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인문 > 심리학 > 심리치료 > 미술치료
마음속 깊은 곳을 비춰주는 예술
예술를 감상하며 마음의 치유를 경험한다
“예술교육은 중요하다. 예술을 통해 아름다운 말을 닮고 사랑하고 또 공감하도록 이끌어주기 때문이다.
예술은 인간의 내면에 깊이 침투하여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
-플라톤, 그리스 철학자
“예술은 순수한 직관으로 파악된 영원한 이념, 즉 세계에 있는 모든 형상의 본질적인 것과 영속적인 것을 재현한다. 예술의 유일한 기원은 이념의 인식이고, 예술의 유일한 목적은 이런 인식의 전달이다.”
- 쇼펜하우어, 독일 철학자
“예술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수단. 예술은 쾌락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을 연결함으로써 같은 감정으로 함께 결속하게 하고, 온 인류의 행복으로 이끄는데 없어서는 안 될 수단이다.
예술은 인간의 감정을 바꾸고 완전을 향해 정진하는 인류 운동의 수단이다.”
- 톨스토이. 러시아 소설가
“나는 노예처럼 자연을 베까지 못하며 자연을 해석하고 자연을 그림의 정신에 적용하고 싶은 감정에 빠진다. 화가의 사명은 책처럼 역사를 사건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다. 그림은 더 고양된 견해를 갖는다. 예술가는 자신의 내적 비전을 표현하는 사명을 갖는다.”
- 마티스. 프랑스 화가
저자소개
저자 : 정여주
독일 쾰른대학교(Universit?t zu K?ln) 교육학 석·박사
미술치료전문가, 아동심리치료 전문가, 아동상담지도감독 전문가
전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원광대학교 초빙교수 등
현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원장
정여주 미술치료연구소 소장
〈주요 저서 및 역서〉
미술교육과 문화(4판, 공저, 학지사, 2020)
노인미술치료: 이론과 실제(2판, 학지사, 2018)
어린왕자 미술치료(학지사, 2015)
만다라와 미술치료(2판, 학지사, 2014)
미술치료의 이해: 이론과 실제(2판, 학지사, 2014)
만다라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학지사, 2013)
만다라 그리기 시리즈(학지사, 2010)
미술기반 미술치료 슈퍼비전(공역, 학지사, 2020)
정신분석적 미술치료(공역, 학지사, 2011) 외 다수 닫기
목차
머리말
I. 이론편
CHAPTER 1 명화 감상
1. 보는 것과 감상
2. 왜 예술인가
3. 예술가, 명화, 감상자의 관계
CHAPTER 2 명화 감상의 치유력, 치료적 특성
1. 명화 감상을 통한 치유
2. 명화 감상의 치료 요인과 특성
CHAPTER 3 수용적 미술치료
1. 수용적 미술치료 개념과 목적
2. 수용적 미술치료 유형
3. 수용적 미술치료 접근 방법
4. 수용적 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 역할
II. 실제편
1. 어머니와 아이
2. 아이와 놀이
3. 자화상
4. 초상화
5. 정체성
6. 고향
7. 나의 공간
8. 행복한 기억
9. 꿈
10. 우표
11. 편지
12. 기다림
13. 휴식
14. 신발
15. 의자
16. 천사, 수호천사
17. 가족
18. 사랑
19. 행복
20. 병, 간호
21. 사별, 애도 1
22. 사별, 애도 2
23. 희망 1
24. 희망 2
25. 회상
26. 춤 1
27. 춤 2
28. 일출, 일몰
29. 호수
30. 정물
31. 상상여행
32. 사각의 변주
33. 소망, 나의 길
34. 꽃 1
35. 꽃 2
36. 나무
37. 정원
38. 계절
39. 자유
40. 동심원
41. 오마주
42. 동물
43. 개와 고양이
44. 평화
45. 색채 여행
46. 색채의 즐거움
47. 회복, 재탄생
48. 명상 1
49. 명상 2
50. 축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100편의 명화, 지치고 무뎌진 감성을 일으킨다
프로이트가 1914년에 익명으로 자신은 예술의 문외한이지만, 로마 산 피에트로인 빈 콜리 성당(Basilica di San Pietro in Vincoli)에서 만난 미켈란젤로(Michelangelo)의 조각 〈모세상〉에 강하게 매료되어 2번이나 찾아갔으며. 그곳에서 오랫동안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려 노력했으면 자신만의 해석을 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우연히 들린 전람회 그림 앞에서 하릴없이 빠지거나, 벽면을 가득 채운 명작의 웅장함에 다리의 힘이 풀리거나, 화가 자화상의 강렬한 눈빛에 놀라 가방을 떨어뜨릴 뻔한 경험이 있다면 이 책의 필요성을 누구보다 잘 이해할 것이다.
명화(名畵)는 조용히 ‘빛;’을 내며 말을 걸어온다. 언어가 아닌, 무의식의 소통을 경험하게 한다. 즉 작품을 감상하지만 자신의 내면세계를 무의식적으로 투사하고 감정이입과 동질감, 동일시를 경험함으로써 시각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한다.
명화는 미술치료에서도 내담자와 미술치료사 사이의 관계 소통의 매개가 되어 치료과정을 돕는다. 예술가가 그림을 완성하며 작품과 씨름하듯 내담자도 명화를 감상하며 감정, 기억, 경험을 표현한다. 특히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기 어려운 내담자들이 은유적, 상징적 시각언어로 표현할 때 내담자의 내적 외적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미술치료사와 더 깊은 소통을 하게 한다.
이 책은 예술 감상도 미술치료 모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미술치료사들이 임상 현장에서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언어 메세지 보다 동영상, 이모티콘, 짤 등 ‘보는’ 것이 더 빠르고 쉽게 수용되는 시대에 이 책은 수많은 상담가 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에게도 감상을 통해 마음의 치유를 얻도록 안내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