것은 종종 사실이 아닌 이상향적인 생각이기 때문에 환상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② 긍정적 사고는 종종 성취를 도울 수는 있으나 그 사고는 '사람은 반드시 성공해야만 하고 남에게 인정을 받아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치가 없다'는 비합리적인 생각을 강화시킬 우려가 있다.

7) 실질적 변화를 너무 강조하는 것을 피하라.



▶ REBT의 진행과정

(1) 상담의 일반적 준비

  상담을 위해서는 1)상담실 2)대기실 3)접수실 4)검사실 등이 필요하다. 상담실에서의 가구 배치는 탁자가 놓여 있고, 내담자와 상담자가 마주볼 수 있는 배치가 좋다. 그리고 상담을 위한 각종 양식(신청서, 면담기록지, 검사 기록지 등등)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2) 상담의 일반적 과정

1) 상담실에 접촉

- 전화로 사전 면담약속을 정한다. 본인이 직접 하기도 하고 부모, 교사 등의 대리인이 하기도 한다. 물론 급한 경우 사전 약속 없이 상담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2) 접수면접

- 내담자가 처음 내담하면, 상담신청서를 작성하고 일반적 사항에 대한 간략한 면접을 진행한다.

3) 접수면접자의 역할

- 접수면접은 약 50분 이내에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요 호소 및 문제, 인지적 기능, 행동 변화에 대한 동기, 가족역동 등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진단하여 최적의 상담자와 연결하는 과정까지를 진행한다.

4) 접수 면접시의 유의사항

① 규칙을 청하기

② 희망을 불러일으키기

③ 비밀이 보장됨을 확실히 하기

④ 내담자의 상담에 관한 기대에 관해서 평가하기

⑤ 정보를 수집하기

5) REBT의 준비단계(상담의 심리적 준비)

① 내담자와 상담자 간, 치료적 협력관계의 개발, 치료적 라포 형성

② 조직적인 부분과 관련하여, 내담자의 치료에 필요한 사회화, 평가의 시작, 문제영역에 대한 동의, 상담목표의 설정


▶ REBT 상담자의 기초기술과 능력

(1) REBT 상담자의 태도와 자세

1) 공감적 이해

2) 존중

3) 따스함

4) 진실성

5) 구체성

6) 직면


(2) REBT 상담자가 피해야할 태도

1) 경청을 소홀히 하는 것

2) 상담목표 설정을 상담과정 중 생략하는 것

3) 정보수집의 실수

4) 자기주장의 실수

5) 질문 사용의 실수

6) 강의하는 경향

7) 내담자편의 이해 정도를 파악하지 못하는 것

8) 모든 대답을 가지고 있는 것 내담자 스스로가 답을 찾도록 유도해야 한다.

9) 태도적 실수

①내담자의 말을 비난하는 것

②비현실적이고 잘못된 희망을 제시하는 것

③판단적인 용어를 잘못 사용하는 것

④과잉 일반화하는 것

⑤내담자가 잘 모른다고 몰아붙이는 것

⑥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아닌 순간적으로 내담자의 정서를 약화시키는 태도 등


(3) 상담의 회기

  →인지 행동적 모델은 회기의 틀이나 형식이 필요하다. 이것은 시간의 사용을 극대화하고 각 회기마다 목표를 설정하는데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1) 각 회기의 구조

①지난 회기에 끝내지 못한 이야기

②기분, 징후, 약물복용의 상태 점검하기

③새롭게 등장한 사건 : 어떤 중요한 변화를 가져다 준 것

④숙제의 점검(숙제를 내주는 경우에 한하여)

⑤같이 논의할 사항을 설정

⑥회기 동안에 이루어진 일의 용약

⑦숙제 내주기

⑧마무리하기

  →상담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상담의 본론에 들어가기 위해 10분정도, 상담을 마무리 하는데 10분정도의 시간을 쓰는 것이 좋다. 따라서 50분정도의 1회기 동안 약 30분 정도 상담의 본 과정을 다루기 위한 시간이 할애될 수 있다.


2. REBT 집단상담의 실제

(1) REBT소집단의 목표

① 집단 구성원들이 행동적, 정서적 문제의 근원을 이해하고 이 이해를 통하여 그들의 개인간, 개인 내적 문제에 있어서 훨씬 더 기능을 잘 할 수 있도록 활용하고 현재의 증상들을 극복하도록 돕는다.

