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뉴
  • 새글
  • 접속자(542)
  • |
  • 로그인
  • 회원가입
logo

[[4인생목표]] 담대함 용어설명

 

얼마 전 한 자녀교육 프로그램에서 엄마를 때리는 아들의 이야기가 나온 적이 있습니다. 엄마는 아들이 때리는 대로 맞고 있었고 아들은 자기 마음이 내키는 대로 엄마를 때리고 있었습니다. 그 모습을 보다 못한 상담자가 등장해서 아들을 제압하고 엄마 때리는 거 아니라고 엄하게 말해주기도 했습니다. 오늘날 심리학에 근거한 자녀교육은 맞는 엄마는 어쩔 수 없고 때리는 자녀도 어쩔 수 없어서 결국에는 중간에 제3자의 개입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메세지를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식의 방법은 그 엄마와 아들이 다시 집으로 돌아가서 평상시의 삶을 살고자 할 때에 별로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상담자가 함께 살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상황과 장소를 변경해서 엄마와 아들을 떼어 놓아야만 문제가 해결된다고 생각한다면 이 역시 생산적인 것은 아닙니다. 그것이 이 장면을 보는 모든 사람들이 정말 기대하는 결과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런 식의 문제와 결과가 계속 악순환되는 이유는 엄마의 잘못과 아들의 잘못을 찾지 않고 엄마의 잘함과 아들의 잘함만을 찾기 때문입니다. 그럴 때에는 아무도 바뀔 수 없습니다. 그래서 별 효과없는 장소와 상황과 환경만 계속 바꿀 수 밖에 없는 악순환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법을 개정하고 제도를 정비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방법을 제공하지만 그 모든 것들이 문제있는 사람들 자신에게나 앞으로 문제가 있을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직 아무도 잘못한 사람이 없다고 믿는 사람들의 마음만 후련하게 할 뿐입니다. 그로 인해서 가정이 해체되고 관계가 단절되고 개개인의 미래에 대한 비전이 다 사라진다 하더라도 현재의 불편한 장면만 더 이상 생기지 않는다면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을 다 태워도 후회하지 않는다는 악순환이 지속됩니다. 이것은 문제 당사자들이나 아니면 그 문제를 보는 외부인들에게나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성경적 상담은 이와 다릅니다. 문제의 본질이 무엇이고 그 문제의 본질에 어떻게 접근하느냐를 고민합니다. 문제의 본질은 죄에 있고 그 죄를 찾으려고 할 때 비로소 가장 좋은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성경이 주는 지혜이고 하나님께서 알려주시는 인생의 방향성입니다. '담대함'은 바로 그러한 방향성을 보여줍니다. 왜 엄마는 아들을 두려워할까요? 왜 아들의 잘못을 강하게 나무라지  않을까요? 왜 그 죄에 대해서 함구하고 있는 것일까요? 또한 아들은 왜 엄마에게 그렇게 화를 낼까요? 왜 자신의 잘못과 어리석음을  보지 않을까요? 그것을 보면 나타나게 되는 무엇을 두려워하고 있는 것일까요?


담대함의 근거에는 더 이상 숨기거나 감추거나 피하려고 하지 않는 욕구의 중단이 있습니다. 만약 여전히 숨기려고 하고 감추려고 하고 피하려고 한다면 계속해서 그러한 행위를 통해 얻고자 하는 욕구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욕구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간절히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소원이 있습니다. 자신이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용서받고 돌이키고 앞으로는 그렇게 살지 않으려는 간절한 바램이 있습니다. 그럴 때 거짓말을 고백할 수 있는 것이고 자신의 죄를 털어놓을 수 있는 것이며 자신의 추구하는 것을 버릴 수 있고 자신이 얻고자 했던 유익이나 즐거움이 아닌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정의와 공의를 위해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면 잘못에 대해서 말할 수 있고 그렇게 한 것에 대해서 책임을 질 수 있고 그럴 때 올바른 행동을 제시하고 실현할 수 있습니다.


