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적연구] 깊은분노



게리 D. 채프먼은 『5가지 사랑의 언어』로 뜨거운 사랑과 관심을 받았다. 10년이 지난 후, 그는 세상에는 사랑의 언어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분노의 언어’도 있다는 사실을 목격한다. 이 땅에는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보다 분노를 다루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사람들은 너도나도 깊은 분노에 휩싸여 타인을 미워한다. 심지어 부부 사이에도 분노를 조절하지 못해 등을 돌린다. 저자는 많은 가정이 분노 때문에 파괴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더 정확하게는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정이 파괴되는 모습을 목격한다. 그러므로 채프먼은 분노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를 조목조목 다룬다. 또한, 분노는 나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올바르게 분노하는 방법은 하나님의 성품에 합한 신앙적 자세임을 제안한다. 분노가 무엇인지, 분노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분노는 나쁜 것인지 고민하는 독자가 있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소망한다.
이 책은 성경에 바탕을 두고 있고 동시에 매우 실용적이다. 우리는 두 종류의 인간의 분노를 살펴본다. 하나는 분명한 분노이고, 다른 하나는 왜곡된 분노이다. 우리는 어떻게 이 둘을 구별하고, 어떻게 기독교인답게 다스려야 할지 찾을 수 있을 것이다.
p. 11

분노는 어디에나 있다. 배우자는 서로에게 화를 낸다. 부하 직원이 상사에게 화를 낸다. 자녀는 부모에게 화를 내고, 부모는 자녀에게 화를 낸다. 시민들은 정부를 향해 분노한다.
p. 15

나는 인간의 분노 능력이 하나님의 속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본다. 제발 내가 신성모독을 한다고 생각하지는 말라. 오히려 “인간의 분노가 신적 속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라고 말하는 것은 하나님에 대한 깊은 경외심에서 비롯된다.
p. 25

그러나 나는 인간의 분노는 하나님이 설계한 것이라고 믿는다. 그것은 인간이 악행이나 불의에 마주쳤을 때 건설적인 행동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p. 32

그러나 사실 우리의 많은 분노는 왜곡되어 있다. 분노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분명한 분노와 왜곡된 분노이다. 분명한 분노는 잘못에서 비롯된다. 누군가 우리를 부당하게 대하고, 재산을 훔치고, 우리의 성격에 대해 거짓말을 하거나, 어떤 다른 방법으로 우리에게 잘못을 저질렀을 때 일어나는 분노이다.
p. 68

좋은 소식은 부부들이 책임감 있게 화를 다스리는 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그들은 살아남기 위해 배워야 한다. 나는 분노를 다루는 법을 배우는 것이 쉬운 과정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그것이 꼭 필요한 과정이고, 어떤 부부도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p. 143

책임 있게 분노를 통제하는 법을 배운 사람은 성숙한 기독교인이 되는 큰 걸음을 내딛게 된다. 현대 기독교인 가정이 겪고 있는 많은 문제는 오해 받고, 잘못 통제된 분노에 뿌리를 두고 있다. 결혼과 가정 생활 영역에 만연한 분노 조절 장애를 고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분노 조절은 이웃과 동료와의 관계에도 유익을 가져다 준다.
p. 219
추천사
한국어판 독자에게
역자 서문

서 론 성난 세상

제 1 장 분노는 어디에서 오는가?
제 2 장 분노가 선한 일을 할 때
제 3 장 선한 이유로 분노할 때
제 4 장 잘못된 분노
제 5 장 ‘나쁜’ 분노 다루기
제 6 장 외적 폭발과 내적 폭발
제 7 장 오래된 분노
제 8 장 용서?
제 9 장 배우자를 향한 분노
제10장 분노하는 자녀 돕기
제11장 하나님을 향한 분노
제12장 자기 자신을 향한 분노
제13장 화 내는 사람에게 대응하는 법

저자 후기
감사의 글
부록 : 분노 자가진단표
상담자 게리 D. 채프먼 목사는 『깊은 분노』를 통해 분노가 관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분노로 망친 관계를 회복하는 놀라운 방법을 제공한다. 그는 모든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쉽게 화를 내고, 분노 조절에 문제를 겪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권 수 영 박사 ㅣ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원장

게리 D. 채프먼은 결혼 생활 속에서 배우자에게 발생하게 되는 분노의 주제를 가정 사역의 입장에서 의미 있게 접근한다. 남편과 아내로서, 더 나아가 기독교인으로서 분노의 감정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지에 관한 대응 방식과 실제적인 처방을 우리에게 제안한다.
- 최 광 현 박사 ㅣ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교수

게리 D. 채프먼은 이 책 각 장에서 분노에 대한 일관성 있는 이해를 보여준다. 또한 분노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를 알기 쉽게 우리에게 설명한다. 각 장에 수록된 긴급 처방은 책을 요약하며, 언제든 삶의 매 순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 장 정 은 박사 ㅣ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목회상담학 교수

