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 전기경련요법

전기 경련 요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멘스가 개발한 ECT 기기.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노르웨이 크리스티안산의 Eg Asyl 정신의학병원에서 사용되었다.

전기 경련 요법(電氣痙攣療法, Electroconvulsive therapy, ECT, 과거 명칭: 전기 충격 요법/electroshock therapy)은 환자에게 발작을 전기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정신 질환으로부터 안정을 제공하는 정신의학적 치료이다.[1] 충격 치료(쇼크 치료)라고도 부른다. 전기 경련 요법은 1938년 처음 수행되었으며[2] 정신의학에서 유일하게 사용되는 형태의 충격 요법이다. 이 요법은 환자의 동의가 필요할 수 있는데[3]주요 우울 장애조증긴장증에 대해서 그러하다.[4]

통상적으로 70~120볼트의 전압을 걸어 뇌에 약 800 밀리암페어의 직류가 지나가게 하는데, 양쪽 관자놀이에 대고 하는 양측 방식과 머리의 한쪽에만 앞뒤에 대고 하는 단측 방식이 있다. 전기경련요법은 조현병에 대한 치료에서 비교적 많이 사용되며, 주요우울장애, 조증, 긴장증 등에 대해서는 다른 치료 시도에 전혀 효과가 없거나 증상이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만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임산부에 대해서는 약물치료에 비해 태아에게 위험이 적은 것으로 평가된다.

상당수 환자에게서는 일시적 기억상실을 비롯한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하며, ECT 머신은 1976년부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고위험 분류(클래스 III)으로 분류되었다가[5] 2018년부터 긴장증, 주요우울장애, 양극성장애 치료에 대해 클래스 II로 재분류되었다.

각주[편집]

  1.  Rudorfer, MV, Henry, ME, Sackeim, HA (2003). "Electroconvulsive therapy" Archived 2007년 8월 10일 - 웨이백 머신. In A Tasman, J Kay, JA Lieberman (eds) Psychiatry, Second Edition. Chichester: John Wiley & Sons Ltd, 1865–1901.
  2.  Rudorfer, M. V., Henry, M. E., & Sackheim, H. A. (1997).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A. Tasman, J. & J. A Lieberman (Eds.), Psychiatry (1535-1556)
  3.  Beloucif S (2013). “Informed consent for special procedures: electroconvulsive therapy and psychosurgery”. 《Curr Opin Anaesthesiol》 26: 182–5. doi:10.1097/ACO.0b013e32835e7380PMID 23385317.
  4.  FDA. FDA Executive Summary Archived 2015년 9월 24일 - 웨이백 머신. Prepared for the January 27–28, 2011 meeting of the Neurological Devices Panel Meeting to Discuss the Classification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Devices (ECT). Quote, p38: "Three major practice guidelines have been published on ECT. These guidelines include: APA Task Force on ECT (2001); Third report of the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Special Committee on ECT (2004);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NICE 2003; NICE 2009). There is significant agreement between the three sets of recommendations."
  5.  “보관된 사본” (PDF).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A%B8%B0_%EA%B2%BD%EB%A0%A8_%EC%9A%94%EB%B2%95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72 심리학
‘레노바레 영성주제 성경(The Renovare Spiritual Formation Bib…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251
171 심리학
NLP란 무엇인가? 2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19 4 3518
170 심리학
교류분석(박용민) 안내장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2540
169 심리학
교류분석(TA) 지도자 과정 1단계 by 박용민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4 2458
168 심리학
심리학적 상담에 대한 이해 (2004)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5 2882
167 심리학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 (TA심리학에 근거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5 2231
166 심리학
심리학 도서 목록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0-25 0 504
165 심리학
일반상담과 목회상담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30 0 591
164 심리학
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릴까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4 1 1057
163 심리학
강박적인 그리스도인 2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4 1 1158
162 심리학
공정하다는 착각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072
161 심리학
당신의 분노는 무기가 된다.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0 589
160 심리학
수용적 미술치료에 기초한 명화 감상 미술치료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198
159 심리학
낭만적 사랑의 심리학 1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138
158 심리학
스트레스 다스리기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3 1 1012
157 심리학
마음처방전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1064
156 심리학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8 1 1016
155 심리학
너무 신경썼더니 지친다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7 1 1081
154 심리학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592
153 심리학
이젠 내 힘으로 공부할 수 있어요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1066
152 심리학
부부문제로 꼼짝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0 577
151 심리학
당근과 채찍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6 1 1165
150 심리학
상처주지않고 비판하기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1046
149 심리학
z세대 부모를 위한 SNS심리학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1058
148 심리학
이단에 빠진사람들의 정서와 심리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5 1 1145
147 심리학
젊은 ADHD의 슬픔 1 shalom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2 1 973
146 심리학
하버드 회복탄력성 수업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1063
145 심리학
나는 왜 참으려고만 할까?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11 1 1014
144 심리학
아이는 왜 내 말에 상처 받을까 1 예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1028
143 심리학
그럴수도 있지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9 1 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