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뉴
  • 새글
  • 접속자(877)
  • |
  • 로그인
  • 회원가입

회복인가, 변화인가



회복을 주제로 하는 많은 상담집회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집회들에서 항상 사용하는 '회복'이라는 주제는 언제나 듣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상처받은 마음이 회복될 것 같은, 치유될 것 같은 기대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또한 실제로 그러한 집회에 참여하신 분들이 강의를 통해 세미나를 통해 혹은 실습을 통해 회복되었다고 하는 치유되었다고 하는 최소한 좋았다고 하는 반응들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커다란 허점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모든 회복이나 치유를 주제로 하는 접근법이 심리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은 차치하고서라도 근본적으로 회복이나 치유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음의 치유, 마음의 회복은 사실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심리학에서 만들어낸 허상일 뿐입니다

그러한 허상을 만들어 낸 이유는 심리학적인 많은 이유가 있지만 그런 근거를 대지 않는다 하더라도 조금만 생각해 보면 쉽게 그 허무함을 알아차릴 수 있었습니다. 상처를 받았고 연약하게 되었다고 말하는 인생살이에 있어서 과연 과거에는 정말 완전하였던 것일까요? 만약 그랬었다면 사실 상처받을 일도 없고 연약하게 될 필요도 없었을 것입니다. 물론 상처를 주는 연약하게 하는 어떤 자극이 없었다면 그러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그 모든 일을 일으키시고 다스리시며 주관하시는 하나님을 인정하기 보다는 모든 결과를 다른 사람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일 뿐입니다. 마음의 문제는 몸의 문제와 달라서 원래부터 마음 속에 있던 연약함과 근본적인 문제성향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하나님이 만드신 형편속에서 겉으로 드러나게 되었던 것 뿐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마음의 문제의 어려움에 대한 올바른 접근법은 '변화'입니다. 피상담자를 변화시키는 것이 현재 겪고 있는 모든 괴로움을 이기게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 하나님의 역사하심과 도우심을 간절히 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말그대로 회복과 치유를 위해서라면 하나님의 역사하심은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겠지만 변화를 위해서라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변화가 얼마나 어려운 지를 왠만한 사람이라면 다들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그러한 변화의 어려움을 알기에 변화를 애써 주장하기보다는 차선책으로 회복이나 치유같은 덜 자극적인 목표를 내세우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면서 하나님께 간절히 의지하기 보다는 적절히 인간적인 방법이나 기술로 아픔을 해결하려고 할 것입니다.

여하튼 마음의 문제에 대해서는 치유와 회복 등으로 상담의 목표를 중화시키고 약화시킬 것이 아니라 진정한 목표인 하나님 안에서의 변화로 온전한 상담의 목표를 세워야 합니다. 그럴 때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고 사람들에게 진정한 평화가 찾아올 것입니다.
1.상담챠트
2.신체문제
3.정신구조
4.마음이해
5.변화과정

상담시리즈 현장실시간 학차신청 세미나

필독서1
필독서2


번호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85
당근과 채찍의 원리 4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7 10217
84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12 16 12501
83
내리쬐는 태양과 뜨거운 동풍(욘 4:8-9)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4 5354
82
황금알을 낳는 거위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8 9555
81
흉터를 치료하기 위해서 새로운 상처를 내다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25 24 9668
80
내가 아끼는 것 주님이 아끼시는 것(욘 4:9-11) 3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 6 6372
79
부모는 자녀의 성장에 따라 다르게 대해야 한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21 7810
78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WTS, CCEF)의 성경적 상담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2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12 26 12432
77
성경적 상담과 심리학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13 6 5201
76
병아리의 죽음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8 8348
75
불신자에게 성경적 상담을 적용할 수 있는 이유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19 21 9555
74
소원상담센터의 비전과 목표에 대해서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22 4 5093
73
자르는 도구와 붙이는 도구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5 8811
72
자신이 배운 성경적 상담을 언제 활용할 수 있을까?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02 14 7436
71
한국 교회의 성경적 목회상담의 방향성과 나의 역할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2 5 5812
70
해야할 때 해야만 하는 일들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5 8122
69
성경적상담으로 정신과약을 끊게 하는 과정은 무엇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04 21 8191
68
가족치료 심리상담의 문제점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2-25 6 1274
67
마음을 여는 십자 드라이버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20 8333
66
정신과약을 끊는 방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05 28 18111
65
부모는 자녀를 통해 성숙해지고 자녀는 부모를 통해 성장한다. 1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24 9 1543
64
성경적 상담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드리는 세 가지 질문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25 21 8158
회복인가, 변화인가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30 15 6837
62
심리학과 신학과 연합한다는 것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1 7 644
61
미국에서의 상담상황 2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24 21 8815
60
동성애를 극복하는 법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21 22 9423
59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의 혁신주의 성경적 상담(Biblical Counseling)의…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5 2 601
58
미국, 미국내 한인사회, 그리고 한국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24 12 8136
57
강박증, 스스로 매는 족쇄이자 스스로 풀어야 하는 열쇠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21 16 10325
56
미국 웨스트민스터 성경적 상담의 역사와 의미 원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15 3 62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