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글
  • 접속자(339)
  • |
  • 로그인
  • 회원가입
사례실습 멤버쉽 멤버쉽 회원만 이용가능한 게시판 입니다. 결제버튼을 눌러 신청해주세요.      

[불안증] 피묻은 옷이나 이불이 제몸에 닿는걸 혐오하는데 이상한가요?  

 
<사례>
피묻은 옷은 한번 입는것도 싫고 피가 아닌 다른것(아이스크림이나 음료수등)이 묻은것도 입을려면 스트레스받고 입다가도 이옷에 뭐 묻은게 생각나면 당장이라도 치워버리고 싶고
제가 덮는 이불에 피나 다른 어떤게 묻어 있으면 너무 혐오하고 닦는것도 인상쓰면서 닦고 심하게 묻어 있을때는 울면서 닦은 적도 있어요
근데 제가 결벽증은 아닌것같은게 주변정리도 잘안하고 몸씻는 것도 병적으로 집착하지 않는데 딱 제몸에 닿는 옷이나 이불에만 이래요 근데 문제는 제가 잘곳에 다른 가족이 있으면 당장쫓아내고 싶고 그 가족이 나가면 묻은건 없는지 확인하고 이런게 너무 스트레스 받아요 이것도 정신병인가요? 치료받아야하나요?
 
악순환:몸에 직접 닿는 옷이나 이불에 피 혹은 특정 이물질에 대한 불안감이 드는 상황에서 심한 스트레스로 가족관계나 본인 스스로의 감정이나 행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에 여전히 이물질에 대한 불안함이 지속되는 상황.   
 
선순환: 피 혹은 특정 이물질이 몸에 닿은 부정적인 기억이 있다면 그 당시 상황을 재해석하고(그 이물질이 나를 해롭게하거나 공포스럽게 하지 않는다는 것), 스트레스 없는 선택(깨끗이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그 물건을 선택하지 않음 등)으로 일상생활을 해 나간다. 
 
진입구: 본인의 이런 성향으로 스트레스 받는 것에 문제의식을 갖고 치료받기를 원하는 마음이 있음을 격려하며 들어간다. 
 
몇 번 체크받아도 아직도 잘 모르겠습니다.. 자유롭게 작성했습니다ㅠㅠ
답변하시면 포인트 30을 을 드립니다.
1.상담챠트
2.신체문제
3.정신구조
4.마음이해
5.변화과정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김지인상담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7-29 (토) 10:23 9개월전
악순환, 상황을 안 좋게 만드는 반응이 없고 결과의 반복만 있는 것 같습니다~

선순환, 스트레스 없는 선택, 그 물건을 선택하지 않는 것 등은 스트레스가 여전히 의식되는 것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 우선적으로 해야할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서 해나가는 등으로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면 어떨까합니다.
  블루지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7-31 (월) 16:12 9개월전
악순환:몸에 직접 닿는 옷이나 이불에 피 혹은 특정 이물질이(묻은 상황에서 불안 혹은 공포의 감정으로 반응하다보니) 심한 스트레스로 가족관계나 본인 스스로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에 여전히 이물질에 대한 불안함이 지속되는 상황. 
 
선순환: 피 혹은 특정 이물질이 몸에 닿은 부정적인 기억이 있다면 그 당시 상황을 재해석하고(그 이물질이 나를 해롭게하거나 공포스럽게 하지 않는다는 것), (특정 이물질이 더 이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되는 마음 상태가 됨으로) 일상생활을 해 나간다.
 
진입구: 본인의 이런 성향으로 스트레스 받는 것에 문제의식을 갖고 치료받기를 원하는 마음이 있음을 격려하며 들어간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7-31 (월) 18:05 9개월전
악순환:몸에 직접 닿는 옷이나 이불에 피 혹은 특정 이물질이(묻은 상황에서 불안 혹은 공포의 감정으로 반응하다보니) 심한 스트레스로 가족관계나 본인 스스로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에 여전히 이물질에 대한 불안함이 지속되는 상황.
=> 옷, 이물질에 대해서 없애 버리려고만 하니 더욱 불안, 공포를 느끼게 되면서도 계속 없앨 생각만 한다.
 
선순환: 피 혹은 특정 이물질이 몸에 닿은 부정적인 기억이 있다면 그 당시 상황을 재해석하고(그 이물질이 나를 해롭게하거나 공포스럽게 하지 않는다는 것), (특정 이물질이 더 이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되는 마음 상태가 됨으로) 일상생활을 해 나간다.
=> 무조건 없애려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이 자신의 삶의 한 부분인 것을 이해할 때 자연스럽게 대하게 되고 일상생활을 해 나가게 된다.
 
진입구: 본인의 이런 성향으로 스트레스 받는 것에 문제의식을 갖고 치료받기를 원하는 마음이 있음을 격려하며 들어간다
=> 아무리 해도 더욱 스트레스가 사라지지 않고 쌓이기만 하는 상황에 문제 인식이 있음을 알아주면서 마음을 다룬다.


이렇게 수정하고 소감을 써보세요. 소감이 많아야 점차 발전이 됩니다~
     
     
  블루지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8-01 (화) 12:38 9개월전
악순환: 옷, 이물질에 대해서 없애 버리려고만 하니 더욱 불안, 공포를 느끼게 되면서도 계속 없앨 생각만 한다.
 
선순환: 무조건 없애려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이 자신의 삶의 한 부분인 것을 이해할 때 자연스럽게 대하게 되고 일상생활을 해 나가게 된다.
 
진입구:아무리 해도 더욱 스트레스가 사라지지 않고 쌓이기만 하는 상황에 문제 인식이 있음을 알아주면서 마음을 다룬다.


소감: 각각의 케이스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해법도 있고 좀더 디테일하게 다루어야 하는 사례들도 있는 것 같아요. 물론 대부분이 어떤 항목으로 분류가 될 것 같습니다만..  다양한 사례들에 대해 깊은 내면의 욕구와 그것이 어떤 소원으로 대체되어야하는지 더 많이 배우고 싶습니다.
특정 이물질에 대한 혐오의 문제도 주변에서 간혹 마주하게 되는 사례인데 삶의 한부분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도록 가이드 하지는 못했던 것 같고 너무 예민하게 굴지 말라는 말로 타박했던것 같습니다. 간략하면서도 핵심을 타겟하는 한마디의 통찰력 갖기를 소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