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 깊은분노



게리 D. 채프먼은 『5가지 사랑의 언어』로 뜨거운 사랑과 관심을 받았다. 10년이 지난 후, 그는 세상에는 사랑의 언어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분노의 언어’도 있다는 사실을 목격한다. 이 땅에는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보다 분노를 다루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사람들은 너도나도 깊은 분노에 휩싸여 타인을 미워한다. 심지어 부부 사이에도 분노를 조절하지 못해 등을 돌린다. 저자는 많은 가정이 분노 때문에 파괴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더 정확하게는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정이 파괴되는 모습을 목격한다. 그러므로 채프먼은 분노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를 조목조목 다룬다. 또한, 분노는 나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올바르게 분노하는 방법은 하나님의 성품에 합한 신앙적 자세임을 제안한다. 분노가 무엇인지, 분노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분노는 나쁜 것인지 고민하는 독자가 있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소망한다.
이 책은 성경에 바탕을 두고 있고 동시에 매우 실용적이다. 우리는 두 종류의 인간의 분노를 살펴본다. 하나는 분명한 분노이고, 다른 하나는 왜곡된 분노이다. 우리는 어떻게 이 둘을 구별하고, 어떻게 기독교인답게 다스려야 할지 찾을 수 있을 것이다.
p. 11

분노는 어디에나 있다. 배우자는 서로에게 화를 낸다. 부하 직원이 상사에게 화를 낸다. 자녀는 부모에게 화를 내고, 부모는 자녀에게 화를 낸다. 시민들은 정부를 향해 분노한다.
p. 15

나는 인간의 분노 능력이 하나님의 속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본다. 제발 내가 신성모독을 한다고 생각하지는 말라. 오히려 “인간의 분노가 신적 속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라고 말하는 것은 하나님에 대한 깊은 경외심에서 비롯된다.
p. 25

그러나 나는 인간의 분노는 하나님이 설계한 것이라고 믿는다. 그것은 인간이 악행이나 불의에 마주쳤을 때 건설적인 행동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p. 32

그러나 사실 우리의 많은 분노는 왜곡되어 있다. 분노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분명한 분노와 왜곡된 분노이다. 분명한 분노는 잘못에서 비롯된다. 누군가 우리를 부당하게 대하고, 재산을 훔치고, 우리의 성격에 대해 거짓말을 하거나, 어떤 다른 방법으로 우리에게 잘못을 저질렀을 때 일어나는 분노이다.
p. 68

좋은 소식은 부부들이 책임감 있게 화를 다스리는 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그들은 살아남기 위해 배워야 한다. 나는 분노를 다루는 법을 배우는 것이 쉬운 과정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그것이 꼭 필요한 과정이고, 어떤 부부도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p. 143

책임 있게 분노를 통제하는 법을 배운 사람은 성숙한 기독교인이 되는 큰 걸음을 내딛게 된다. 현대 기독교인 가정이 겪고 있는 많은 문제는 오해 받고, 잘못 통제된 분노에 뿌리를 두고 있다. 결혼과 가정 생활 영역에 만연한 분노 조절 장애를 고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분노 조절은 이웃과 동료와의 관계에도 유익을 가져다 준다.
p. 219
추천사
한국어판 독자에게
역자 서문

서 론 성난 세상

제 1 장 분노는 어디에서 오는가?
제 2 장 분노가 선한 일을 할 때
제 3 장 선한 이유로 분노할 때
제 4 장 잘못된 분노
제 5 장 ‘나쁜’ 분노 다루기
제 6 장 외적 폭발과 내적 폭발
제 7 장 오래된 분노
제 8 장 용서?
제 9 장 배우자를 향한 분노
제10장 분노하는 자녀 돕기
제11장 하나님을 향한 분노
제12장 자기 자신을 향한 분노
제13장 화 내는 사람에게 대응하는 법

