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글
  • 접속자(613)
  • |
  • 로그인
  • 회원가입
사례실습 멤버쉽 멤버쉽 회원만 이용가능한 게시판 입니다. 결제버튼을 눌러 신청해주세요.      

[강박증] 이거 강박증으로 봐야하나요?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20대 중반 여자입니다.


제가 타고나게 어렸을 때부터 꼼꼼하고 완벽을 추구하는 기질이 있었습니다.
항상 신발을 신어도 양쪽 착용감이나 느낌이 비슷해야하고
전자기기나 핸드폰은 절대로 기스가 나면 안 되고 떨어뜨리지 않아야 합니다.
가방 도금 된 손톱만한 부분에 조금이라도 기스가 나면 아무리 싼 가방이라도
거금을 들여서 다시 다 도금을 입혀야 직성이 풀립니다.
머리끈도 조금이라도 늘어지면 다시는 쓸 수 없을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특히 저는 옷에 있어서 이 예민함에 극에 다다르는 것 같습니다.
그 중에서도 소매나 허리 부분에 고무 밴드가 들어간 옷에는 더 민감해집니다.
누가 잘못하다가 소매를 뒤집어까거나 조금이라도 힘으로 늘리는 동작을 하면
저는 옷이 늘어났을까봐, 이전 상태처럼 새 것 같고 깨끗한 옷이 아니라는 사실에
걱정이 되고 기분이 너무 나빠서 며칠 간 그 생각만 납니다.
기분이 좋다가도 급 우울해지고 다시 그 옷을 찾아서
그 행동들을 하루에 몇 번은 똑같이 따라해보면서
"늘어났을거야. 아니 안 늘어났을거야. 아니야 늘어났을거야."하고 확인하고
걱정하는 안 좋은 습관이 있습니다.
계속 그런 생각만 하다보니 사람이 초췌해지고 스스로도 많이 힘듭니다.
저는 스파 브랜드 옷만 입는 편이지만 
제가 조금이라도 좋아하는 옷이면 신경을 너무 많이 씁니다.

이것도 강박증의 증상이라고 보는 걸까요?
제가 조금 우울하고 예민한 경향이 있고 예술 쪽으로 일을 하고 있긴 하지만
전문적으로 성격 검사 등 다양한 것들을 해보았을 때
해당되는 질환도 없었고 따라서 약물 치료나 그런 경험도 없습니다.
아마도 제 기질이 조금 심해서 그런 것 같은데...

이런 경우 어떻게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고 조금 극복할 수 있을까요?
제 옷이 예전과 같이 깨끗하고 늘어나지 않은, 온전한 상태가 더 이상 아니라는 생각이
저를 너무 힘들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강박증이 아니라고 한다면 일상에서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연습을 할 수 있을지, 도움되는 방향을 제안해주시면 정말로 감사하겠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악순환: 피상담자는 물품이 변형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물건이 완벽한 상태로 유지되기를 바라기 때문에 계속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강박사고가 생기게 되었지만 여전히 물건의 상태가 완벽하기를 바라고 있다.

선순환: 각 물건이 완벽함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목적과 쓰임이 있음을 깨달을 때 강박에서 벗어나 물건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목적에 알맞게 활용해나가는 발전된 삶을 살게된다.
답변하시면 포인트 30을 을 드립니다.
1.상담챠트
2.신체문제
3.정신구조
4.마음이해
5.변화과정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7-19 (수) 14:16 10개월전
악순환,
-계속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강박사고가 생기게 되었지만  => 계속 상태를 확인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만


선순환,
-목적과 쓰임이 있음을 깨달을 때 강박에서 벗어나 물건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 목적과 쓰임이 있음을 생각해서 물건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활용하고자 할 때
-활용해나가는 발전된 삶을 살게된다.=> 활용하면서 계속해서 사물의 계획을 따르고자 한다.
     
     
  블루지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7-19 (수) 14:45 10개월전
강박사고라는 단어 대신 스트레스로, 강박에서 벗어나려면 물건에 대한목적. 쓰임을 깨닫고 사물의 계획을 따라야 한다는것을 알았습니다.  사물의 계획을 따른다는 개념이 신선하고 궁금하기도 합니다.
     
     
  김지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7-19 (수) 16:51 10개월전
악순환: 피상담자는 물품이 변형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물건이 완벽한 상태로 유지되기를 바라기 때문에 계속 상태를 확인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만 여전히 물건의 상태가 완벽하기를 바라고 있다.

선순환: 각 물건이 완벽함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목적과 쓰임이 있음을 생각해서 물건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활용하면서 계속해서 사물의 계획을 따르고자 한다.
이정선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7-19 (수) 16:29 10개월전
단어바꿈 하나에 질문자의  이해가  달라진다는  것을 보게  됩니다.  구체적인  표현을  배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