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분석적 음악치료분석적 음악치료 분석적 음악치료(Analytical Music Therapy)는 1970년대 초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이론은 메리 프리슬리(Mary Priestley)와 피터 라이트(Peter Wright). 그리고 마조리 워들(Marjorie Wardle)에 의 해 착상되었다. 그 후 프리슬리(Priestley)는 임상적으로 이 치료를 실험·정리하고 확장하는 데 공헌했고 분석적 음악치료의 창시자로 알려졌다 이 치료는 내담자와 치료사가 내담자의 내면을 탐구하고 성장을 제공할 목적으로 말과 상징적 음악을 즉흥창작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 모델의 특징은 내담자의 즉흥연주가 표제음악의 표제에 의해 자극되고 이끌어진다는 점이다. 이 모델은 프로이트(Freud)와 융(Jung), 클라인(Klien), 로웬(Lowen)의 정신역동 구성에 기반을 둔 것이다. 분석 음악치료는 원래 성인을 위해 개발된 것이고 다양한 심리적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다. 어떤 연구는 아동에게도 행해진 바 있다. 그 임상적 적합성을 규정하는 요인으로는 청취력, 지능, 언어능력, 상징적 사고능력 등이 있다. 임상적 응용 이외에도 이 모델은 훈련과 감독의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분석 음악치료의 이러한 사용을 내적 치료라 한다. 분석 음악치료는 개별치료, 2인 1조 치료, 집단치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내담자의 개인적 성격 때문에 개별치료 모임이 가장 일반적이다. 분석 음악치료의 주된 목적은 내담자가 자신의 완전한 잠재력을 실현하지 못하고 개인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있어 방해되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애물을 제거하는 일에는 무의식적 소재에의 접근, 통찰력 획득, 방어적 에너지 풀어주기와 이를 긍정적 목표로 재조정하기, 그리고 균형과 창조성 발달 시키기 등이 관련된다. 2인 1조 치료에서 그 목표는 성장과 발달에의 장애를 탐구하면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모델을 사용할 자격이 있는 치료사는 정신분석 치료와 분석 음악치료에서 충분한 훈련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치료사들이다. 내적 치료는 사용되는 훈련 방법에서 분석되어지고, 이를 알기 위해서는 자격을 갖춘 수퍼바이저(Supervisor)가 있어야 한다. 개별 치료, 2인 1조 치료, 집단치료 모임 어디에서는 내담자는 자신의 악기를 치료적 즉흥연주의 표제에 따라 직접 선택한다. 광범위한 악기가 사용 가능하다. 내담자들은 대개 치료사의 반주를 받는다. 치료사는 대개 피아노를 연주하지만 내담자의 필요나 소망에 따라, 또는 수행해야 할 역할에 따라 악기를 고를 수 있다. 치료 전반에 걸쳐 토의가 사용된다. (1) 분석적 음악치료의 과정 각 치료모임은 네 가지 절차로 구성되면 이는 주기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쟁점(issue)을 확인하기, 내담자와 치료사의 즉흥연주 역할 결정, 표제 즉흥연주, 즉흥연주 토의 등이다. 토의나 즉흥연주, 관찰, 이전 치료모임의 검토, 또는 내담자의 방어 분석을 통해 쟁점이 밝혀질 수 있다. 일단 쟁점이 규명되면 이는 표제로 만들어져 즉흥연주, 관찰, 이전 치료모임의 검토, 또는 내담자의 방어 분석을 통해 쟁점이 밝혀질 수 있다. 일단 쟁점이 규명되면 이는 표제로 만들어져 즉흥연주의 프로그램이 된다. 대부분의 경우 내담자와 치료사가 함께 즉흥연주를 하지만 때로 내담자가 조사의 목적에 따라 혼자서 즉흥연주하는 경우도 있다. 