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글
  • 접속자(556)
  • |
  • 로그인
  • 회원가입
사례실습 멤버쉽 멤버쉽 회원만 이용가능한 게시판 입니다. 결제버튼을 눌러 신청해주세요.      

[스트레스] 어린사람한테 막말 들었을때 대처법  

*문제분류추가: #스트레스 #사회문제

   
나이도 훨씬 어린남자가 영업집앞에다 주차해서 차좀 빼달라고하니깐 대뜸 반말하면서 나라에다 세금내는데 왜 빼라고 하냐면서  인생 그따위로 살지말라는둥 성격 그따위로 사냐고 인생 똑바로 살라고하고 앞으로 조심하라고 끝까지 계속 막말을 하더라구요.
왜 반말하냐고 했더니 너도 그럼 반말해라~하면서..
기분 엄청나빠서 상대하기 싫어 들어오니깐 영업집까지 쫓아들어와서 저런말을 계속 하더라구요.
말도 못하고 그냥 가만히 있었지만..
계속 대응하면 욕까지 할테고..
끝이 안보일꺼 같고.. 


답변하시면 포인트 30을 을 드립니다.
1.상담챠트
2.신체문제
3.정신구조
4.마음이해
5.변화과정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조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8 (수) 00:48 1년전
상황: 고민자는 손님에게 이유없이 언어폭력을 당해 괴로운데

반응: 기분은 나쁘지만 대꾸를 하면 상대가 욕하거나 더 심하게 반응할것같고, 빨리 상황을 끝내고자 하는 마음에 말도 못하고 가만히 있었기 때문에

결과: 고민자가 반응을 보이지 않으니 손님은 영업집으로 끝까지 쫓아오게 되었고

상황2: 이유없는 언어폭력은 계속 당하고 있으며 고민자의 괴로움은 더욱 심해지는 상황이다.
     
     
조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07:30 1년전
상황: 고민자는 손님이 막말했을때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것에 대해 괴로운데

반응: 그 당시 기분은 나쁘지만 대꾸를 하면 상대가 욕하거나 더 심하게 반응할것같고, 빨리 상황을 끝내고자 하는 마음에 말도 못하고 수동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결과: 영업장으로 쫓아오면서까지 적극적으로 막말을 하는 손님이 되었고

상황2: 고민자는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괴로움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수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07:46 1년전
[@조이스]

상황: 고민자는 손님이 막말했을때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것에 대해 괴로운데

반응: 그 당시 기분은 나쁘지만 대꾸를 하면 상대가 욕하거나 더 심하게 반응할것같고, 빨리 상황을 끝내고자 하는 마음에 말도 못하고 수동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에

결과: 손님은 영업장으로 쫓아오면서까지 적극적으로 막말을 하였고

상황2: 여전히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는 모르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고민자의 괴로움이 커지고 있다.

[상황 설정을 고민자의 입장에서 더 자세히 해주신 것 같아 다른 관점을 배웁니다^^]
               
               
조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08:26 1년전
상황: 고민자는 손님이 막말했을때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것에 대해 괴로운데

반응: 그 당시 기분은 나쁘지만 대꾸를 하면 상대가 욕하거나 더 심하게 반응할것같고, 빨리 상황을 끝내고자 하는 마음에 말도 못하고 수동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에

결과: 손님은 영업장으로 쫓아오면서까지 적극적으로 막말을 하였고

상황2: 여전히 손님(들)에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고민자의 괴로움이 커지고 있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14:58 1년전
[@조이스]


반응을 대꾸를 안하거나 수동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그걸 악한 반응이라고 보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니 다른 악한 반응을 생각해 보세요.

결과의 내용이 상황2에도 확장되었으니 지금 상황2의 내용은 결과에 넣고

상황2에서는 상황의 내용을 다시 써주세요(7번째 강조)
                         
                         
조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18:42 1년전
상황: 고민자는 손님이 막말했을때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것에 대해 괴로운데

반응: 그 자리에서 손님이 감정이나 오해가 커지지 않도록 양해를 구하거나 충분한 설명을 하지 않고, 단순히 자신이 기분나쁘다고 자리를 회피해 버렸기 때문에

결과: 손님은 영업장으로 쫓아오면서까지 막말을 하게 되어 손님(들)에게 대처해야하는 방법을 더 알지 못하게 되었고

상황2: 여전히 손님이 막말했을때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것에 대한 괴로움은 지속되고 있다.
이수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8 (수) 22:21 1년전
상황: 고민자는 자신보다 어린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갑자기 험하고 헐뜯는 말을 들어 기분이 나쁜데

반응: 대응을 하면 오히려 더욱 일이 커질 것이란 생각에 수동적이고 다소 무력하게 있다보니

결과: 상대는 오히려 자신의 행동을 계속하면서 점점 기고만장 해지고

상황2: 여전히 일방적으로 막말을 듣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기분이 더욱 안 좋아지는 상황이다.
     