어머니는 아들의 행동을 나무랄 수 있는 것은 그것이 잘못이기 때문이고 아들이 더 잘 할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아들이 어머니를 때리지 않을 수 있는 것은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다루고 인내해서 행동으로 표현하지 않는 것이 올바르고 그 올바름을 나타내고 싶기 때문입니다. 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버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버리지 않으면서 바르게 할 수는 없습니다. 공정과 공의를 위해서는 자기 편의 유익을 생각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상대 편에 치우치지 않고 자기 편에도 기울어지지 않는 온전한 판단을 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누군가 대신 심판을 봐줄 수 있다면 좋겠지만 인생에서 그렇게 완전한 제3자란 존재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의를 위해서 자기편의 희생을 감수할 때 가장 올바를 수 있고 그것을 이루신 분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아들을 아끼려고 했다면 결코 구세주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담대함을 묵상하면서 성경적 상담이 보여주는 욕구와 소원을 생각할 때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가장 담대할 수 있을까를 알 수 있습니다. 욕구를 버리고 소원을 이룰 때, 내가 원하는 것을 버리고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을 선택할 때 이 세상의 그 어떤 담대함보다도 가장 담대한 모습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러하셨던 것과 같이 말입니다. 그렇게 담대할 때 가정에서 어머니는  어머니대로 아들은 아들대로 가장 담대한 모습으로 벌을 내리고 벌을 받으면서 가장 올바른 모습을 만들어갈 것입니다. 성경적 상담은 정말 변화되어야 하는 사람들을 변화시킵니다.







1.뇌구조 상담챠트

2.신체문제 상담챠트

3.정신구조 상담챠트

4.마음이해 상담챠트

5.변화과정 상담챠트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분류 제목
65 조현병
.
64 조현병
    #1. 정신분열(조현병) 조현병 치료받은지 3개월 다되가는데요 음성증상이 너무 힘듭니다.씻는것 청소하는것 움직이는것 일일히 다 힘들게 느껴지고병에 걸리기전에 제 모습과 병에 걸린 후의 제 모습의 격차에 많이 우울하고암담한데 언제쯤 나아질까요?조현병을 완치하고 싶은데 너무 예후라든지 인터넷으로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절망적이고우울해서 겁이나고 힘이듭니다 밤새 누가 같이 있어줬음 좋겠고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1. 사례해석1) 악순환: 조현병이 나아지지 않고 절망적으로 계속 나빠지고 있다는 것2) 진입구: 병이 낫지 않음에 대한 좌절과 절망을 이해하면서 병이 나을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서 말하면서 마음으로 들어간다. 3) 상담방향: 조현병의 시작과정과 그동안 있었던 일들을 생각하면서 그 속에서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 그 가능성을 이루며 나아가기 4) 선순환: 개인생활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이 없고 외로움과 우울함…
63 조현병
    #1. 정신분열(조현병) 조현병 치료받은지 3개월 다되가는데요 음성증상이 너무 힘듭니다.씻는것 청소하는것 움직이는것 일일히 다 힘들게 느껴지고병에 걸리기전에 제 모습과 병에 걸린 후의 제 모습의 격차에 많이 우울하고암담한데 언제쯤 나아질까요?조현병을 완치하고 싶은데 너무 예후라든지 인터넷으로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절망적이고우울해서 겁이나고 힘이듭니다 밤새 누가 같이 있어줬음 좋겠고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1. 사례해석1) 악순환: 조현병이 나아지지 않고 절망적으로 계속 나빠지고 있다는 것2) 진입구: 병이 낫지 않음에 대한 좌절과 절망을 이해하면서 병이 나을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서 말하면서 마음으로 들어간다. 3) 상담방향: 조현병의 시작과정과 그동안 있었던 일들을 생각하면서 그 속에서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 그 가능성을 이루며 나아가기 4) 선순환: 개인생활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이 없고 외로움과 우울함…
62 대인관계
.
61 대인관계
    #1 사례:  당당하고 자신있는 자신이 되고 싶습니다..  https://swcounsel.org/b/ask-10546 *사례해석1) 악순환: 다른 사람의 반응을 두려워한다, 위축되고 있다, 2) 진입구: 건강한 삶, 발전적인 삶을 바라는 마음을 이해하고 그 마음을 이루어주기 위한 상담을 진행한다  -중요표현영혼을 되살릴 수 있을지 알려주세요당당하고 자신있는 자신이 되고 싶습니다영혼이 파릇파릇한 잔디어깨를 펴고 당당히 사람들 사이를 걸을 수 있는 날3) 상담방향: 어떤 진실을 숨기고 있는지, 근원적인 바램은 무엇인지, 4) 선순환:
60 공포증
.
59 신체이상
   