저자 후기
감사의 글
부록 : 분노 자가진단표
상담자 게리 D. 채프먼 목사는 『깊은 분노』를 통해 분노가 관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분노로 망친 관계를 회복하는 놀라운 방법을 제공한다. 그는 모든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쉽게 화를 내고, 분노 조절에 문제를 겪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권 수 영 박사 ㅣ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원장

게리 D. 채프먼은 결혼 생활 속에서 배우자에게 발생하게 되는 분노의 주제를 가정 사역의 입장에서 의미 있게 접근한다. 남편과 아내로서, 더 나아가 기독교인으로서 분노의 감정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지에 관한 대응 방식과 실제적인 처방을 우리에게 제안한다.
- 최 광 현 박사 ㅣ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교수

게리 D. 채프먼은 이 책 각 장에서 분노에 대한 일관성 있는 이해를 보여준다. 또한 분노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를 알기 쉽게 우리에게 설명한다. 각 장에 수록된 긴급 처방은 책을 요약하며, 언제든 삶의 매 순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 장 정 은 박사 ㅣ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목회상담학 교수

게리 D. 채프먼
게리 D. 채프먼은 인간관계 전문상담가, 결혼·가족생활 컨설턴트사(Marriage and Family Life Consultants Inc.)의 대표다. 무디 성경연구원 졸업, 휘튼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 웨이크포레스트대학교에서 인류학으로 석사 학위, 사우스웨스턴침례신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갈보리침례교회에서 협동목사로 사역하고 있다.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0-26 (화) 23:18 3년전
분노를 다룬다 조절한다는 표현을 통해 분노가 하나님이 주신 감정이니 올바르게 조절 사용하는것이 정당하다는 내용으로써 분노의 악감정을 극복할 문제로 보기 보다는 타협할 방안을 내포한 내용일것 같다.
주소 추천 0



필독서1
필독서2

상담챠트A
상담챠트B
상담챠트C
상담챠트D

번호 분류 이미지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232 심리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신경안정제와 정신과 약물의 A-Z -항불안제 및 항우울제를 중심으로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8 13 5577
231 심리학
더 행복해지는 부부 대화법, (TA심리학에 근거한)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5 2267
230 심리학
심리학적 상담에 대한 이해 (2004)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4 5 2920
229 심리학
교류분석(TA) 지도자 과정 1단계 by 박용민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0 4 2491
228 심리학
교류분석(박용민) 안내장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4 2583
227 심리학
NLP란 무엇인가? 2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19 4 3625
226 심리학
휴앤 마음디자인 상담센터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10 2 1374
225 심리학
네이버 상담: 정신과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7 2 1080
224 심리학
‘레노바레 영성주제 성경(The Renovare Spiritual Formation Bib…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289
223 심리학
찬양사역자 마이클 W 스미스의 '표적(sign)' 1장 원장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1 2 2160
222 심리학
자아초월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13 2 1549
221 심리학
사람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1154
220 심리학
기독교 상담자를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의 과정과 실제 2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7 1 1306
219 심리학
인간 이해와 상담 1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09 1 1178
218 심리학
백석상담센터-“삶의 희망을 만들어가는 따뜻한 사람들”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4-03 1 1053
217 심리학
마음 읽기_황상민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2 1 1104
216 심리학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4 1 1362
215 심리학
새터민 아동을 위한 교육멘토링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8 1 1028
214 심리학
감정코칭 1 이문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1211
213 심리학
행복의 기원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19 1 1150
212 심리학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2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2 1 1247
211 심리학
핵심감정 1 박인혜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3 1 1192
210 심리학
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 2 이정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1245
209 심리학
당신이 옳다 1 이상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4 1 1218
208 심리학
스키너의 심리상자 문열기 1 오선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1192
207 심리학
레즈비언 혁명 1 성경적상담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5 1 1155
206 심리학
남자아이 심리백과 1 이수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1085
205 심리학
심리학과 목회상담(Handbuch psychologie und seelsorge)_Mich… 1 이명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1169
심리학
깊은분노 1 신미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6 1 1110
203 심리학
내가 예민한게 아니라 네가 너무한 거야 1 김지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 1164