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1] 청소년기, 중년기, 갱년기, 노년기의 영역, 유형, 감정, 욕구를 하나이상 기록하기
# 장년기(40~64세)
[영역]
개인: 안정적인 경제생활 영위를 위한 문제, 건강문제, 노후준비문제, 개인경건생활
가정: 관계문제(부부, 자녀, 시댁), 자녀교육문제, 자녀결혼문제
교회: 교회내 신앙문제(목회자 및 성도간 관계, 헌금, 섬김 등)
직장: 직장내 관계문제(상사, 동료 선후배 및 거래 업체간), 봉급문제, 이직문제, 은퇴준비
사회: 정치 사회 이슈에 대한 이념적 갈등, 구세대와 신세대사이의 정서 문화적 갈등
[유형]
순위문제: 가정일과 직장일간의 순위 문제, 신앙과 직장생활간의 순위문제, 자녀교육과 노후준비간의 문제
합의문제: 각종 진로 문제(이사, 이직, 자녀교육, 자녀결혼, 은퇴 후 계획 등)
선악문제: 개인의 일탈(중독, 유흥), 부부 불화(폭력, 외도, 이혼 등)
조직문제: 부모 자녀와의 질서 붕괴, 동서간의 상하문제, 직장 직원간(상사 및 동료)의 갈등
관계문제: 가정내 부부, 부모로써의 갈등, 시댁과의 갈등, 직장내 동료들과의 갈등, 교회내 성도간의 갈등
심층문제: 갱년기 증상(우울증, 건강문제), 윗세대와 아랫세대에 대한 책임에 대한 부담. 은퇴이후 삶에 대한 불안
[감정]
미움: 배우자에 대한 미움,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거부,시댁에 대한 미움
분노: 자녀나 배우자가 실망을 안겨주었을 때, 사회(직장)로부터 인정받지 못함에 대한 분노 등
절망: 부모 및 자녀 부양에 대한 부담, 뜻하지 않은 질병 및 사직
두려움: 퇴직 이후의 삶에 대한 두려움, 노후 준비의 부족 및 갱년기 건강에 대한 걱정
죄책: 워라벨(직장과 개인의 삶의 균형)을 놓치고 살아온 것에 대한 회한, 우선순위에 맞추어 살아오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
사회적 성공을 위해 달리느라 자녀를 제대로 키우지 못한 것에 대한 죄책
수치: 자녀의 탈선, 실직 및 이혼, 지난날 자신의 과오(바람, 이기적 선택 등)에 대해.
[욕구]
유익: 이해타산적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물질적, 사회적 성취를 추구
편안: 개인적 펀안함(주일날 여행, 온라인예배)을 추구하는 신앙생활, 성장과 발전의 시간을 등한시하고 휴식을 핑계로 시간을 흘려보냄,
노력해야 하는 관계를 회피하고 홀로 시간을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
쾌락: 회식에서의 유흥 추구, 사회생활의 하나로 술 담배에 허용적, 여가시간을 감각적으로 보냄(게임, 도박, 외도 등)
존경: 직장에서 가정에서 대우받기를 원함.
인정: 자녀들의 학교진로를 통해 또 직장에서의 고액연봉을 통해 사회적으로 능력있는 사람이라고 인정받기 원함.
가정을 위해 희생한 부모로서 인정받고자 함.
지배: 자녀들을 자기 뜻대로 양육하고자 함. 배우자가 자기 뜻에 맞춰주기를 원함. 직장에서 직책이 높아질수록 내 뜻대롤 하고자 함.
인생을 많이 경험해왔다고 자부하며 하나님보다 앞서서 자신들의 삶을 계획하고자 함.
*삶의 문제들은 매우 다양하고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공통된 문제들도 있기에 이를 다 열거하기 어려워
일부만 기재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