② 기타 다른 구성원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치료적 도움을 주기도 한다.

③ 그들 자신이나, 기타 구성원들의 장애를 최소화하여 그들의 남아 있는 삶을 부적절한 정서와 불필요한 감정의 낭비보다는 적절한 정서를 느끼며 살도록 도와준다.

④ 자기 자신을 수용하는 법을 배우도록 도와준다. 이는 자기 자신도 남들처럼 실수를 저지를 수 있으며, 과오를 범하기 쉬운 인간임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⑤ 자기 자신의 정서적 문제에 대한 책임이 본인에게 있음을 알도록 도와준다. 이는 개인의 불행과 좌절, 재난에 대한 불필요한 생각의 제거를 통해서 가능함을 통찰하게 한다.

⑥ 행동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심오하고 심층적인 철학적 변화를 성취하도록 도와준다. 이는 불행한 현실을 수용하고 마술적 사고, 자기평가적 사고 등의 자기파괴적 사고를 포기함으로써 가능함을 알게 한다.


(2) 집단 구성원의 선정

 REBT집단상담은 종종 다양한 종류의 사람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대체로 정상적인 신경증 환자, 심한 신경증 환자, 경계선적 성격장애자, 정신병 환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 REBT집단상담에서 배제되는 대상

①말이 지나치게 많거나, 다른 사람들의 말에 광적으로 반응하는 자

②너무나 자폐적이거나 정신분열형 장애가 있는 자

③너무 적대적이거나 너무 파괴적이어서 집단 리더에 의해 쉽게 통제가 불가능한 경우나 다른 사람과 협력하도록 하는 지시를 감당하지 못하는 자

  만약 이와 같은 자들이 실수로 집단에 합류하게 되면, 이것은 나중에 그들이 너무나 파괴적이라는 것이 드러나고, 그러면 너무 많은 개인적 주의를 요구하고, 상당히 조직적인 집단의 과정을 방해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먼저 그들에게 자기 자신이나 다른 참여자를 위해서 어떻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 집단 구성원이 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먼저 보여주어야만 한다. 만약 이것이 효과가 없으면 그들에게 집단을 떠나야만 하고, 그들의 상담자가 다시 집단 상담에 참여해도 좋다는 판단이 설때까지 개인상담을 받도록 종용한다.


(3) 집단의 구성과 물리적 환경

1) 집단의 구성

  REBT집단에서 선호하는 구성은 10-13명사이이다. 물론 이들의 구성은 다양하다. 어떤 때는 한 집단에 남녀의 수가 같게 시도하는 경우도 있다. 성인 집단은 18세에서 60세 사이로 구성되는데, 대부분은 25세에서 45세 사이이다. 청소년 집단은 13세에서 17세까지의 개인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남녀의 비율이 고르게 구성되도록 한다.

2) 집단의 운영 방법

 집단은 대게 조직적인 방법으로 운영된다. 집단의 리더는 구성원 중의 단 한 사람씩 말을 하도록 요구한다. 그리고 자발적으로 말하는 것을 격려한다. 조용히 침묵을 지키고 있는 내담자는 그들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문제에 관하여 말을 하도록 압력을 받는다. 문제를 가져오는 대부분의 내담자들은 특별한 숙제를 내주고, 나중에 그것을 검토해본다. 집단의 리더는 구성원 중의 어느 한 사람이 시간을 독점하지 못하도록 조정하며, 아무도 참여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비록 REBT집단은 소수의 인원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운영된다고 하더라도, 각 회기마다 10명 정도의 참석이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집단상담의 관찰을 통해서 보고하고 있다. (ellis&Dryden.1987)


(4) 집단회기의 빈도, 길이, 지속기간

 REBT집단은 대개 일주일에 2시간 15분 동안 진행이 된다. 집단은 일주일에 한 번 만나는 정규적인 집단 외에도 매년 10시간까지 마라톤 집단상담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모든 집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일단 합류하게 되면 그들은 최소한 5주 동안 집단에 참석한다. 그리고 나서 최소한 2주일 전에 그만두고 싶다는 의사를 비친 후에는 항시라도 그만 둘 수 있다. 그만 둔 사람의 자리는 새로운 구성원에 의해 다시 채워진다. 그러므로 새로운 구성원은 몇 달 동안 참여했던 사람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집단의 구성원들은 최소한 6개월 정도 집단상담에 머물러 있기를 선호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REBT의 원리나 기법을 배우고, 그들의 숙제에 대한 집단 슈퍼비전을 받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내담자들은 2-3개월 정도만 집단에 참여하여도 그들의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받는다. 그리고 스스로 REBT의 원리나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도 한다.


