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시아버님으로 인해서 고민하는 며느리
1영역 : 가정
2유형 : 합의 ( 시아버님과 며느리와의 관계가 연결되지 못함. 시아버님의 이해할 수 없는 성격으로 인해 합의점 찾지 못함.)
3감정 : 미움 ( 어린아이 같고 이해할 수 없는 성격과 행동으로 미움의 감정 생김 )
4욕구 : 지배 ( 자신의 관점에서 시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함. 자신의 생각을 기준으로 시아버님을 판단하려고 하는 것 때문에 감정 생김.
이 감정으로 인해 합의를 더 이루지 못함.)
5은혜 : 용서 ( 하나님과 사람들에게 내가 받은 용납들을 기억하며 시아버님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용서 함 )
6결심 : 화평 ( 용서의 마음을 기반으로 화평의 마음을 결심함)
7실천 : 온유 ( 용서와 화평의 마음까지 왔을 때, 상대방과 어떠한 감정에 묶이지 않고 원활하게 이해할 수 있고 부드러운 마음을 갖게 됨. )
8변화 : 연합 ( 시아버님을 만나도 껄끄러운 감정이 없이 대하여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나아감 )
@9. 가족들과 자신으로 인해 힘들어 하는 여성
1영역 : 개인
2유형 : 심층 ( 동생과 어머니에 대한 과도한 책임감으로 인한 무기력. 심층으로 떨어짐 )
3감정 : 절망 ( 내가 다 할 수 없다 생각과 과부하로 인한 절망감 )
4욕구 : 지배 ( 자신이 모든 것을 다 통제하고 해내려고 하는 지배욕구 )
5은혜 : 계획 ( 지금까지 하나님이 각 사람(동생, 어머니, 나자신)의 인생을 인도해 오신 분이라는 것을 바라봄.
앞으로도 피상담자가 인도해갈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계획과 인도하심이 있음을 바라보며 맡기는 방향을 바라봄. )
6결심 : 화평 ( 자신이 모든 것을 책임지려할 때는 느낄 수 없었던 평안의 마음을 경험해가도록 함 )
7실천 : 절제 ( 계획을 바라보고 마음의 평안함을 가지고 내가 모든 것을 다 하려고 하던 옛습관을 절제함 )
8변화 : 훈련 ( 한 번에 깨지지 않는 내면 습관이 선순환의 길이 형성 될 때까지 계속 훈련 함 )
@10. 자녀에 대해서 고민하는 어머니
1영역 : 개인
2유형 : 선악 ( 선악에 대한 혼란스러움 )
3감정 : 두려움 ( 자신의 생각에 아이가 이상한 것일까봐 두려움 )
4욕구 : 지배 ( 자신의 올바른 기준에서 아이의 생각과 행동이 이상하니까 이해하지 못하고, 감정이 생김 )
5은혜 : 동행 ( 아이의 마음을 따라가보는 것 )
6결심 : 인내 ( 아이의 마음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인내가 필요할 수 있음 )
7실천 : 사랑 ( 인내를 가지고 아이의 생각과 그 근본적인 순수한 마음에 대해 이해하게 될 때 온유함으로 아이를 상대함 )
8변화 : 교제 ( 아이와 더 많은 교제를 나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