게리 D. 채프먼
게리 D. 채프먼은 인간관계 전문상담가, 결혼·가족생활 컨설턴트사(Marriage and Family Life Consultants Inc.)의 대표다. 무디 성경연구원 졸업, 휘튼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 웨이크포레스트대학교에서 인류학으로 석사 학위, 사우스웨스턴침례신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갈보리침례교회에서 협동목사로 사역하고 있다.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0-26 (화) 23:18 3년전
분노를 다룬다 조절한다는 표현을 통해 분노가 하나님이 주신 감정이니 올바르게 조절 사용하는것이 정당하다는 내용으로써 분노의 악감정을 극복할 문제로 보기 보다는 타협할 방안을 내포한 내용일것 같다.
주소 추천 0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72 심리학적연구
기독교가족치료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245
71 심리학적연구
정신과 의사에게 배우는 자존감 대화법 3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268
70 심리학적연구
우울증, 슬픔과 함께 온 하나님의 선물 2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2 1 2308
69 심리학적연구
EQ 감성지능 2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2707
68 심리학적연구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2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1 1 2356
67 심리학적연구
가르치고싶은 엄마 놀고 싶은 아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30 1 2120
66 심리학적연구
회복력 수업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9 1 2306
65 심리학적연구
가짜감정 2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2316
64 심리학적연구
내가 예민한게 아니라 네가 너무한 거야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2336
63 심리학적연구
핵심감정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3 1 2363
62 심리학적연구
심리학과 목회상담(Handbuch psychologie und seelsorge)_Michael Dieter…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415
심리학적연구
깊은분노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076
60 심리학적연구
새터민 아동을 위한 교육멘토링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1 2270
59 심리학적연구
남자아이 심리백과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2215
58 심리학적연구
레즈비언 혁명 1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2309
57 심리학적연구
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 2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2073
56 심리학적연구
스키너의 심리상자 문열기 1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2269
55 심리학적연구
당신이 옳다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2145
54 심리학적연구
감정코칭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2326
53 심리학적연구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4 1 2764
52 심리학적연구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2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2 1 2268
51 심리학적연구
아프면 아프다고 힘들면 힘들다고 외로우면 외롭다고 말하라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117
50 심리학적연구
프레임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281
49 심리학적연구
화내는 부모가 아이를 망친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0 1243
48 심리학적연구
우리들의 MBTI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0 1186
47 심리학적연구
오은영의 화해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7 0 1058
46 심리학적연구
인간 이해와 상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9 1 2129
45 심리학적연구
영혼을 생기나게하는 영성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5 0 1418
44 심리학적연구
마음 읽기_황상민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1 2106
43 심리학적연구
저는 심리학이 처음인데요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099
42 심리학적연구
틱증상, ADHD, 발달장애 가정에서 치료하기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236
41 심리학적연구
매우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책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0 1205
40 심리학적연구
은혜로 사는 부부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1 0 1198
39 심리학적연구
더 해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0 0 1258
38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상담자를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의 과정과 실제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2253
37 심리학적연구
불안한 마음 괜찮은걸까?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5 0 1340
36 심리학적연구
크리스천 노인상담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5 0 1269
35 심리학적연구
격려를 통한 영적성장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4 0 1211
34 심리학적연구
설득의 심리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3 0 1164
33 심리학적연구
미움받을 용기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3 0 1295
32 심리학적연구
하나님 저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0 1018
31 심리학적연구
구조화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누구나 쉽게 집단상담을 할 수 있는 방법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2 0 1279
30 심리학적연구
관계의 기술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1 0 1156
29 심리학적연구
상담론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018
28 심리학적연구
Z세대 부모를 위한 SNS 심리학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317
27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을 만나 행복해졌다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8 0 1216
26 심리학적연구
내 안의 어린아이가 울고 있다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0 1279
25 심리학적연구
코로나블루 긴급처방전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0 1288
24 심리학적연구
홀로서기 심리학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0 1342
23 심리학적연구
예수님 마음담기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5 0 1130
22 심리학적연구
상담학 개론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4 0 1081
21 심리학적연구
대상관계상담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3 0 1306
20 심리학적연구
두려움을 느낄때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094
19 심리학적연구
엄마와 딸의 심리학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160
18 심리학적연구
왜 얼굴에 혹할까?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096
17 심리학적연구
돈의 심리학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4 0 1283
16 심리학적연구
나는 왜 나를 사랑하지 못하는 걸까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3 1 2422
15 심리학적연구
심리학자 아버지가 아들, 딸에게 보내는 편지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2 0 1245
14 심리학적연구
마음을 살리는 실천심리상담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11 0 1172
13 심리학적연구
마음코칭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8 0 1214
12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위기상담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183
11 심리학적연구
기독교 상담과 일반상담의 차이점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0 1297
10 심리학적연구
유리멘탈을 위한 심리책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7 1 2390
9 심리학적연구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5 심정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6 1 2244
8 심리학적연구
목사와 상담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6 0 1218
7 심리학적연구
오은영의 화해 상처받은 내면의 나와 마주하는 용기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5 0 1142
6 심리학적연구
기독교상담학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4 0 1353
5 심리학적연구
두려움을 느낄때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4 0 1139
4 심리학적연구
심리학, 신학, 영성이 하나 된 기독교 상담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02 0 1413
3 심리학적연구
행복의 기원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2307
2 심리학적연구
엄마표 마음처방전 (0세부터 12세까지 우리 아이 심리학)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06 1 2255
1 심리학적연구
사람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232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