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4정신질환상담] 세로토닌 이야기

헬스 데스크
새해에는 세로토닌을 알아야 하는 3가지 중요한 이유

세로토닌하라!

점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세로토닌’. 혹시 아직도 모르는 분이 계신가요?‘세로토닌하라’는 이시형 박사님의 저서 제목이기도 합니다. 엔도르핀, 아드레날린 보다 인지도는 떨어지지만 점점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죠.

사람의 몸은 감정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신경전달물질이 신호를 몸에 전달해 반응합니다. 도파민, 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모두 이런 신경전달물질 중의 하나죠. 도파민은 강한 쾌락과 흥분 상태 시에 작용하며, 아드레날린은 화를 내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부정적인 상황에서 작용합니다. 세로토닌은 심리적인 안정감과 평화를 느낄 때 많이 분비되며, 도파민과 아드레날린과 관련해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엔도르핀’이 많은 사람들에게 이슈가 됐던 적이 있었죠. IMF이후 한국 사회가 불경기에 빠지면서 ‘행복’이 대두되던 상황이었습니다. 엔도르핀이 분비되면 행복해진다는 말이 사람들에게 알려졌죠. 하지만, 실제로 엔도르핀의 역할은 사람이 고통 받을 때 분비되어 아픔을 잊게 하거나 경감시키는 호르몬입니다. 엔도르핀의 어원 자체도 사람의 몸 안에서 분비되는 모르핀이란 의미인데, 결국 엔도르핀은 행복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모르게 해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마음이 행복하다는 것은 무엇 일까요. 좋은 일이 마구마구 터져 매일매일 크게 웃고 들뜨고 그런 걸까요. 경쟁과 자극에 둘러 쌓인 현대인들에게 행복이란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만족스러운 삶을 계속 유지하는 평안한 삶이죠. 이런 심리상태. 그때 우리의 몸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세로토닌’입니다.
   

세로토닌과 우울증 

스트레스로 인한 무기력증과 우울증. 극단적이면 자살에 이르게 하는 현대인의 가장 무서운 질병인 우울증. 세로토닌과 우울증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고 심적으로 우울한 상태에서 몸 안에선 코티졸, 아드레날린 같은 스트레스 물질이 발생합니다.

신경계가 긴장하고 몸 안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은 상태가 되죠. 아드레날린 분비를 억제하고 평상심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게 세로토닌의 역할입니다. 이런 세로토닌의 결핍이 일어나면 평상시의 마음과 몸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계속해서 우울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죠.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고 처방 받는 약 중의 대부분은 SSRI라고 하는 세로토닌 흡수 억제제 들입니다. 세로토닌이 몸 속에서 오래 머물게 하거나, 촉진시키는 약인 것이죠. 우울증 환자나 자살자들의 체내 세로토닌 수치는 정상 보다 훨씬 적다고 하는 군요.
 

세로토닌과 숙면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은 생성되는 시점에 있어 서로 반대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의 몸이 빛을 의식하면 세로토닌이 생성되어 몸이 활동할 수 있게 하고, 어두워지면 몸 안에 멜라토닌이 생성되면서 졸리게 하고 수면을 준비하게 만들죠. 세로토닌은 멜라토닌의 전 단계 물질이기도 하고, 수면을 준비할 때 인간의 각성 상태를 감소시켜 수면을 준비시키는 물질로 작용합니다. 결국 숙면을 취해 피로를 회복하기 위해선 세로토닌이 중요하다는 뜻이죠.
 

세로토닌과 식욕 

식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세로토닌입니다. 몸 안의 세로토닌 수치는 식욕과 연관이 있는데, 세로토닌 수치가 줄어들면 식욕이 발생하고, 반대로 세로토닌 수치가 과다하면 식욕이 억제됩니다. 거식증, 폭식증의 치료에 세로토닌과 관련한 치료가 사용되고 있는데요. 거식증에 수반되는 우울증 치료를 위해 세로토닌 재흡수제가 사용되고, 폭식증의 치료를 위해서도 세로토닌 재흡수제 등이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응용하여 비만 치료를 위해 세로토닌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세로토닌은 감정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부분에 작용합니다. 인간의 몸이 평상심을 유지하는 데에 가장 많이 작용하는 물질이기에 더욱 중요한 것이죠. 몸 안에 세로토닌이 결핍되지 않게 하는 것은 세로토닌이 하는 일과 비슷합니다. 햇빛을 많이 쬐고, 반복적인 활동(걷기, 계단 오르기 같은), 명상이나 요가 같은 안정된 활동을 하는 것입니다. 


세로토닌의 재료가 되는 것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트립토판이므로, 콩, 생선, 우유 같은 단백질이 들어 있는 식사를 꾸준히 해주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합성에는 비타민B, 탄수화물 같은 영양소도 아울러 필요하므로, 영양가 있는 규칙적인 식사를 꾸준히 하는 것이 세로토닌의 생성을 돕는 일이네요.
저작자 표시
2014/01/27 18:03
  1. 마니7373 2014/01/29 13:58

    세르토닌과 식욕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니...
    새로운 사실 감사합니다~

  2. 걍심심 2014/02/01 22:32

    저도 이번에 임팩타민샀어요!!
    하루하루 매일매일 챙겨먹어봐야겠어요!~

    • 임팩타민 2014/02/01 23:52
      댓글 주소 수정 및 삭제

      아 그러셨군요. 새해에는 임팩타민과 함께 늘 건강하시고, 즐거운 일만 가득하시길 바랄게요^^ 방문 감사합니다~~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69 504정신질환상담
졸로푸트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26 6 5601
68 504정신질환상담
인베가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6-25 4 3745
67 504정신질환상담
뉴로자핀10mg(병)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14 0 1479
66 504정신질환상담
항우울제, 알고 보니 효과 없다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4-25 1 705
65 504정신질환상담
루나팜정(플루니트라제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19 0 768
64 504정신질환상담
클로나제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19 0 755
63 504정신질환상담
듀미록스정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07 0 918
62 504정신질환상담
중추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15 2 2727
61 504정신질환상담
리페리돈(리스페리돈) 2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10 1 2480
60 504정신질환상담
메칠페니데이트(리탈린, 콘서타, 페니드)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22 11 10371
59 504정신질환상담
아리피프라졸, 아리피졸 정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09 2 4571
58 504정신질환상담
신경전달물질의 종류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16 0 2216
57 504정신질환상담
스틸녹스 졸피뎀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5-25 7 12436
56 504정신질환상담
마우스 뇌 신피질의 일부, 완벽한 3D 지도 작성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12 1 1153
55 504정신질환상담
신피질 데이터 해석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12 0 1142
54 504정신질환상담
대뇌피질(신피질의 구조)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12 0 1324
53 504정신질환상담
리스펜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07 10 4520
52 504정신질환상담
솔리안정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7-05 0 2365
51 504정신질환상담
리스페리돈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07 6 5481
50 504정신질환상담
로라반정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24 6 5993
49 504정신질환상담
아티반 정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0 2 8216
48 504정신질환상담
인데놀 1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02 5 8800
47 504정신질환상담
리튬이야기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07 0 1705
46 504정신질환상담
데파스정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12 1 2634
45 504정신질환상담
아리피프라졸, 레피졸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08 2 4148
44 504정신질환상담
벤조디아제핀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29 2 3861
43 504정신질환상담
EFT 치료법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26 12 3642
42 504정신질환상담
디아제팜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24 5 5152
41 504정신질환상담
트라조돈캡슐25mg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4-09 9 5354
40 504정신질환상담
쿠에타핀정25mg 관리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4-09 3 552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