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글
  • 접속자(589)
  • |
  • 로그인
  • 회원가입
사례실습 멤버쉽 멤버쉽 회원만 이용가능한 게시판 입니다. 결제버튼을 눌러 신청해주세요.      

[강박증] 목표달성의 기준 강박  

제가 지금 하고있는 일은 아주 주관적이여서 100점맞으면 잘한 것, 60점 맞으면 더 공부해야 되는 것 처럼 

기준치가 없어서 스스로 일에 대해 만족감을 못느끼는것 같아요 이런것도 성향 차이라 직업을 바꾸는것이 좋은건가요? 

아님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가요 

 

사실 생각의 전환은 잘안돼요 

남들이 다 할수있는 수준처럼 느껴지고 이만큼 했다고 해서 뿌듯하거나 잘해냈다는 성취나 만족이 잘 안느껴져서 자꾸 방황하는것같아요 

냥 했다 정도? 

 

시험 합격 커트라인에 도달하는게 성취감이나 만족도가 더 높은거같은데 그렇다고 제가 하고있는 일에 목표를 설정해도 

개인적인 기준치라 그냥 오늘 해야 할 활동량을 잘 수행했다 정도 같아요,,,뭐가 문제일까요

 

 


 

악순환: 기준치가 없음에도 비교우위가 되는 것에서 만족을 느끼려하니까 성취감이 떨어지게 되었으나 여전히 기준치에서 비교우위가 되고싶어한다.

답변하시면 포인트 30을 을 드립니다.
1.상담챠트
2.신체문제
3.정신구조
4.마음이해
5.변화과정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살려대총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8-19 (토) 16:56 9개월전
제 생각을 써 봅니다.

악순환: 기준치가 없음에도 비교우위가 되는 것에서 만족을 느끼려하니까 성취감이 떨어지게 되었으나 여전히 기준치에서 비교우위가 되고싶어한다.

----->악순환: 스스로에 대하여 만족 못하는 것을 일의 성취로 느끼려고 하니까, 성취와 만족을 못 느끼고, 반복해서 일의 성취와 만족이 안 느껴지는 것으로 방황한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8-20 (일) 21:05 9개월전
악순환: 기준치가 없음에도 비교우위가 되는 것에서 만족을 느끼려하니까 성취감이 떨어지게 되었으나 여전히 기준치에서 비교우위가 되고싶어한다.

=> 명확한 계획이 없이 단지 스스로의 만족으로만 공부를 하려고 하니까 결과도 신통치 않고 만족도도 떨어지는데 그래도 역시 자신의 만족으로만 공부하려고 한다.
     
     
  김지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8-21 (월) 13:06 9개월전
악순환: 명확한 계획이 없이 단지 스스로의 만족으로만 공부를 하려고 하니까 결과도 신통치 않고 만족도도 떨어지는데 그래도 역시 자신의 만족으로만 공부하려고 한다.

질문:
'제가 하고있는 일에 목표를 설정해도...' 라는 어구를 봤을 때 계획이 있기는 한 것으로 생각하고 '남들이 다 할 수 있는 수준처럼 느껴지고...'에 초점을 맞추어서 썼는데 제가 핵심을 파악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기준치가 없어서 스스로 일에 대해 만족감을 못 느끼는 것 같아요' 라는 표현이 있는데 기준치를 만들라는 것이 아니라 계획을 명확하게 만들어서 그것을 수행하고 거기에 만족감을 느끼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8-21 (월) 16:30 9개월전
그렇지요. 그 기준치라는 자체가 욕구라서 그런 욕구를 받아주면 안 되고 아예 새롭게 시작하도록 해야 합니다. 기준치와 계획은 달라서 기준치는 완성할 수 없지만 계획은 완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