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9문제진단법] 상담진단모델 참고문헌

상담진단모델 참고문헌

 

 

Howard Clinebell, 『성장상담학』, 김선도 역 (서울:도서출판 광림, 1983), 24.

 

성장의 여섯 가지 차원

 

성장지향적인 상담자나 요법자는 성장이 일어날 수 있는 상호 의존적인 엿서 가지 차원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우리의 정신에서, 우리의 신체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생물권과의 관계에서, 우리를 지탱해 주는 무리들 및 단체들과의 관계에서, 우리의 삶의 영적인 차원에서 성장이 일어날 수 있다.

 

 

 

 

Charles Allen Kollar, Solution-Focused Pastoral Counseling, 유재성 역, 『해결중심 목회상담』(서울:요단출판사, 2004),

 

DSM-4

 

결핍언어를 진단해주는 가장 영향력있는 책을 들라면 DSM-4(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 를 꼽을 수 있다. 앞에서도 이미 언급했듯이 이 책은 실제를 인식하는 전체적인 과정에 대한 틀을 제공해 준다. 여기에는 각종 정신질화이 열거되어 있고, 정신건강의 영역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우선적인 지침서가 되고 있다. 이 분야에 종사하는 모든 전문 상담자들은 특별히 상담료와 관련하여 보상 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내담자를 대할 때 바로 이 지침서에 근거하여 진단을 내리도록 되어 있다.

 

DSM-4는 각종 장애들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사람들을 병리학적으로 진단하여 병명을 내리고 처방을 내리는데 사실 이러한 분류체계를 임상적으로 확인하고 지지해 주는 증거는 없다. 이러한 분류들은 내담자를 강화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그들의 문제나 결핍을 설명하고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뿐이다.  54.

 

 

 

상담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으려면 우리는 이 특랙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그 과정을 시작한다. 나는 이 트랙이라는 아이디어를 여러 가지 면에서 사용한다. 상담자에게 있어서 이 트랙이라는 말은 상담 과정에서 그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 경로를 의미한다. 이 트랙에는 여러 가지 선택안들이 있는데 상담자는 상담을 진행시켜 가는 하나의 틀로서 이러한 선택안들을 활용할 수 있다.

 

트랙 선택안: 최근의 변화, 미래초점, 상황 유지, 문제 외부화, 개인적 관심

 

내담자에게 있어서 트랙은 실제적인 변화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의 궁극적 종착점은 앞으로 나타날 상담의 결과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내담자는 변화와 상황의 개선을 마음의 눈으로 보고 앞으로 전진해야 할 길을 인식하고 그럼으로써 목표를 향한 트랙에 머물러 있을 수 있게 된다.  208-209


 

 

 

 

 

 

 

 

 

 

 

 

 

 

 

 

 

 

 

Clinebell Howard.『성장상담학』. 김선도 역. 서울:도서출판 광림, 1983.

Clinebell, Howard.  Basic Types of Pastoral Care &Counseling.  박근원 역. 『목회상담신론』.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87.

Collins, Gary.  Innovative Approaches to Counseling. 정동섭 역. 『창의적 상담접근법』. 서울:두란노.  1995.

Crabb, Larry.  Understanding People. Grand Rapids: Zondervan. 1987.

Greve, Fred J.  Pastoral Counseling A Study Guide. Brussels: International Correspondence Institute. 1980.

Kok, James R. Jongsma, Jr., Arthur E.  The Pastoral Counseling Treatment planner. New York:John Wiley & Sons. 1998.

Kollar, Charles Allen. Solution-Focused Pastoral Counseling. 유재성 역. 『해결중심 목회상담』. 서울:요단출판사. 2004.

Powlison, David.  Seeing with New Eyes. New Jersey: P&R Publishing. 2003.

Smith, Linda. Effective Counseling . Oxford: Lynx Communications. 1995.

Stone, Howard W.  Brief Pastoral Counseling. 정희성 역. 『해결중심 목회상담』.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2000.

Watson, Jeffrey.  Biblical Counseling for Today. Nashville: Word Publishing. 2000.

Welch, Edward T.  Addictive Behavior. Grand Rapids: Baker Books. 1995.

Worthington, Jr.,  Everett L.  Marriage Counseling. 김병오 역. 『부부상담』.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Worthington, Jr., Everett L. Counseling Before Marriage. 김창대 역. 『결혼예비상담』. 서울:두란노. 1995.

Worthington, Jr., Everett L. Psychotherapy and Religious Values. Grand Rapids: Baker Book. 1993.

Wynn, John Charles. Family Therapy in Pastoral Ministry. 문희경 역. 『가족치료와 목회상담』.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김중술.『다면적 인성검사』.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88.

오성춘.『목회상담학』.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정동섭. 『당신의 가정도 치유될 수 있다』. 서울:도서출판 하나. 1994.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73 111상담훈련법
2015 상담훈련법 판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13 3 1495
172 103역동성
역동성, 2015-1, 강의판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13 2 1536
171 101개론
성경적상담학 개요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26 4 2660
170 504정신질환상담
스타브론정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10 9 14293
169 504정신질환상담
정신과 약물 리스트 v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22 6 5430
168 504정신질환상담
로나센 2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02 7 8865
167 504정신질환상담
인데놀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02 5 8986
166 504정신질환상담
리보트릴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02 5 6532
165 504정신질환상담
졸로푸트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26 6 5737
164 504정신질환상담
아빌리파이정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22 6 9888
163 101개론
개론, 2014-2-11, 신형상담학교, 일정, 판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13 8 1815
162 504정신질환상담
위아토니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6 5 5522
161 504정신질환상담
위하수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6 5 4212
160 504정신질환상담
정신과 약물 정리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03 13 11774
159 504정신질환상담
정신과 약물 리스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03 7 9122
158 504정신질환상담
신경안정제와 정신과약물의 A-Z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03 5 4779
157 504정신질환상담
라믹탈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27 4 6561
156 504정신질환상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23 7 3923
155 504정신질환상담
데파코트: 간질약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3 5 6495
154 207중독상담
알코올중독증 치료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1 1 3886
153 504정신질환상담
아졸락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6 5 4607
152 504정신질환상담
세로토닌 이야기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3 7 5766
151 111상담훈련법
결혼생활을 위협하는 압력수치 점검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7 2639
150 107진로상담
우선순위 결정도표(AMP)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690
109문제진단법
상담진단모델 참고문헌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5 2525
148 101개론
한인신학교 이대로 좋은가?(칼럼 인용)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2664
147 혁신주의
기독교상담의 이론과 실제 수업계획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5 3261
146 101개론
성경적 상담학의 여정(旅程): 기고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3 2244
145 101개론
'성경적 상담학 개론' 소감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5 2329
144 101개론
'성경적 상담학 개론' 상담보고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2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