(5) 활용되는 방법

 정규적인 REBT 집단상담에서 사용되는 주요한 기법은 내담자들이 현재 느끼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표현하는 것이다. 상담자와 그리고 집단의 몇몇 구성원들은 이 문제를 내 놓은 사람에게 말을 한다. 그리고 그의 A가 무엇인지를 찾고, 자기파괴적인 정서적, 행동적 결과(C)에 대해서 탐색을 시도한다. 일단 이것이 결정되면, 상담자의 집단 구성원들은 자기파괴적 결과를 유도한 중요한 비합리적 신념이 없어질 때까지 도움을 준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비합리적 신념은 직접적으로 그리고 맹렬하게 상담자와 다른 구성원에 의해서 논박 당한다.  게다가 이들은 비합리적 신념을 토로한 사람이 스스로 논박의 기법을 배울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시도를 한다. 집단 구성원들은 정규적으로 지명된 내담자가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도록 인지적, 행동적 숙제를 내준다. 그리고 나서 다음 회기에 숙제를 검토해보고, 실제로 숙제가 수행되었는지 안되었는지에 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앞으로 숙제가 지속되어야 할 것인지, 개선될 부분은 없는지에 대해 자세히 관찰한다.

 ▷ REBT집단상담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방법

① 위험 무릎쓰기, 자기개방하기, 수치심 공격하기와 같은 구조화된 연습을 정규적으로 집단의 구성원들이 행해보도록 한다.

② 모든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REBT의 이론서나 유관서를 읽도록 격려한다.

③ 다양한 종류의 REBT 워크숍, 대중강연,세미나 등에 참석하면 도움이 된다.


(6) 치료자의 역할

 REBT집단에서 상담자들은 집단을 이끌고 운영을 해 나가는데 상당히 적극적이고 지시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한 집단 내의 질서를 유지하거나, 침묵을 지키고 있는 내담자의 입을 열게 하거나, 그리고 너무 말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말을 덜하게 하거나, 그리고 지속적으로 문제를 가져오는 내담자에게는 그 문제에 관해서 좀더 개방적이 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집단 구성원이 지니고 있는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는 것과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것에 관해서는, 상담자는 집단의 활기찬 구성원이 되고 때때로 가장 적극적이다. REBT 집단 상담자들은 질문을 하고, 파고들고, 가르치고, 격려하고, 숙제를 내주며 구조화된 행동연습을 제시하고 그리고 모든 종류의 개인상담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법들을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7) REBT 집단상담의 제한점

 REBT 집단치료와 상담은 더욱 개인화된 REBT의 개인적 접근과정과 비교해볼 때 특히 고유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집단 구성원들은 아주 쉽게 서로를 질투하거나, 무시하거나, 다른 사람을 잘못 유도할 수도 있다. 심지어는 그들에게 해로운 방향이나 견해를 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장애를 산출하도록 만드는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심층적인 철학적 변화를 유도해내기보다는 실질적인 문제해결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보여주려고 시도한다.

 REBT와 같이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과정을 활용할 때도 집단상담은 분명한 비효율성을 지니고 있다. 가장 잘 아는 척하는 구성원이 부적절한 것에 대해 논의하여 시간을 낭비하기도 한다. 또한 리더가 지적하는 중요한 점을 거부하기도 하며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를 꺼내는 대신에 사소한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그 밖에도 비치료적인 것을 이슈로 가져오기도 한다. 집단 구성원들은 문제를 드러내고 있는 내담자를 부분적으로 압도하고, 마비되도록 하는 아주 다양하고 강력한 제안으로 공격하기도 한다. 그들은 조잡한 숙제를 내주거나 옛 숙제를 충분히 검토해보지도 않았는데 새로운 문제를 계속해서 내 놓는다. 만약 리더가 충분히 개입하는 것 같지 않으면 구성원들이 최소한의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아도 이를 묵인하고 그냥 넘어가기도 한다. 그래서 그들의 장애행동에 대해서 거의 변화를 가져오지 않기도 한다. 그들은 과도하게 좌절하거나 적대적이 될 수도 있으며 참여자들의 증상만을 가지고 그들을 비합리적으로 비난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이러한 증상의 포기에 대한 지속적인 거부를 비난할 수도 있다.


