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급 상담실습] 공부 압박은 정말 말로 표현할수 없어요  

이것도병인가요?
평소에는정말활기차고즐겁게생활하는데엄마가제게뭐라고만하시면정말짜증이나고화가납니다. 공부압박은정말말로표현할없을정도로심하구요. 학교에서다녀오면제일먼저엄마께서하시는말씀이 "빨리공부해, 가서제일먼저해야하는게뭐라고?"이구요, 평소에는 "밤새워서공부해","이럴거면학교도다니지.","아직여기까지밖에공부못했어?","시골로내려가자." 저만보시면무조건공부압박을하십니다. 엄마와는하루에공부문제로정도싸우는같구요, 엄마는저한테말을가리지않고하십니다. 욕을하시고싶으시면욕도하시고물건을들어서저를협박하시면서공부를하라고강요하십니다. 그리고항상핸드폰을끊어버릴거라면서핸드폰을가지고저를협박하시기도합니다. 심지어오늘은생리통이정말심하고감기때문에코도막히고정말상태가말이아니었는데도엄마께서는그걸알고계시면서도제가일어난지 1정도가되자공부하라고강요를하셨습니다. 그리고공부방식이옳지않다고타박하시기도하시구요. 그리고엄마께서는때때로저에게자신이죽어야모든게끝난다고수시로말하시고, 저보고도그냥나가죽으라고도얘기하십니다. 평소에는그냥울고화를삼키며끝냈지만오늘은정말강도가심했어서정말죽고싶어서칼까지손에쥐고유튜브나구글에ㄱㅗ통없이죽ㄴㅡㄴ법도수도없이검색한같네요. 갑자기기분이좋았다가좋았다가하던적도두번이아니네요. 손목을그으려고칼을손목에가져다순간갑자기지식인이생각나서이렇게여쭤봅니다. 설마이런것들이제게병이있어서그런것들은아니겠죠?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답변하시면 포인트 30을 을 드립니다.

아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02 (토) 16:02 7년전
안녕하세요. 소원상담센터 오선미상담사입니다.
엄마의 공부에 대한 압박을 단지 눈물과 화로만 대응해서 참기만 한다면, 그 감정은 더욱 깊어지고 강력한 에너지가 되어서 마음의 병이 점점 깊어집니다. 이 고통을 대처하고자 여러 가지 전략들을 하게 되는데 님은 절망과 분노의 감정을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시도로 폭발시키는 악순환의 과정들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고통의 대처를 선한 방법으로 잘 극복 한다면 님은 의미 있고 진정한 기쁨의 삶을 발견하며 살아 갈 수 있습니다. 우선은 엄마가 왜 그렇게 님에게 공부를 강요 하시는지 엄마가 마음 깊이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 진정한 대화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엄마가 겪고 계시는 걱정이나, 아픔, 소망을 조금 더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님이 원하시는 것은 무엇인지 깊이 생각하고 정리해서 대화하면 새로운 각도로 갈등을 바라 볼 수 있는 눈이 열리게 됩니다. 나아가 엄마와 서로의 합의점을 찾아 갈 수 있습니다.
 
엄마의 상태가 너무 심각하셔서 혹 합의점을 찾지 못하시더라도 실망하지 마시고, 님이 먼저 선한 방향으로 대처하고 선택해 가시면 이 고통을 극복해 갈 수 있습니다. 즉 님이 깊이 원하시는 마음의 열망을 점검하고 그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입니다. 마음을 새롭게 한다는 것은 인간 스스로는 불완전하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님을 이 세상에 존재케 하신 분을 생각해 보시고, 그 분의 지혜와 능력을 의지 할 때, 마음을 새롭게 할 수 있습니다. 새로워진 마음은 혹독한 겨울의 추위를 이기고 봄날의 새싹을 튀우듯 님의 힘든 고통을 뚫고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인생의 길을 찾게 되시리라 생각 됩니다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04 (월) 19:27 7년전
잘하셨습니다. 여기에 첨가해서 가정상담과목의 내용을 적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모로서의 필요한 내용은 반대로 자녀로서 부모에게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보여주는 내용이 되기도 합니다. 가정상담과목을 살펴보시고 필요한 부분을 적용해 보시고 추가된 부분에는 괄호를 부탁드립니다.
아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05 (화) 17:48 7년전
안녕하세요. 소원상담센터 오선미상담사입니다.
엄마의 공부에 대한 압박을 단지 눈물과 화로만 대응해서 참기만 한다면, 그 감정은 더욱 깊어지고 강력한 에너지가 되어서 마음의 병이 점점 깊어집니다. 이 고통을 대처하고자 여러 가지 전략들을 하게 되는데 님은 절망과 분노의 감정을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시도로 폭발시키는 악순환의 과정들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고통의 대처를 선한 방법으로 잘 극복 한다면 님은 의미 있고 진정한 기쁨의 삶을 발견하며 살아 갈 수 있습니다. 우선은 엄마가 왜 그렇게 님에게 공부를 강요 하시는지 엄마가 마음 깊이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 진정한 대화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대화를 통해 엄마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 보고, 변화의 필요성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한편, 님께서도 엄마가 겪고 계시는 걱정이나, 아픔, 소망을 조금 더 이해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혹, 님이 자녀로서 자신이 해야 할 책임이나 역할에 불충분 하여 믿음을 드리지 못했던 부분은 없었는지에 대해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엄마와 자녀, 각각 원하시는 것은) 무엇인지 깊이 생각하고 정리해서 대화하면 새로운 각도로 갈등을 바라 볼 수 있는 눈이 열리게 됩니다. 나아가 엄마와 서로의 합의점을 찾아 갈 수 있습니다.
 