     
  김지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09:39 1년전
[@이수미상담사]
반응, ~있으니까, 결과,  기고만장해졌고로 표현하면 악순환이 좀 더 표현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14:59 1년전
[@김지인상담사]

반응을 대꾸를 안하거나 수동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그걸 악한 반응이라고 보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니 다른 악한 반응을 생각해 보세요.

상황2에서는 상황의 내용을 다시 써주세요(7번째 강조)
               
               
이수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18:08 1년전
[@원장] 목사님 저는 이분이
미리 이 상황이 잘 안될거라 짐작하며 포기하는 마음으로 수동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악순환의 반응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그것이 개선의 여지를 차단하여 더 안좋은 상황을 만든것이고요.

질문은 두가지입니다.

1. 악순환에서 안좋은 반응은 상황을 더 심각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는데 제 이해가 틀려서 목사님께서 다른 반응을 생각하라고 하신건지요?

2. 상황2는 상황1을 더 안좋게 반복하여 쓴건데 무엇이 구체적으로 잘못되었늕 궁금합니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19:12 1년전
[@이수미상담사]

대응을 하면 오히려 더욱 일이 커질 것이란 생각에 수동적이고 다소 무력하게 있다보니

=> 이것이 안 좋은 반응이라고 하면 좋은 반응을 하지 않은 것인데 좋은 반응이 능동적이고 활기있게 했어야 한다면 그런 모습이 더 강력하게 나갔어야 하는가라고 오해하게 만듭니다. 그건 상대로 하여금 더 악한 반응을 만들 수 있지 상대가 기죽게 만드는 법이 아닙니다. 그런 이해가 틀리니 그걸 바꿔야 한다는 뜻입니다. 추천받은 댓글을 살펴보세요.

상황2가 상황1의 심화, 악화이어야 하는데 지금 쓴 것은 결과에 해당하는 또 다른 이야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걸 이해하지 못하겠다면 사례답변팀 B의 사례를 읽어보세요. 그대로 다시 쓰면서 강조만 해야 합니다.
                         
                         
이수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30 (금) 07:27 1년전
[@원장]
상황: 고민자는 자신보다 어린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갑자기 험하고 헐뜯는 말을 들어 기분이 나쁜데

반응: 문제 유발의 본질인 주차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방법을 강구하기보다 하대 받았다는 것에만 초점을 두어 상대와 갈등을 처리하려 하니까

결과: 상대의 기고만장한 모습에만 계속 신경이 쓰이면서 여전히 구체적으로 대처해야 할 방법은 생각하지 못하다보니

상황2: 일방적으로 헐뜯는 말에 기분이 더욱 나빠지는 상황이다.
                    
                    
  김지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30 (금) 09:02 1년전
[@이수미상담사]
하대받은 것에 초점 맞추다보니 압도되어 무력해지게 되었다는 연결고리가 약간 애매하지 않은가 싶기도 합니다
  김지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00:27 1년전
상황: 고민자는 어린 남자에게 막말을 들은 것에 대한 괴로움이 있는데

반응: 더욱 양해를 구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고 기분나빠하면서 그저 자리를 피하니까

결과: 상대는 고민자의 영업장을 쫓아오면서까지 험한 말을 지속하였고

상황2: 어린 남자에게 막말을 들은 괴로움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조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06:16 1년전
[@김지인상담사] 글의 내용뿐 아니라 제목에 언급된 단어까지 활용하셔서 좋은것같습니다. 간사님의 글을 읽어보니 고민자의 괴로움이 단순히 막말을 들어서가 아니라 당시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 스스로에 대한 자책/괴로움이라고 느껴져서 저도 그렇게 바꿔보려고요^^;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9 (목) 15:01 1년전
[@조이스]

의미있게 반응했으면 상대의 험한 말은 그정도로 끝났다는 안도가 될텐데 그런 반응이 없으니 뭔가 잃어버린 느낌이 들면서 계속 괴로운 것입니다. 잘 파악했으니 이 내용을 기본으로 해서 악순환을 이해해 보세요.
이수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30 (금) 10:18 1년전
[@조이스]

결과에서 손님이 영업장으로 쫓아오니 더욱 분위기는 과열되면서 고민자는 더욱 당황을 하게 되었고로 하면 어떨까 의견을 드려봅니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30 (금) 10:41 1년전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