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례 2에서 상담과정 중에서 사용할만한 재료들을 뽑아서 정리하고 상담계획을 세워보기
#1
극본적 해석 :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것이 어색하다. 붙잡을 것을 찾고 도움을 요청하고 싶은 것
=>유형에 있어서 관계문제. 존경이나 인정욕구를 버리고 동행 혹은 충만의 은혜를 바라보도록 한다.
관점적 해석: 하나님이 제 옆에서 치료해 주셨으면 좋겠다.
=>예수님의 희생과 용서의 은혜를 깨달을 수 있도록 돕는다.
분석적 해석 : 하나님께서도 허락이 안 된것 같다-제가 부정적인 생각을 많이 하고 세상을 타인과 신을 부정을 많이했다.
=>죄책감과 어떤 욕구가 있는지 알아보고 용서의 은혜를 바라보도록 돕는다.
적용적 해석: 생각을 완전히 바꾸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기도를 많이 해야 하겠다.
=>말씀과 기도를 통해 자기 자신과 세상, 하나님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통찰을 가질 수 있도록 방법을 적용하는 단계로 연결한다.
#2
극본적해석: 가면으로 대하는 자신, 유익을 얻을려고, 위험한 것을
피할려고 함, 자신이 악하게 되고 혼란스럽고 자아를 잃어버림
=>관계 유형에서 자신이 보이는 방식이 어떤 욕구때문이지 인지할수 있도록 하고 어떤 악순환의 나쁜 열매를 맺고 있는지 보게 한다.
관점적 해석: 하나님은 망치로 때리고 벌하신다. 잘못된 것(자아)을 없애 버리고 하나님의 뜻대로 살도록 하는 것이 의도이다
=> 죄책감과 그 아래있는 본인의 욕구를 이해하고 회개를 통한 용서의 은혜를 바라보며 하나님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분석적 해석: 다른 사람과 분리되어 있는 것.
=>관계문제를 큰 원인으로 보고 있는데 어떤 두려움이 있는지 감정을 알아보고 욕구를 찾아본다.
적용적 해석: 가식적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하나님을 바라보는 연습을 많이
해야겠다. 성경적인 가치관을 받아 들여야겠다.
=>성경적인 가치관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견고하게 형성해나갈 수 있는지 구체적인 과제와 방법을 찾아본다.
2) 사례 3, 4에서 상담과정 중에서 사용할만한 재료들을 찾고 정리하기
<사례3:신앙에 커다란 회의가 드는 주부>
#1.
-하나님이 무언가 심판하실 느낌이 들어서 무서웠다.
-하나님이 사울을 내
버려둠이 굉장히 두렵다.
-외톨이 당함, 버려지고 무관심 되는 것
겁이 난다.
-넌
하나님이 사랑하지 않는다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의 감정과 그 아래 있는 인정 혹은 존경 욕구가 있는지 알아본다.
-빛이
어둠을 물리칠 수 있도록 하나님을 알고 먼저 회개해야겠다
-어떤 것으로도 마음의 빈 공간에 채워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으니깐 하나님을 알아야겠다
=>하나님의 은혜를 소원하도록 하는 방향전환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은혜를 붙들어야 하는지 찾아본다.(용서, 충만 등)
#2.
-성령의 빛이 비춰줘서 식습관이 바뀌고 싶다.
-한심하다. 절제력이 넘 없고 일시적으로 뭘 찾는 내 모습이
한심하고 기다릴 줄 모른다.
=>개인 영역의 문제의식. 수치심이나 절망의 감정 아래 편안이나 쾌락의 욕구 등을 인지하도록 한다.
-마음 안에서 공허함 허전함 그런 마음. 예수님의
마음으로 채워지고 에너지가 되고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
-마음 속에 인스턴트 식품. 내 만족을 채우기 위해 하는 것이 아니고
이것을 먹는 것이 죄구나.
=>마음의 문제를 해결해야 몸의 문제도 해결할수 있다는 관점으로 마음을 은혜로 향하도록 한다.
<사례4: 여러가지 망상에 시달리는 여성>
#1.
-아이 때 같아서 아이의 모습으로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다.
=>현재의 고통이나 문제가 없었던 어린시절을 그리워하고 있는데 어릴때의 어떤 부분이 좋았는지 문제 인식을 돕는다.
-혼자 사는 것은 외롭고 자손이 생기고 행복하게 사는 것이 생각났다
-사람이 폭포에 들어 있는 게 이상할 것 같고 소녀가
혼자 있는 것이 외롭다고 할 것 같다.
=>혼자 있고 싶은 부분과 혼자 있기에 외로운 부분들에 대한 감정과 생각을 분리해서 좀더 알아본다.
-질서 조화 밝음 순응적이고 좋은 것들만 가능한 것들이 있고
좋기만한 것들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생이 왜 좋은 것들만 있을 수 없는지, 죄와 고통이 있기에 예수님의 십자가와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함을 알려준다.
-미워하는 것, 아이들 괴롭힘, 몇 년 걸쳐서 심하게 당했다.
=>과거의 상처, 트라우마를 풀어낼 수 있도록 한다. 그 안에서 감정이 어땠는지 어떤 욕구가 있었는지 알아본다.
#2.
-혼자 있는 시간이 꼭 필요하다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이 주인공이 된다
=>혼자 있는 것과 함께 하는 것과의 순위문제나 관계 문제의 유형을 좀더 분류한다.
-하나님이 원하는 삶과 내가 원하는 삶의
합일점이 좀 있었으면 좋겠다
=>삶의 어떤 부분에서 합일점이 되기 원하는지 선악의 문제인지 합의의 문제인지 유형분류를 하고 상담 주제의 범위를 좁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