엄마의 상태가 너무 심각하셔서 혹 합의점을 찾지 못하시더라도 실망하지 마시고, 님이 먼저 선한 방향으로 대처하고 선택해 가시면 이 고통을 극복해 갈 수 있습니다. 즉 님이 깊이 원하시는 마음의 열망을 점검하고 그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입니다. 마음을 새롭게 한다는 것은 인간 스스로는 불완전하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님을 이 세상에 존재케 하신 분을 생각해 보시고, 그 분의 지혜와 능력을 의지 할 때, 마음을 새롭게 할 수 있습니다. 새로워진 마음은 혹독한 겨울의 추위를 이기고 봄날의 새싹을 튀우듯 님의 힘든 고통을 뚫고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인생의 길을 찾게 되시리라 생각 됩니다
센터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05 (화) 17:59 7년전
가정상담의 내용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자녀의 변화를 위해 부모가 할일(권위의 이해, 훈련과 학습을 실천, 가치의 내면화) https://swcounsel.org/b/intro1-4

부모님은 훈련과 학습을 실천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가 자녀에게 부모님의 마음을 좀더 헤아릴 수 있게 하는 개념이 될 것입니다. 그것이 힘들게 느껴지고 거부하게 된 것은 그 속에 부모님의 욕심과 과도한 목표의식이 있었기 때문이지 그 자체가 문제는 아닙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해보시면 가정상담의 내용을 잘 적용해 보는 것이 되겠습니다.
아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06 (수) 16:48 7년전
안녕하세요. 소원상담센터 오선미상담사입니다.
엄마의 공부에 대한 압박을 단지 눈물과 화로만 대응해서 참기만 한다면, 그 감정은 더욱 깊어지고 강력한 에너지가 되어서 마음의 병이 점점 깊어집니다. 이 고통을 대처하고자 여러 가지 전략들을 하게 되는데 님은 절망과 분노의 감정을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시도로 폭발시키는 악순환의 과정들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고통의 대처를 선한 방법으로 잘 극복 한다면 님은 의미 있고 진정한 기쁨의 삶을 발견하며 살아 갈 수 있습니다. 우선은 엄마가 왜 그렇게 님에게 공부를 강요 하시는지 엄마가 마음 깊이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 진정한 대화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대화를 통해 엄마가 왜 그렇게 공부를 강요하시는지 그 마음을 조금 더 이해하실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그 마음 안에는 자녀의 장래를 위해서 님이 해야 할 부분을 훈련시키고 실천하도록 하기 위한 엄마의 사랑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혹, 님이 자녀로서 자신이 해야 할 책임이나 역할에 불충분 하여 믿음을 드리지 못했던 부분이나 부모의 권위에 불순종한 부분은 없었는지에 대해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해 엄마가 겪고 계시는 걱정이나, 아픔, 소망을 알아가며, 엄마와 자녀, 각각 마음 깊이 정말로 원하시는 것은 무엇인지 깊이 생각하고 정리해서 대화하면 새로운 각도로 갈등을 바라 볼 수 있는 눈이 열리게 됩니다. 나아가 엄마와 서로의 합의점을 찾아 갈 수 있습니다.
 
엄마의 상태가 너무 심각하셔서 혹 합의점을 찾지 못하시더라도 실망하지 마시고, 님이 먼저 선한 방향으로 대처하고 선택해 가시면 이 고통을 극복해 갈 수 있습니다. 즉 님이 깊이 원하시는 마음의 열망을 점검하고 그 마음을 새롭게 하는 것입니다. 마음을 새롭게 한다는 것은 인간 스스로는 불완전하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님을 이 세상에 존재케 하신 분을 생각해 보시고, 그 분의 지혜와 능력을 의지 할 때, 마음을 새롭게 할 수 있습니다. 새로워진 마음은 혹독한 겨울의 추위를 이기고 봄날의 새싹을 튀우듯 님의 힘든 고통을 뚫고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인생의 길을 찾게 되시리라 생각 됩니다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