58 사고문제
   
57 사고문제
애정결핍: 상담 방향성과 선순환에 대한 계획 세우기 #1. 동생이 애정결핍인 것 같아요 여동생이고 2살차이 나서 딱히 늦둥이는 아닌데 어렷을때부터 막내라 사랑을 많이 준 탓인지 이제 좀 크니깐 부모님이 혼을 내시기도 하고 어렸을 때보다 훈계도 많이 하니까 저한테 계속 안아달라 뽀뽀해달라 등 스킨십을 요구하는데 제 동생이 애정결핍일까요? 정말 궁금하고 제가 너무 힘들어요ㅜㅜㅜㅜ 악순환: 힘든 부분을 계속 받아들이는 부분*조직 선순환: 서로 사랑의 관계가 되어야 하는 방향, 자신에게 부여한 위치를 깨닫게 하는 것, 상담방향성: 조직에서 언니로서 해줘야 하는 일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에 대한 악순환을 선순환으로 바꿔줘야 한다 *심층#2.애정결핍일까요 인정욕구가 심한 걸까요   가정엔 아무 문제 없었어요다섯살 때부터 혼날 땐 매 맞으면서 자랐는데 그게 문제는 아닌것 같고요,초등학생 때 거의 친구가 없었어요초5 1학기, 초6 때 빼곤 친구 없이 살았구요친구가 생겨…
56 가정문제
댓글다는 법 조별실습방법 단계를 진행하는 방법
55 자ㅅ충동
*상담단계별 질문표-각 상담주제에 간단한 내용을 일련번호로 쓰시고 화살표를 하고 다음 연결주제를 기록해 주세요. (예: 1)삶의 괴로움 => 6심층)-1과정: 문제인식-[1단계 영역] 당신은 여러 삶의 영역에서 어떤 문제로 괴로워하고 있습니까?개인: 1) 자살충동, 살 이유가 없음, 죽으면 편하겠다는 생각이 듦 => 심층, (26심층, 2.유형-심층, [2.유형-심층])  2) 무기력, 밑바닥을 찍고 있음, 유일한 희망이 깨짐 => 조직 가정:교회:학교:직장:사회:[2단계 유형] 당신이 괴로워하는 문제는 어떤 유형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십니까?순위:합의:선악:조직:2) 최정상의 내용(  ), 유일한 희망의 내용( ), 밑바닥의 의미(  ) => 관계:심층:1) 죽고 싶은 생각이 드는 이유, 경험의 내용,/ (       ) => -2과정: 원인이해-[3단계 감정] 그 문제를 해결하…
54 환각망상
.
53 환각망상
      *차이 이명: 귀의 통증, 소음, 저주파 소리, 고주파 소리, 지속적 환청,환각: 실제하지 않는 소리,감각,의 내용, 일시적,   정신분열: 행동적 반응, 제가 요즘 층간소음으로 엄청 시달리고 잇는대요.저희가족은 이 소리가 안들린대요;; => 실제 소리가 아님 처음엔 소리 강도가 약해서 그런줄 알앗는대 한번을 못들을순 없잖아요 같은곳에 살고 잇는데... 그리고 저희 아파트에 제가 살고잇는 층엔 강아지를 키우는 집이 없다는데 가끔 저희집 벽 통해서 개 짖는 소리도 들리거든여;;이 소리도 저만 들엇어요 ... 그리고 저번에 밖애서 무슨 이상한 동물같은 울음소리? 같은것도 들렷구요.. 이런것도 환청이라 할수 잇는건가요? 아 저번에 밤에 새벽에는 옆집 에서 웃음소리도 들렷어요이런것들 다 저만 들렷데요...환청이라 할수 잇나요?? Swcounsel Chart_A v15b*상담단계별 질문표-1과정: 문제인식…
52 가정문제
       
51 가정문제
.    
50 신체이상
이명에 대한 사례연구, 2018-1, 소원상담센터,
49 우울증
우울증#1, 소원상담센터, 2017
48 자ㅅ충동
  자살충동 [상담프로그램]
47 수면장애
수면장애
46 공포증
공포증 #1
45 우울증
우울증, 2017년 2학기, 소원상담센터우울증 사례에 대한 답변
44 중독
게임중독(서든어)
43 학교문제
왕따, 인지행동치료 효과
42 우울증
우울증, 스트레스
41 우울증
우울증, 진로문제, 쇼핑중독, 가족갈등
40 가정문제
부모갈등
39 가정문제
 
38 신체이상
성경적 상담프로그램: 선택적무언증  
37 사고장애
성경적 상담프로그램: 뇌가소성 (김성희 집사님이 온라인으로 참석)
36 불안증
성경적 상담프로그램: 불안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