(8) 윤리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

 REBT는 집단의 구성원을 위한 REBT상담자가 비윤리적이고 비도덕적인 행위에 관한 견해와, 그런 행위에 관한 죄책감이나 자기비하에 관한 견해에 관하여 혼돈할 때 윤리적 문제에 관해서 고려해볼 것을 주장할 수 있다. REBT는 내담자들에게 많은 인간의 행동에 관하여 가르치려고 노력한다. 그런 행동들은 말할 것도 없이 다른 사람들을 해롭게 하는 행동을 말하는데, 뚜렷하게 잘못되고, 비윤리적이고, 비도덕적이다. 그러나 이런 행동을 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낙인찍거나 썩어빠지고, 하찮은 인간이라고 비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Ellis는 이런 경우 죄는 미워하되, 인간은 미워하지 말라는 기독교의 견해를 옹호하고 나선다. 만약 사람들이 REBT는 인간성이나, 그런 행동을 수행하는 인간의 오류성을 완전히 수용하기보다는 인간의 비도덕적 행위를 너그럽게 용서하는 것이라고 잘못 믿게 된다면, 다른 사람들을 나쁜 길에 빠지도록 인도할 수도 있으며, REBT의 주요한 원리 가운데 하나를 잘못 해석할 수도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출처 : 상담심리자료창고  |  글쓴이 : 고바우 원글보기
메모 :

필독서1
필독서2


1.신체문제 상담챠트

2.뇌구조 상담챠트

3.정신구조 상담챠트

4.마음이해 상담챠트

5.변화과정 상담챠트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249 202성경연구법
성경과 상담 수업계획서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3 0 646
248 302세대상담
인간발달과 성경적상담 수업계획서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2-23 1 605
247 102기본원리
102 원리 교재그림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23 2 613
246 101개론
101 개론 교재그림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23 2 635
245 504정신질환상담
리페리돈(리스페리돈) 2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10 1 1853
244 303중독상담
쾌락중추의 영역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02 0 1860
243 504정신질환상담
신경전달물질의 종류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16 0 1626
242 504정신질환상담
중추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15 2 2071
241 101개론
역동성으로 어떻게 상담이 이루어지는가? ppt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7-09 3 789
240 504정신질환상담
마우스 뇌 신피질의 일부, 완벽한 3D 지도 작성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12 1 736
239 504정신질환상담
신피질 데이터 해석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12 0 761
238 504정신질환상담
대뇌피질(신피질의 구조)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12 0 924
237 101개론
성경적상담이란 무엇인가? (유튜브영상자료)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11 2 1292
236 105가정상담
가정상담, 강의스크린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29 0 589
235 101개론
*소원상담센터 문제증상 분류표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29 1 734
234 101개론
개론 강의판서 모음 4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26 2 1447
233 1급세미나
2019년 2학기 1급 세미나 판서 pdf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1-17 0 786
232 504정신질환상담
솔리안정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7-05 0 1719
231 304심층상담
신피질과 변연계(고피질, 구피질)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09 1 4555
230 301상담역사
이마고부부관계치료란?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04 0 2272
229 504정신질환상담
아리피프라졸, 아리피졸 정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09 2 3979
228 304심층상담
아토목세틴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09 1 1765
227 304심층상담
정신과 약물 리스트 v1a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07 2 6958
226 504정신질환상담
리튬이야기 센터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07 0 1338
225 504정신질환상담
데파스정 센터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2 1 2264
224 104방법론
성경적 상담의 방법론, 2018-1, 소원상담센터, 판서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02 1 855
223 103역동성
역동성, 2018년 1학기, 소원상담센터, 판서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17 1 827
222 101개론
개론, 2018-1, 웨스트민스터 신학원, 강의녹화 판서pdf 센터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06 0 1068
221 107진로상담
진로상담 참고성경구절 센터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22 1 2098
220 504정신질환상담
아리피프라졸, 레피졸 센터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08 2 3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