역할은 쟁점의 어떤 측면이 탐구되거나 또는 명시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내담자가 치료사에게 어떤 지원을 필요로 하는냐에 따라 규정짓는다. 내담자가 즉흥연주할 때 내담자의 '내적 음악'이 드러난다. 내담자의 즉흥연주는 자신의 성격에 따른 것일 수도 있다. 분석음악 치료사는 내담자에게 반주 해 줄 때 자신의 음악적 감정이입, 음악적 능력, 직관, 감수성에 의존한다. 치료사는 내담자의 감성에 대한 기대효과에 따라 다양한 음악적 요소를 사용한다. 즉흥연주 후의 논의에는 두 단계가 있으며 이는 즉흥연주 경험에 대한 내담자의 즉각적 반응 검토와 더 깊은 뜻을 찾기 위한 즉흥연주의 재생 청취이다. Priestley는 기법을 감정적 조사에 초점을 두어 보다 실제적인 용어로는 내담자가 즉흥연주를 통해 탐구해야 할 표제음악의 표제라고 규정한다. 분석 음악치료에서 사용되는 기법 또는 표제는 치료모임의 구성과 그 방법론적 목적에 따라 범주화된다. 개별기법은 무의식적 소재에 접근하고 의식적 느낌을 탐구하며 자아를 강화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2인 1조 기법은 커플관계 내의 쟁점이나 문제나 원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집단 기법은 사회적 배경 내에서 감정적 조사를 필요로 하는 개별적 또는 집단적 문제를 규명하는 것이다
(2) 분석적 음악치료의 사정과 평가 사정과 평가는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지 절차상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내담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주된 방법은 일지와 테이프이다. 자료의 일차적 원천은 내담자의 즉흥연주, 언어화, 그리고 신체언어이다. 구체적 절차에는 내담자 인터뷰, 내담자에게 '감정 스펙트럼' 즉흥연주하게 하기 내담자의 저항과 자아방어, 분석, 내담자의 음악을 정신성적(psychosexual) 단계에서 해석하기 등이다. (3) 분석적 음악치료의 역동과 과정 주된 역동적 요소는 내담자, (음악, 치료사) 그리고 말이다. 음악과 치료사는 치료에 있어 필수적 요소이다. 음악과 말은 서로를 향상시켜 준다. 음악은 말 저변에 깔린 내적 감정을 밖으로 이끌어 내고 말은 감정에 대한 사고를 밝혀준다. 이 외에 음악의 치료기능 상당 부분이 사용된다. 치료사는 여섯가지 역할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치료사는 ①결절점 역할을 하고 감정이입을 하며, ②내담자의 내면을 탐구하고, ③내담자의 소중한 것들을 수용하고 안아주며 인정하고 ④순수한 반응을 제공하고, ⑤치료적 성장을 자극하고, ⑥내담자의 어두운 면을 이겨낸다. 내담자-치료사 관계는 프로이트적 용어로 작업동맹, 전이, 역전이 등으로 설명되며 이 모두는 치료적 성장에 필요한 것이다. 개인 내적 치료역동은 본능, 자아, 초자아 같은 프로이트적 개념과 성격의 의식적 부분에 따라 분석된다. 분석적 음악치료는 또한 Klien과 안나 프로이트(Anna Freud)의 구도를 접목했다. 치료과정은 ①내담자-치료사 관계 정립, ②내담자 존재의 중심에서 작업하기, ③분리 등 세 가지 단계로 나타난다. 이 분석적 음악치료는 정신분석학적 이론에 바탕을 둔 것이나 정신분석과는 달리 내담자, 치료사 간의 대화 이외에 음악으로 정이되고 역전이되는 과정이다. 이 음악치료는 언어분석가와 비교해 보았을 때 음악치료사에게 무의식적 느낌을 통하여 분석하고 작업하는 데 있어 보다 능동적 역할을 주고 있다. Priestley는 영국, 독일, 덴마크,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 거의 40여 명의 분석적 음악치료사를 배출했다. [출처] 분석적 음악치료|작성자 작은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